브랜치명은 해결하려는 문제가 아닌 시도하는 방법을 묘사해야한다.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959 following · 674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に。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Claude와 함께 react-form-mozard 문서를 만들었다. 2년전에 만들었는데 귀찮아서 문서 안쓰고 버티고 있었다.
글은 Claude가 다 썼는데 솔직히 맘에 안든다(하지만 장기적인 협력을 고려해서 일단 칭찬했다).
요즘 개발 스터디나 모각코가 예전만큼 열리지 않는 것 같다는 이야기를 나눴다. 바로 떠오른 게 페이스북이었는데, 페이스북을 사람들이 덜 쓰게 되면서 페이스북 그룹 같은 (접근성이 좋고 열려 있는) 모임 공간을 만들고 접하기 어려워진 게 크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어 그렇게 말씀드렸다. 내가 그런 게 열리는 사회에서 멀어진 게 원인일 수도 있겠지만..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ChakraCore를 JSON 디코더 및 인코더로 활용하기
고남현 @gnh1201@hackers.pub
이 글에서는 .NET 환경에서 JSON을 처리할 때 기존 라이브러리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 JavaScript 스타일을 최대한 유지하면서 효율적인 JSON 입출력을 구현하기 위한 고민과 해결책을 제시합니다. 표준 라이브러리의 크기, 신뢰성 문제, 그리고 JavaScript 스타일과의 괴리를 해결하기 위해 ChakraCore 엔진을 활용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ChakraCore 엔진을 통해 JSON 직렬화 및 파싱을 수행하는 C# 코드를 예시로 보여주며, 기존 .NET의 XML 처리 방식과 유사하면서도 JavaScript 스타일에 가까운 JSON 입출력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접근 방식은 다른 프로그래밍 환경에서도 JSON 포맷 처리 시 유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최근 하스켈 리포트를 보니, 언어 서버 지원이 뭔가 바뀌었답니다.
Hannes made hie-bios use Cabal’s
--with-replcommand to load the session, which greatly simplifies the implementation and its treatment of multiple home units
이런 게 있네요. 당연히 --with-repl 로 했어야 하는 것 아닌가, 기존에는 어떻게 했나 찾아보니, 각 툴들이 각자 도생하고 있었다네요. 명확히 동일한 환경으로 언어 서버가 실행되는 줄 알았는데, 아니었나 봅니다.
macOS Tahoe에서 일렉트론 애플리케이션이 말도 안되게 느렸던 이유는 Liquid Glass 도입으로 시스템에 전반적 연산이 늘어난게 아니라 Electron이 AppKit의 private API를 잘못 쓰면서 WindowServer에서 GPU를 미친듯이 쓴 것이었다.
3년 전 파이콘 갔던 사진이 구글 포토에 추억 여행하라고 떴는데 ㄹㅇ 그때 파이콘은 엄청 부자였구나
그땐 그냥 파이콘에서 점심을 줬음ㅋㅋㅋ
pnpm에는 --shamefully-hoist라는 옵션이 있군 ㅋㅋㅋㅋㅋ
요즘은 좀 나아졌겠지만 내가 프론트엔드 개발 한창 하던 때만 해도 디펜던시 지정 제대로 안 해서 yarn pnp나 pnpm 쓰면 깨지는 패키지가 꽤 자주 있었다...
pnpm에는 --shamefully-hoist라는 옵션이 있군 ㅋㅋㅋㅋㅋ
AP vs ATproto 논쟁 끝내는 법
둘을 합친 또다른 오픈 쏘쌸 프로토콜을 만든다
이제 AP vs AT vs 또다른 프로토콜 논쟁이 됨\
오늘은 https://www.acmicpc.net/problem/27157 이 문제를 러스트로 풀겠다고 삽질하다가 시간만 날리고 C++로 풀었다...🥲
yt-dlp 쓰려다가 403 Forbidden 떠서 이슈 트래커 가 보니 원 세상에 이런 전쟁통이 있나. 혀를 내두름 https://github.com/yt-dlp/yt-dlp/issues/3766
JAR로 되어있는 한글 형태소 분석기 라이브러리인 꼬꼬마 2.0과 Maven에 게시된 open-korean-text를 C#에서 프로젝트 구성없이 불러다 쓰는 예제입니다.
C# 코드 파일과 XML 설정 파일만 있으면 Maven과 JAR 패키지도 손쉽게 가져와서 C#으로 코딩할 수 있습니다. C# 파일 하나만 바라보면 될테니 코드 어시스턴트의 도움도 마음껏 받을 수 있으니 더욱 좋겠죠!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Jenkins의 모든 Job 설정이 날아간 사건과 복구한 얘기
Juntai Park @arkjun@hackers.pub
Jenkins Job 설정이 전부 사라진 아찔한 사건과 이를 해결한 과정을 소개합니다. Jenkins를 사용하던 중 플러그인 충돌과 네트워크 정책 문제로 Job 설정이 초기화되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원인은 특정 해외 mirror에 대한 접근 차단으로 인한 플러그인 설치 실패 및 기존 버전과의 충돌이었습니다. 서버 차단 정책을 수정하고 플러그인을 업데이트한 후, Jenkins 자체도 최신 버전으로 업그레이드하여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다행히 빌드 기록이 남아 있어 Pipeline Script를 복구하여 Job 설정을 복원할 수 있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Jenkins는 플러그인 의존도가 높고, 네트워크 환경에 민감하며, Job 설정 백업이 필수적임을 다시 한번 깨달았습니다. CI/CD도 코드처럼 관리해야 한다는 기본기를 상기시켜주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Read more →요즘에는 타입스크립트로 이상한 핵 안쓰고 LR 파서를 100% 타입세이프하게 구현할 수 있는지 테스트해보고 있다
역시 최고의 장애대응은 롤백이다. (한달간의 내 코드 돌려내)
Why doesn't Bash's programmable completion provide the cursor offset within the word being completed? With all the complexity around word splitting—shell quoting, escpaing, expansions—figuring out the intra-word cursor position by hand is a nightmare. Would it really be so hard for Bash to offer this info natively, rather than leaving script authors to replicate the shell's own parsing logic?
오늘은 오랜만의 회사 일???로 IDC에 갔다 IDC란걸 처음 가봤는데 이렇게까지 에어컨 바람이 강력한줄은 몰랐다 종이박스 정도는 그냥 날아가네
디노 붐은 온다
I've signed the Plan Vert letter, calling on Rails Core and the wider Ruby community to fork Rails and cut ties with DHH and his work.
Please sign, the future of Rails and Ruby depends on it. https://github.com/Plan-Vert/open-letter
Graal Truffle tutorial part 0 – what is Truffle? via
@ahelwerAndrew Helwer https://lobste.rs/s/3sg5sy #compilers #java
https://www.endoflineblog.com/graal-truffle-tutorial-part-0-what-is-truffle
레거시 만지니까 느껴지는 상태기반 프론트엔드 개발의 소중함
캬 요맛에 홈서버 열지 짜릿하다 짜릿해
lens라이브러리의 타입들은optics(광학기구)라고 불립니다. 여기에는Prism,Lens,Iso,Traversal,Fold,Getter,Setter같은 것들이 포함됩니다. 이 이름들 중 일부는 빛의 굴절에 대한 말장난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렌즈(lens)는 망원경이 풍경의 작은 일부를 시야 가득히 채워 보이게 해주는 것이고, 프리즘(prism)은 흰빛을 분리하여 그 구성 색들을 드러내 줍니다. 어느 정도는 은유가 담겨 있지만, 이런 이름들은 깨달음을 주기보다는 귀여운 쪽에 가깝습니다. 따라서 이름 자체에 너무 깊이 집중하는 것은 권하지 않습니다.
— 《Finding Success (and Failure) in Haskell》, 158쪽
도메인 검색하면서 .uk 도메인 가격 볼 때마다 욱으로 끝나는 이름 가진 사람들은 자기 이름 달린 도메인 싸게 사겠지 싶어서 묘하게 부러움
요것이 진정한 Domain-Driven Development...
프로젝트 홍보: No programming language https://github.com/hoxy/no-lang
최근에 Apple의 Pkl에 옵션 추가하려 한 게 내 예상보다 스코프가 넓어서인지 SPICE(Pkl의 기능제안 프로세스인 듯) 작성해달라는 요청을 받았음. 문서 길이가 길어서 제미나이 CLI한테 내 PR 내용과 이미 있는 SPICE들 읽어서 작성해달라 요청했더니 소소한 실수 몇 개 빼고는 꽤 만족스럽게 작성해줬다!
AI와 함께 오라클 클라우드에 terraform으로 쿠버네티스 클러스터 올리기 해서 결국 성공했다... 맨날 콘솔로 만들땐 실패했었는데 역시 오라클은 자체서비스 믿지말고 무조건 외부서비스를 사용해야 한다는 생각이 더 강해졌다...
Its been a while! I just added #HackersPub (https://hackers.pub), #Elk (@elk) and #Elgg (@elgg) icons to https://iconography.fediverse.info
나중에 나올 IDE들은, 로컬 모델을 기본적으로 탑재하거나 뭐 그렇지 않을까?
http://logitext.mit.edu/main
재미있는 웹 앱 중 하나. 논건 대수(Sequent Calculus)를 사용해 1차 논리("모든 대상에 대해"나 "어떤 대상이 있어"를 서술할 수 있는 논리)의 명제를 상호작용을 통해 증명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A /\ B -> A (A 그리고 B이면 A이다)를 증명하려면
- 위 명제를 입력칸에 넣는다.
->를 눌러 명제 안의 "이면"을 증명에서 쓸 수 있는 가정(|-의 왼쪽에 있는 것)으로 바꾼다.- 가정의
A /\B를 눌러 "그리고"의 양 측에 해당하는 가정A와B각각을 얻는다. - 가정이나 결론의
A를 눌러 가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증명을 끝낸다.
보다 입문자에게 친절한 설명은 http://logitext.mit.edu/tutorial 에서 읽어볼 수 있다.
무려 폰트도 바꿀수 잇슴 ㅋㅋㅋㅋㅋ
나는 매킨토시로 일기쓰는 사람이다 무섭지
rangho.is 사고싶다
그러면
- 블로그는 rangho.is/thinking에
- 메모장은 rangho.is/knowing에
- 발표자료는 rangho.is/talking에 다 집어넣을 수 있을텐데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2025 Q2/Q3 Review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이 글은 2025년 2분기 결산을 미루고 3분기에 몰아 작성한 개발자의 회고록입니다. 4월부터 9월까지 2~4주 단위로 굵직한 이벤트들이 연이어 발생하며 '업보 청산'의 시간을 보냈다고 합니다. 임금 미지급, 파이콘 발표 준비, Fedify 프로젝트 참여, UbuCon Korea 발표, PyCon KR 참여, Hackers' Public 주최, PyCon JP 참여 등 다사다난했던 3분기를 요약하고 있습니다. 특히 Fedify 프로젝트에 기여하며 NestJS 기반의 연합우주 소프트웨어 개발에 집중하고, Hackers' Public 밋업을 성공적으로 개최한 경험을 강조합니다. 현재는 수입이 거의 없는 상태이지만, 취업 준비와 외주를 병행하며 바쁘게 지내고 있습니다. Node.js 백엔드 엔지니어 또는 풀스택 엔지니어로서의 취업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기술 면접 준비와 함께 OS 및 네트워크 관련 지식을 쌓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4분기에는 현재 진행 중인 프로젝트를 마무리하고 크리스마스 이전에 취업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Read more →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레코드 생성자
박준규 @curry@hackers.pub
하스켈에서 레코드 타입을 다루는 다양한 관용구를 소개하는 글입니다. 레코드 생성 시 `NamedFieldPuns`나 `RecordWildCards` 확장 기능을 활용하여 코드를 간결하게 만들 수 있으며, 레코드 필드에 접근할 때는 접근자 함수, 패턴 매칭, 또는 `RecordDotSyntax` 확장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일부 패키지에서는 레코드 생성자를 숨기고 스마트 생성자를 제공하여 API를 제어하기도 합니다. 저자는 스마트 생성자보다는 레코드 생성자를 직접 내보내는 방식을 선호하며, 이는 하스켈 입문자들의 진입 장벽을 낮추고 코드 기여를 활성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언어 차원에서 기본값을 가지는 필드를 지원하여 레코드 타입 정의를 더욱 유연하게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을 제시하며, 이 글은 하스켈 패키지 작성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유용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너무 이른 시점에 일반화를 걱정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코드를 작성하든 다른 사람의 코드를 이해하려 하든, 우리는 이 책에서 취한 접근 방식을 따를 것을 권장합니다. 즉, 일반적인 것부터 시작하지 말고 구체적인 예시부터 시작하세요. 그런 다음 그들이 어떤 측면을 공유하는지 관찰하세요. 학습자로서 이러한 순서는 더 쉬운 구체적인 예시를 토대로 더 어려운 추상적 개념을 이해할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합니다. 저자로서 이러한 순서는 더 추상적인 발상이 타당성을 갖고 목적을 지닐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Finding Success (and Failure) in Haskell》, 149쪽
문서와 플러그인 차이 때문에 결국 pulumi에서 terraform으로 갈아타고 말았다...
Real world Haskell use case arrived
최종적으로는 Monorepo로 구성했다.
각각이 장단점이 있는 선택지라서, 고민고민하다가, 개발중 반복작업을 최소화하는 쪽과 미래의 누군가 유지보수하기 편한 (혹은 내가 유지보수한다면 좀 더 편할 것으로 예상되는) 쪽에 무게를 두기로 했고 그렇게 Monorepo로 결정했다. 결국 AI의 추천대로 흘러가고 있..
최근 디스코드 메시지를 모바일 앱에서도 종종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메시지의 글씨 크기가 작아서 불편하던 차에, 클래식 채팅 문자 크기 라는 옵션이 켜져있고 이 옵션이 켜져 있으면 글씨 크기가 작아진다는 것을 알게 되어, 바로 옵션을 꺼버렸다. (중년 개발자들에게 이 옵션을 끄는 것을 추천합니다.)
페디버스 인스턴스 하나쯤 만들고 싶다
그치만 너무 귀찮다
그치만 커스텀 이모지도 넣고 하고 싶다
그치만
그치만
의 무한 반복 중임 요즘
구글에 '해커스펍'을 검색해도 검색 결과에 hackers.pub이 보이지 않는다는 걸 알았다. '해커즈 퍼브'도 마찬가지다.
디버깅 정보를 뽑을 수 없지만 데이터를 잔뜩 입력해볼 수 있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재현 테스트 케이스를 코드로 작성하는데 성공했다. 이게 되니까 바로 의심 가는 곳 수정이 가능했고, 테스트 통과 ㅠ...
종이를 물고 있는 퍼렁공뇽
https://github.com/fedify-dev/fedify
Libghostty is coming. 👻 The first library will be libghostty-vt: a zero-dependency (not even libc!) library that provides an API for parsing terminal sequences and maintaining terminal state, extracted directly from Ghostty's real-world proven core. https://mitchellh.com/writing/libghostty-is-comi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