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tiqueを見てて、ぼーっと今年のアドカレは各言語とメジャーなコマンドラインパーサー/パーサーコンビネータの組み合わせを比較してみようかなーなんて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 959 following · 674 followers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に。
Website
- hongminhee.org
GitHub
- @dahlia
Hollo
- @hongminhee@hollo.social
DEV
- @hongminhee
velog
- @hongminhee
Qiita
- @hongminhee
Zenn
- @hongminhee
Matrix
- @hongminhee:matrix.org
X
- @hongminhee
RustのclapとかGoのCobraとか Haskellにもなんかそういうのあるんだよね確か
Optiqueを見てて、ぼーっと今年のアドカレは各言語とメジャーなコマンドラインパーサー/パーサーコンビネータの組み合わせを比較してみようかなーなんて
Ferrrero roshell 언젠간 만들어야지
Anyone have same errors Astro running in Bun?
I can't know how reproduce this...
Bun Canary v1.2.24-canary.26 (e3a1ae09) Windows x64
Windows v.win11_dt
CPU: sse42 avx avx2 avx512
Args: "node" "F:\amasecc\foxtail\node_modules\astro\astro.js" "dev"
Features: Bun.stderr(2) Bun.stdin(2) Bun.stdout(2) fetch(115) http_server jsc spawn(3) transpiler_cache(28) tsconfig process_dlopen(3)
Builtins: "bun:main" "node:assert" "node:async_hooks" "node:buffer" "node:child_process" "node:crypto" "node:dns" "node:events" "node:fs" "node:fs/promises" "node:http" "node:https" "node:module" "node:net" "node:os" "node:path" "node:perf_hooks" "node:process" "node:querystring" "node:readline" "node:stream" "node:tls" "node:tty" "node:url" "node:util" "node:vm" "node:zlib" "node:worker_threads" "ws" "node:v8" "node:http2"
Elapsed: 1791059ms | User: 47062ms | Sys: 25015ms
RSS: 1.45GB | Peak: 1.55GB | Commit: 1.41GB | Faults: 1572143 | Machine: 68.34GB
panic(main thread): Segmentation fault at address 0x2E
oh no: Bun has crashed. This indicates a bug in Bun, not your code.
To send a redacted crash report to Bun's team,
please file a GitHub issue using the link below:
https://bun.report/1.2.24/wn2e3a1ae04gBugk0ggC228qyB+3p8wB__0omt2CA2A8C
error: script "dev" exited with code 3
PinnedなリポジトリをFeaturedに入れるようにした (自動化してある)
해외리모트잡 페이가 국내에 비해 너무 좋길래, 주변에 어떻게 이럴수 있냐고 했더니 다들 너무 당연하게 국내 페이가 싸서라고 한다. 그리고 해외에서 한국 개발자 선호하는것도 그냥 단순히 싸고 가성비 좋아서라고 한다.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의 국민으로써 느낌이 좀 이상하다. 그러니까 나는 K-인도 개발자였구나..
Next.js 수준으로 React를 사용할 수 있는 오픈소스 프레임워크가 나오면 좋겠다
추석 때 읽으려고 산 책.. 추천사부터 많이 들어본 이름들이 나오는...
모델의 컨텍스트도 깃 처럼 버전 관리를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최근 (오픈소스) 프로젝트 관련해서 종종 연락을 받고 있습니다. 대체로, 검토해보겠다던 기능이 추가되는데 왜이렇게 늦어지냐는 내용으로 추정됩니다.
추정인 이유는 건너서 들은 것도 있기 때문입니다.
제가 이 글을 올리는 이유는 상당히 험한 말도 나왔다는걸 전해 들었기 때문입니다.
저는 외부의 어떠한 보수도 받지 않고 혼자서 정규업무 외 시간에 제 프로젝트의 개선과 이슈사항을 해결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개인적 사유로 커밋 빈도가 줄었던 것은 맞지만 그럼에도 우선순위가 높은 작업은 너무 늦어지지 않도록 노력했습니다.
제 프로젝트로 구축 및 운영을 하시는 분들이 있다고 하니 늘 감사하게 생각합니다만, 저는 이 일을 보수를 받고 하지 않습니다.
혹여 답답하신 분이라면 깃허브에 올라와있는 제 프로젝트 내용물을 통채로 복사해서 전문 개발 업체에 커스터마이징을 맡기시길 바랍니다.
그렇게 나온 결과물에 대해선 독점권 행사도 무리없이 행사하실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돕겠습니다. 감사합니다.
Weibo、ハンドル名に漢字を使えるの面白いので是非ともActivityPubに対応して場を掻き回して欲しい(?)
이번 연휴 때 서울에서 모각작, 모각코 하실 파티를 만들어보려고 페북메신저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파이브스팟이나 원루프사당을 쓸 것 같습니다.
https://m.me/cm/AbbiwdoizU4gxbqc/?send_source=cm:copy_invite_link
If you are using Vercel, will you cancel your account and move your hosting elsewhere now that they publicly support and work with genocidial fascists?
OSSCA 모각코 사진 보니 맨날 똑같은 자리 앉아있음
무슨 괴담도 아니고😂
Optique 0.6.0 is adding shell completion! We already support:
- Bash
- zsh
- fish
- PowerShell
This covers most users, but should we add more niche shells? Your input helps us prioritize!
나도 모르는 사이에 타임머신을 개발한건가? 왜 벌써 10월이고 최종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는 것이지?
Looking at new Raspberry pi 500+, thought it's so cool, and saw flowy RGB LED then gasped. Who start to lead that trends/traditions/conventions?
https://news.hada.io/topic?id=23384
이글을 보면서 비슷한 생각을 함과 동시에, 이제 Code에 대한 버전관리가 아닌, 프롬프트에 대한 버전관리가 필요한 시점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결국 파악하려는건 설계자의 의도이고 기존 개발에 있어서는 개발문서 - 주석 - 코드 로 이어지는 형태가 되었는데, 현실적으로는 세 구성요소가 항상 동기화 되기 힘들기 때문에 코드를 이해하는 상황이 많았다.
하지만 모든 코드를 LLM을 통한 바이브 코드를 하고 해당 코드와 명령 프롬프트를 함께 버전관리를 한다면 오히려 위 사례의 동기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그리고 별도의 문서작업이 없이 개발에 대한 의도와 스팩이 코드의 버전과 함께 잘 관리된다면 그보다 더 좋은 건 없다고 생각한다.
GINインデックス貼るようにして検索を実装した
낡고 지친 개발자.
#macOS find는 -delete를 주면 -prune을 무시하거나 우회해버린다. OMZP::macos에서 제공하는 rmdsstore 함수를 개선하려다 찾은 현상.
Worried about npm exploits?
Deno can run your Node apps with added protection:
🔒 opt-in permissions
🔒 user-authorized postinstall scripts
🔒 permission audit + trace logs
and much more 👇
複数種類のRDB対応しようにもJobQueueの問題が出てきたのでPostgres Onlyにする (暫定的)
커스텀 HTTP 헤더 설정을 만들 때 고려해야 할 것들에 대한 짧은 노트를 작성했습니다. https://kyoku.dev/notes/header-option/
Thoughts? i haven’t tried yet both of them Sonnet4.5 and codex
@z9mb1wwj 일단 LLM과 AI 도구에는 언제나 hype이 가득해서 그대로 믿으면 안되는 것은 있지만, 지금 시점에서 Sonnet 4.5는 경쟁 모델이나 자사의 상위 모델보다도 에이전틱 코딩 등에서 더 좋은 벤치마크 결과를 내고 있어요. 그리고 Claude Code는 지금 시점에서 잘 만든 코딩 에이전트 중 하나구요.
전 사람들이 Claude와 Anthropic을 욕하는 이유가 초기보다 줄어든 Quota와 최근 일련의 성능 저하 이슈 등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Sonnet 4.5는 가격이나 quota 아니면 속도 등에서 기존 Sonnet과 큰 차이가 없고 오히려 결과도 Opus보다 좋은 경우가 더 많아서 이러면 Quota 문제에 대해 기존보다 덜 스트레스를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해요. 이제 Claude Code에 usage 커맨드도 들어가서 사용량 체크도 쉬워졌구요.
이 문제로 다시 zed를 켰습니다 ^오^!
Thoughts? i haven’t tried yet both of them Sonnet4.5 and codex
@tooearly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kodingwarriorJaeyeol Lee 반갑습니다! 잘 사용해보겠습니다!
IceshrimpをMisskeyにする苦行をしたい方は是非
DB 책 보는데 논리학 기본 파트들을 쭉 훑어주길래 올만에 복습이나 할까 하면서 보고 있는데 문제는 영어 원어가 안 적혀져있고 다 번역어로만 적혀있어서 다시 역으로 번역하면서 보고 있음...정량자는 quantifier, 속박변수는 bound variable, 범용정량자는 universal quantifier 등등..이런 용어들 학교 다닐 때 형식 의미론 수업에서 영어로만 배웠지 (근데 그마저도 가르치는 교수가 막말로 더럽게 못 가르쳤음) 한국어로는 사실상 처음 보는 거라서 좀 헤매고 있다 😵💫
회사에서 딴 짓하고 싶다는 말에 터미널로 책을 읽으면 되는거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와서, 설마 Neovim 플러그인 중에 epub 플러그인이 있을까? 하고 알아봤다. 진짜 있다. vim 사용자들의 집념은 뭘까 진짜...
키보드에 rgb led 시작한 사람 누구에요? 왜 그런 시작을?
오 한국어 버그 있음. (끝글자 한번 더 입력됨)
zed를 잠깐 테스트 중이엇는데 소넷 4.5 나오면서 코드 네이티브 확장이 나왔네… 다시 돌아가야겠다
Claude Sonnet 4.5
------------------------------
- Claude Sonnet 4.5는 *코딩, 추론, 수학 능력* 에서 최고 수준의 성능을 보여주는 최신 AI 모델임
- 업데이트된 Claude Code 는 체크포인트, 개선된 터미널 UI, VS Code 확장, 메모리 관리 기능이 추가되어 복잡한 작업을 장시간 지속할 수 있음
- 새롭게 공개된 Claude Agent SDK 는 에이전트 개발을 위한…
------------------------------
https://news.hada.io/topic?id=23358&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Introducing Claude Sonnet 4.5—the best coding model in the world.
It's the strongest model for building complex agents. It's the best model at using computers. And it shows substantial gains on tests of reasoning and math.
On the Claude API, we’ve added two new capabilities to build agents that handle long-running tasks without frequently hitting context limits:
- Context editing to automatically clear stale context
- The memory tool to store and consult information outside the context window
Claude Sonnet 4.5 is available everywhere today—on the Claude Developer Platform, natively and in Amazon Bedrock and Google Cloud's Vertex AI.
Pricing remains the same as Sonnet 4.
For more details: https://www.anthropic.com/news/claude-sonnet-4-5
TypeScript와 React에 File-based App 서버를 부착하여 단순하지만 완결성있는 풀 스택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AGENTS.md 파일이나 mcp.json을 추가한다면 풀 스택 프로젝트에 바이브코딩까지 얹을 수 있겠습니다.
https://forum.dotnetdev.kr/t/typescript-react-file-based-app-c-api/13812
sc2ts 구현 과정에서 결국 claude 구독을 pro에서 max로 변경도 해봤고, max 5시간 usage도 다 채워봤는데요. 그만큼 많이 익숙해져서 좋습니다.
SC2TS: TypeScript로 포팅한 스타크래프트 2 리플레이 파서
SC2TS를 공개했습니다. 처음에는 Claude Code를 공부하기 위한 연습 프로젝트로 시작했던 작업이었습니다.
왜 TypeScript로 포팅했을까요?
여러 이유가 있었지만, 크게 다섯 가지 이유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첫째, 충분히 흥미로운 프로젝트여야 했습니다. 끝까지 완성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필요했는데, 이 프로젝트는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둘째, 이미 관련 경험이 있었습니다. 예전에 Blizzard의 공식 라이브러리인 s2protocol에 Pull Request를 보내본 적이 있어서, 프로젝트의 구조와 동작 방식에 어느 정도 익숙했습니다.
셋째, 선례가 있었습니다. 이미 Go 언어로 포팅된 버전이 존재했기 때문에, TypeScript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하다는 확신이 있었습니다.
넷째, 적절한 난이도였습니다. 내부 구현을 세세하게 다 알고 있지는 않았지만, 충분히 복잡하면서도 AI의 도움을 받아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다섯째, 그리고 가장 중요한 이유는 스타크래프트 2 관련 분석 사이트를 AI 기능과 함께 만들어보고 싶었는데, 기존 s2protocol이 더 이상 공식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접 TypeScript 버전을 만드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었습니다.
사실 이러나 저러나.. 중간에 잠깐 휴가도 있었어서 생각보다는 오래걸렸네요.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PyCon JP 2025 후기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이 글은 PyCon JP 2025에 참가한 한국인 개발자의 생생한 후기를 담고 있습니다. 저자는 PyCon KR에 꾸준히 참여해왔지만, 해외 컨퍼런스는 처음이라 설렘과 기대를 안고 일본으로 향했습니다. 히로시마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 저자는 다양한 세션에 참여하고, Findy와 Python Asia Association에서 주최한 DrinkUp 파티, 그리고 PKSHA Technology의 파티에 참여하며 여러 개발자들과 교류했습니다. 특히 FastAPI 개발자인 tiangolo와의 만남, Neovim을 사용하는 데이터 엔지니어와의 공감대 형성, 그리고 Emacs 사용자에게서 느낀 위기감 등 재미있는 에피소드들이 인상적입니다. "Innovation is a side effect of solving problem"이라는 tiangolo의 어록은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 글은 PyCon JP가 외국인을 위한 배려가 돋보이는 행사였으며, 다양한 주제의 세션과 네트워킹 기회가 많았음을 강조합니다. 다음 PyCon JP에 발표자로 참여하고 싶다는 의지를 밝히며, 한국 커뮤니티도 외국인이 즐길 수 있는 컨텐츠가 늘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합니다.
Read more →남들에게 알려주면 굉장히 재미있어할만한 코딩지식이 있을까?
洪 民憙 (Hong Minhee) shared the below article:
CSI Cyber 에피소드 정리 (1화 - 4화)
고남현 @gnh1201@hackers.pub
CSI Cyber 1화부터 4화까지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화에서는 홈 카메라 해킹을 통해 아이가 납치되는 충격적인 사건을 다루며 C&C 서버, 펌웨어, 악성코드 등 정보보안의 주요 개념을 소개합니다. 2화에서는 롤러코스터 프로포즈 중 벌어진 폭발 사고를 통해 블루투스 해킹, 하드웨어 해킹, 산업제어시설 해킹의 위험성을 경고합니다. 3화에서는 택시 호출 기록의 미스터리를 통해 악의적으로 설치된 공개 와이파이의 위험성을 보여줍니다. 마지막으로 4화에서는 IoT 해킹으로 인해 집 전체가 화염에 휩싸이는 사건을 통해 적절한 보안 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와이파이의 위험성을 강조합니다. 이 드라마는 현실적인 정보보안 문제를 흥미롭게 풀어내어 시청자들에게 보안의 중요성을 일깨워줍니다.
Read more →마인크래프트 내에 레드스톤으로 물리적으로 언어모델을 만든 사람이 나타남... 그러니까 간단한 디지털 회로도 아니거 언어모델을 만듬 ㅋㅋㅋ 외부 언어모델을 연결한것이 아닙니다;; 말그대로 트랜스포머를 구축해놨던데 세상은 넓고 천재는 많다... www.youtube.com/watch?v=VaeI...
I built ChatGPT with Minecraft...
요즘 리모트 서버에서 코딩을 하고 있는데, 클로드 코드 돌려두고 자꾸 멍때리게 되어서 디스코드 알람을 만들었다
타입시스템이 충분히 좋은 언어는, 특정 함수(타입을 만족하는 프로젝트 내의 아무 함수)를 CLI 바이너리로 빌드하는 기능을 one-liner로 지원할 수 있을 것이고, 그건 아마 지원할만한 기능일 것이다.
Context: Cabal의 어떤 내부 함수를 끄집어내서 CLI 툴로 만드는데 황금같이 귀중한 내 주말을 써야했다.
주로 하스켈만 하는 분께 좀 유명한 JS 라이브러리의 깃헙 링크를 공유드렸는데, 스타가 10k인걸 보고는 엄청나게 훌륭한 프로젝트인가보다... 하시길래 / 20 정도로 보정을 하라고 했다.
- 하스켈 리포트: WellTyped에서 작성한 하스켈 생태계 활동 보고서
- 언어 서버: HLS(Haskell Language Server)
- 번역 링크: https://rosettalens.com/s/ko/haskell-ecosystem-report-june-august-2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