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아는 바이브 코딩은 음주 코딩이었는데...
김무훈
@iamuhun@hackers.pub · 38 following · 60 followers
업으로서 약 3년 간 웹 프런트엔드 서비스 개발을 경험한 컴퓨터 공학 학부생입니다.
모두를 위한 접근성 지원과 오픈소스 참여에 주목하여 엔지니어링에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오 안녕하세요, 웹 몇 개월 전에 직접 운영하고 계신 접근성 사이트맵을 접한 프런트엔드 프로그래머입니다.
개인 블로그에 올릴 웹 접근성이 UI 설계에 중요한 이유 - 웹 접근성의 의의와 의미론적인 CSS 규칙을 설계하는 방법 초안 작성을 마치고 퇴고 작업을 거치는 중입니다. 레퍼런스 검증 등 객관성이 중요한 분야이다 보니, 작업 중간에 몇몇 전문가 분의 의견을 받고 싶어 커뮤니티 가입을 신청했습니다.
그리고 글 맨 하단 섹션에 글을 기획하며 찾은 외부 자료에 대해 목록을 추렸어서 참고 문서 추가에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https://www.frontend.moe/posts/naver-2025-coding-test/ 팀네이버 코딩 테스트 후기를 개인 블로그에 올려두었습니다. 꾸준히 일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로서의 삶을 지켜내고자 반성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해커펍은 퍼머링크로 아카이빙 참조하기 최적이라 생각해서 앞으로 기술을 다루며 기록 및 참조하는 용도로 잘 사용하려고 합니다.
트위터는 나중에 다른 사람에게 보여줄 참조용으로 쓰기에는 너무 정보 대비 소음이 많은 특성 때문에 잘 맞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참고하면 좋은 자료
접근성 기반 UI 컴포넌트 설계 자료
직접 실습으로 익히는 것을 권하고자 바로 행동으로 옮겨 실천할 수 있는 자료를 중심으로 골랐습니다.
논리적 설계와 HTML5 아웃라인 알고리즘: 웹의 근본인 HTML의 논리적 설계를 바탕으로 React 컴포넌트 디자인에 대해서 고민해 보고 아웃라인 알고리즘에 대해서 간단하게 알아보는 글입니다.
접근성이 이끄는 웹 프런트엔드 테스트 자동화 : Wonderwall Tech: 여러 웹 표준 접근성 요소를 바탕으로 컴포넌트 마크업과 제어 상태를 설계하여, 이를 종단 테스트 수트의 시멘틱 플래그(Semantic Flag)로 활용할 수 있다고 소개한 글입니다.
PandaCSS와 함께 CSS-in-JS의 미래로 : Wonderwall Tech: 바로 위 항목의 동 저자이신 김태희님의 의미론적 CSS 작성법에 대해 최근의 CSS-in-JS 도구 사용 측면으로 다룬 글입니다.
Open UI: W3C 커뮤니티 그룹 중 하나로, 기본 HTML 사양에는 없어 별도 구현이 필요한 UI 컴포넌트에 대한 모범 사례를 정리하여 연구하는 커뮤니티입니다.
Inclusive Components: 포괄적인(Inclusive) 여러 웹 인터페이스 설계 패턴이 수록된 블로그입니다.
블로그 배너에 전자책 발간이 소개되어 있는데, 이미 국내에서 『인클루시브 디자인 패턴』이라는 제목으로 웹액츄얼리코리아를 통해 번역 출간되었습니다.
웹 접근성 학습 자료
AOA11Y 접근성 오픈 아카데미 - YouTube: 정보접근성 인식 개선 및 확산을 목표로 NIA이 운영하는 YouTube 채널입니다. 해당 기관에서 만든 항공사 접근성 사례집 또한 유용합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엔지니어를 위한 웹 접근성의 기초 - azukiazusa.dev (일본어)
웹 프런트엔드 구현에서 원본 기능을 손상시키지 마십시오 - azukiazusa.dev (일본어)
WAI-ARIA를 배울 때 정리해 두고 싶은 것 - Hirao Yusuke (일본어)
[명세 읽는 법] HTML의 요소를 어떻게 배울 것인가 (일본어)
표준 명세를 통해 어떤 HTML 엘리먼트에 대한 콘텐츠 모델과 어트리뷰트, 접근성 고려 사항 등의 규칙을 파악하는 법을 소개합니다. 웹 표준 명세를 읽는 걸 낮설어 하시는 분에게 추천드립니다.
제 경우 MDN 문서만으로 어떤 엘리먼트의 기술 사양을 파악하기에 애매하거나 누락된 부분에 대해 WHATWG 명세를 직접 참고하고 있습니다.6
웹 접근성 참고 자료
레진 WAI-ARIA 가이드라인
How to Meet WCAG (Quick Reference) | W3C, GitBook 형태의 WCAG 2.1 한국어 가이드
https://a11ykr.github.io: KWCAG 및 W3C 한국어 초벌 번역 모음 사이트맵입니다.](https://media.hackers.pub/note-media/ea8ee85c-ff76-4036-86ed-2ee7c0492fb1.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