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Perlmint

@perlmint@hackers.pub · 87 following · 77 followers

크로스 플랫폼 빌드 고치는 노동자

잡담은 @meperlmint 에서

Github
@perlmint
Bluesky
bsky.perlmint.dev
1

알고계십니까? 고대의 언어인 줄 알았던 Smalltalk 친척 Self는 놀랍게도 최근까지도 업데이트가 되고 있습니다. https://selflanguage.org/

JavaScript의 .prototype 개념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진 Self가 어떤 언어인지 궁금하시다면 Series about Self(lobste.rs)를 읽어보세요.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여러분의 시야가 넓어지는 데에 도움이 될 겁니다.

한국어 번역:

  1. 환경
  2. 언어
  3. 디버거, 트랜스포터, 그리고 문제점
  4. 커뮤니티, 역사, 미래, 형이상학
8

진짜 이름만 들어도 아는 프로젝트들 사이에 있는 Fedify...

We invest globally in the open software components that underpin Germany's and Europe's competitiveness and ability to innovate. Improving the security, stability, and reusability of open software components directly enhances the productivity, competitive edge, and capacity for innovation of startups and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We’re excited to be working with these maintainers and FOSS communities, and to support the software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the infrastructure of the 21st century.

Here are some of the projects the Sovereign Tech Fund has recently commissioned work on:

Scala, SDCC, Let's Encrypt, Servo, chatmail, Drupal, Fedify, openprinting, PHP, Apache Arrow, Open SSL, R Project, Open Web Docs, conda, systemd, and phpseclib

https://www.sovereign.tech/news/newsletter-october-2025

9
4
0
1

Perlmint shared the below article:

[IoT] Guide for IoT Beginners

Juan @juanjin@hackers.pub

This technical blog post provides a comprehensive overview of the Internet of Things (IoT), demystifying its core concepts and architecture. It explains how IoT bridges the physical and digital worlds through interconnected devices, gateways, service applications, and servers. The pos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oT for individuals, businesses, and society, highlighting its potential to enhance convenience, efficiency, and sustainability. The author explores essential IoT components, including end-devices, gateways, servers, and service applications, detailing their roles in sensing, transmitting, processing, and acting on data. It also addresses common misconceptions about IoT, clarifying that it extends beyond smart homes and involves multidisciplinary systems. The post further discusses network topologies like direct connections, hierarchical connections, and mesh networks, explaining their trade-offs in terms of power, scalability, and resilience. Additionally, the author delves into non-IP connection technologies, such as UART, CAN, IEEE 802.11, Bluetooth/BLE, LoRa, and GNSS, and application protocols like LoRaWAN, MAVLink, UAVCAN, NMEA/UBX, Thread, CoAP, MQTT, and LwM2M. The post also covers Firmware Update Over-The-Air (FUOTA) and IoT security, emphasizing the need for cryptographic foundations, secure communication, secure boot, and access control. The author concludes by calling for greater investment, education, and ecosystem building in IoT, particularly in South Korea, to catch up with global advancements. This post is valuable for anyone seeking a deeper understanding of IoT and its potential impact on various aspects of life and industry.

Read more →
1
1
0
0
0
0
0
0
2
0
0
1
0
0
0
0
0

사무실 나왔는데 집에 있는 업무용 데스크탑에 연결이 안된다... 진짜 IPMI세팅을 해야하나... 전원 끄고 켜는건 zigbee 장치로 잘 되는 편인데 windows문제 발생시 해결 방법이 물리 접근 뿐이라...

1

사무실 나왔는데 집에 있는 업무용 데스크탑에 연결이 안된다... 진짜 IPMI세팅을 해야하나... 전원 끄고 켜는건 zigbee 장치로 잘 되는 편인데 windows문제 발생시 해결 방법이 물리 접근 뿐이라...

1

The federated and networked oekaki board, Oeee Cafe, now support emoji reactions from the fediverse! You also get notifications from the fediverse as well.

A drawing of Zapdos, with reactions received from the fediverse shown below.List of notifications received from the fediverse.
9

예전 일이지만, Windows CI장비에서 수상하게도 git 작업이 타임아웃이 나는 문제가 있었다. 장비에 접속해서 확인해보니 false.exe가 영-원히 켜져 있는 상태로 멈춰 있었바. 아니... 그냥 exit code 설정하고 끝나는 프로그램이 왜...

대충 그동안의 경험으로 서버 장비라고 안그래도 gnu 싫어하는 백신이 더 심하게 하는가보다 싶었고, https://github.com/uutils/coreutils 에서 false를 빌드해다가 갈아치우니까 문제가 완전히 사라졌다.

진짜 뭐가 맘에 안들어서 그러는지 모르겠다...

1

고장난 테스트를 다 고쳤다. 하지만 CI에서 돌리기는 요원한데... 독점 소프트웨어 + GUI의 지옥의 콜라보... 분명 cli를 지원하는데 cli에서 GUI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을 똑같이 실행해도 에러가 난단 말이지...

1
1

Windows에서 ssh 건너 linux 위에서 도는 zellij에 뭔가 마우스 관련 이벤트 전송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마우스 포인터가 움직였을 뿐인데 상당히 규칙적으로 패널 레이아웃이 바뀌고, 키 입력이 발생해 있다.

0

Windows에서 ssh 건너 linux 위에서 도는 zellij에 뭔가 마우스 관련 이벤트 전송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마우스 포인터가 움직였을 뿐인데 상당히 규칙적으로 패널 레이아웃이 바뀌고, 키 입력이 발생해 있다.

0

Helix이제 좀 손에 익는 것 같긴 한데 거의 쓰지도 않은 vim 키 입력을 자꾸 한다. 애매하게 비슷한 느낌이 있어서 그런 듯. Emacs 쓸때는 그래본 적이 없고, Helix에 Emacs 키 입력을 하는 일은 없다.

1

Helix, gitui, alacritty는 다 windows배포를 하는데, zellij만 공식 미지원 상태라 빌드도 깨져 있다. Helix는 내부에서 터미널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zellij를 같이 써야 좋겠는데, 아쉽다.

1
0
0
2
1

11월 중순~11월 말 사이에 해커스펍 오프라인 밋업 Hackers' Public 두번째 모임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눈물없이 듣기 어려운 프론트엔드의 심연" 특집입니다...... 11월 1일~11월 8일 사이에 모집 공고 올릴듯????? 아직은 오피셜한 공지는 아니지만 정보만 슬쩍 흘려봅니다,,,

9

이쯤 하면 이걸로 밈 쪄도 되는 거 아니냐

아이폰은 역시 KT 라면서 프로필 업데이트를 10년을 뭉개는 게 어딨음 ㅋㅋㅋㅋㅋㅋㅋ

전자신문 기자, 2015: 어 이거 IPSec 없어서 문제있는데요?
KT, SKT, LGU+: ㅇㅇ 고쳤음
(10년후)
KT: 어 우리 왜 IPSec 아이폰에서 꺼져있냐 (26 dev beta 3 에 프로필 업데이트를 밀어넣으며)

연합뉴스 출처 KT 아이폰 홍보 이미지. iPhone 11 도 역시 KT!  18일 사전예약 시작 문구가 적혀있다
1
0
0
1
0
0
1
0

개인적으로 일반적인 사람에겐 이 이유는 멍멍이소리라고 생각함. 트위터에 알고리즘 타임라인이 들어가고, Grok이 들어가고 할때마다 이탈하는 유저들도 많았지만 신세대 유저들은 그거 자체에 익숙해졌음. 구글이 나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는 놀이도 있었고.

요약: 대부분의 사람들은 개인정보 별로 신경 안 씀

RE:
sns.lemondouble.com/notes/adp7ptwsye

그렇다면 왜 셀프호스트를 하는가?

글쌔요 왜하지 (긁적) 각각 다 다른듯?

- 소셜 계정의 경우, 운영 측의 간섭을 받지 않기 위해
- 백업이나 NAS의 경우, 비싼 월간 요금 대신 직접 내 장비에 돈을 투자하려고 (장기적으로 보면 이득일까? 라는 얄팍한 사고)
- 암호 저장이나 노트 등 중요한 정보를 넣을 수 있는 경우: 해킹 피해를 피하려고. 거대 서비스는 해킹하는 맛이 있는 목표지만 개인 서버는 자동봇으로 치는 것 외에는 별 가치가 없어서, 보안 수준이 서비스보다 떨어져도 가치는 있다고 생각함

종합하자면 셀프호스트를 하는 이유는 "셀프호스트가 거기에 있기에" ...읍읍... 부수적인 딸려오는 효과가 꽤나 마음에 들어서, 장비를 버릴수도 없어서 남이있는다고 보면 맞을듯?

1

오는 11() 8() 光云大學校(광운대학교)에서 開催(개최)되는 FOSS for All 컨퍼런스 2025에서 제가 〈야크 셰이빙: 새로운 오픈 소스의 原動力(원동력)〉이라는 主題(주제)基調演說(기조연설)을 하게 되었습니다!

올해 처음 열리는 FOSS for All 컨퍼런스는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for All”이라는 슬로건 아래, 모두를 ()한 오픈 소스 컨퍼런스를 目標(목표)로 하는 非營利(비영리) 오픈 소스 커뮤니티 컨퍼런스입니다.

파란色 背景의 FOSS for All 컨퍼런스 2025 發表者 카드. 右側 아래에는 發表者 洪民憙의 寫眞이 있고, 中央의 흰色 말風船 안에는 「Keynote」라는 文句와 함께 發表 題目 〈야크 셰이빙: 새로운 오픈 소스의 原動力〉이 쓰여 있다.
15
0
0
1
0
0
1

갑자기 MiHome으로 Home assistant 에 연결해놨던 로보락 청소기가 안뜨고, 재연결도 안된다. 커펌 지원하는 구형모델이다. 하지만 뚜껑따고 납땜해야 올릴 수 있는데...

0

@server_destroyer:biological_server: 수다쟁이 렌게쨩 (お喋りレンゲちゃん) :sabakan: 6월 22일에 G-클라우드로 전환작업을 했었데요.

그때 지금 국정자원으로 들어갔다가 사단이 나서 일단 등기/소포 업무는 쳐야되니까 이전 서버 다시 키고 그걸로 업무본거에요.

그래서 29일에 집배원들 헬게이트 열렸다고... 수기 수령증 썼다고 들었어요. 그 때 배달할 물건들이 전산에 뜰리가 없었으니까요

0
1
10
5
1
1

안녕하세요! Jeju.Social은 소셜 미디어 프로젝트로 만들어졌습니다. 제주의 친구, 가족, 기업이 안전하게 사진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온라인 커뮤니티입니다.

Hello! Jeju.Social was created as a social media project. It is an online community where friends, family, and businesses in Jeju can share photos and information safely. English friendly.

2
0
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