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matdo도막도 그 둘이 사실 수반 함자(Adjoint Functor)의 구현입니다. 강한 형 CBPV를 사용하면
thunk(-)
는 Up -
의 생성자고 return
은 Down -
의 생성자인데요, 이 두 함자 Up
과 Down
이 수반 함자 쌍을 이룹니다.
@domatdo도막도 다른 말로는
Up (Down a)
는 모나드(Monad)고 Down (Up a)
는 코모나드(Comonad)가 되는데요, 이를 이용해 CBPV는 Effect 또한 자연스럽게 다룰 수 있습니다. 글에서 다루기에는 소개할 내용이 많아서 생략했지만요.
❤️
1 person reacted.
규칙을 만들고, 부수고, 살펴보고, 고치기를 좋아합니다. 논리를 다루는 일이 즐거워 프로그래밍을 업으로 삼았습니다. 현재는 프론트엔드 플랫폼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제에 특히 관심이 많습니다.
- 프로그래밍 언어론
- 타입 이론
- 소프트웨어 아키텍쳐
- 글쓰기 그리고 맥주와 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