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 극우 3.0’은 어떻게 등장했나
h21.hani.co.kr/arti/politic...
"그래도 한국의 경우 가장 두드러지는 경로는 안전에 대한 절박한 요구에서 비롯된다. 트랜스젠더에 대한 근거 없는 공격이 엔(n)번방 사건 등이 폭로될 때 “여성 안전”이라는 이름으로 더욱 격화됐던 사실을 떠올려보자. 한국 여성 극우화 책임은 근본적으로 여성에 대한 폭력을 용인하는 한국의 가부장제에 있다."
‘여성 극우 3.0’은 어떻게 등장했나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quote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bsky.brid.gy/convert/ap/at://did:plc:7reki7xuobtaq6iuqquznqby/app.bsky.feed.post/3lyrs4vnbks2w on your instance and quote it. (Note that quoting is not supported in Masto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