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crafters 같은 거로 Build you own X 같은건 많이 해 봤는데, 서비스 개발쪽은 거의 해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

Hyunjoon Kim
@d01c2@hackers.pub · 34 following · 32 followers
Yet another PL enthusiast a.k.a. Hyunjoon Kim, d01c2 plz read my nickname as 'dolce'.
moonbit과 wasm 쪽을 좀 알아보기로 결정
아예 다른 분야에서 사이드 플젝을 해보고 싶은데... 막상 떠오르는게 없네... 걍 잠깐 다른 공부하고 싶음
codecrafters 같은 거로 Build you own X 같은건 많이 해 봤는데, 서비스 개발쪽은 거의 해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
아예 다른 분야에서 사이드 플젝을 해보고 싶은데... 막상 떠오르는게 없네... 걍 잠깐 다른 공부하고 싶음
6월에 노르웨이 가는데, 비행시간 진짜 아득하네...
그렇지만? 이번 학기만 지나면 빠른 종시를 칠 수 있다
근데 그래도 공부량은 적긴 한듯...?
대학원생이 되어도 중간고사 공부를 해야한다고? 에혀... 코스웍 몰아듣기로 결정한 내 업보겠지...
그렇지만? 이번 학기만 지나면 빠른 종시를 칠 수 있다
대학원생이 되어도 중간고사 공부를 해야한다고? 에혀... 코스웍 몰아듣기로 결정한 내 업보겠지...
Hyunjoon Kim shared the below article:
같은 것을 알아내는 방법

Ailrun (UTC-5/-4) @ailrun@hackers.pub
이 글은 일상적인 질문에서부터 컴퓨터 과학의 핵심 문제에 이르기까지, '같음'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적용되고 해석되는지를 탐구합니다. 특히, 두 프로그램이 '같은지'를 판정하는 문제에 초점을 맞춰, 문법적 비교와 $\beta$ 동등성이라는 두 가지 접근 방식을 소개합니다. 문법적 비교는 단순하지만 제한적이며, $\beta$ 동등성은 프로그램의 실행을 고려하지만, 계산 복잡성으로 인해 적용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의존 형 이론에서의 형 검사(변환 검사)는 $\beta$ 동등성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사례임을 설명합니다. 이 글은 '같음'의 개념이 프로그래밍과 타입 이론에서 어떻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 그리고 이 개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구현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강조하며 마무리됩니다.
Read more →여기에서는 트위터보다 조금 더 편하게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해커스펍 가입해놓고 글 하나 안 올렸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