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교환 포맷에 있어 현재 JSON은 절대적 위치를 가지고 있지만, 업무에 따라선 다른 포맷을 사용해달라는 요구가 종종 있다.

데이터 크기를 줄이고자 하는 목적이 가장 크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언어 표현 (HTML, SQL, XML 등) 사이의 일부로 들어갔을 때 미적으로 좋은 편이 아니라는게 다른 포맷을 요구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이유로 현장에서는 지속적으로 다양한 데이터 교환 포맷이 제안되어 왔다. 최근에는 AI 시대에 맞춰 TOON(Token-Oriented Object Notation)이라는 LLM에 최적화된 포맷이 나오면서 많은 주목을 받고있다.

과거, 나도 새로운 데이터 포맷을 만들라는 요구를 피해갈 수 없었던 사례가 있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포맷으로 향후 누군가가 인터페이스 할 경우를 대비해 GitHub에도 어떤 표현 형식인지를 공유해두었다.

그 사례도 공유해보고자 한다.

github.com/gnh1201/catsplit-fo

1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quote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catswords.social/users/gnh1201/statuses/115579793174975263 on your instance and quote it. (Note that quoting is not supported in Masto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