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유류의 번식―암컷 관점

정진명의 굳이 써서 남기는 생각 @jm@guji.jjme.me

서지정보

서명: 포유류의 번식―암컷 관점
저자: 버지니아 헤이슨(Virginia Hayssen), 테리 오어(Teri J. Orr)
역자: 김미선(감수 최진)
출판사: 뿌리와이파리
출간일: 2021년 5월 17일
원서명: Reproduction In Mammals: The Female Perspective
원서 출간일: 2017년

생각

『포유류의 번식―암컷 관점』은 『오파비니아』 시리즈의 멋진 점을 역설하는 다음 트윗들이 계기가 되어 사게 된 책입니다.

오직 삼엽충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300페이지 양장본을 내주는 건 오파비니아 시리즈 밖에 없음 https://t.co/msj0PGrBZe pic.twitter.com/SUD6CWRMg2

— Hae Doyeon (@aMoonWatcher) April 5, 2025

트위터리안 Hae Doyeon의 트윗. "오직 삼엽충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300페이지 양장본을 내주는 건 오파비니아 시리즈 밖에 없음"이라는 내용과 함께 『삼엽충』이라는 책이 언급되어 있다.

뿌리와이파리 〈오파비니아〉 시리즈는 진짜 말도 안되는 한국 과학출판계의 기적이다. 개인적으로는 시리즈 이름이 〈티라노〉가 아니라 〈오파비니아〉인 것부터가 진정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함. 그리고 그중 정말 놀라웠던 출간을 꼽아보라면 pic.twitter.com/hp66klKva3

— 〈김방통〉 (@kimbangtong) January 15, 2024

트위터리안 〈김방통〉(괄호 포함)의 트윗. "뿌리와이파리 〈오파비니아〉 시리즈는 진짜 말도 안되는 한국 과학출판계의 기적이다. 개인적으로는 시리즈 이름이 〈티라노〉가 아니라 〈오파비니아〉인 것부터가 진정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함. 그리고 그중 정말 놀라웠던 출간을 꼽아보라면" 이라는 내용과 함께 『진화의 키, 산소 농도』, 『공룡 이후』, 『걷는 고래』, 『노래하는 네안데르탈인』 네 권의 표지가 올라와 있다.

정작 제가 책을 전자책으로 우선해서 사기 때문에, 언급된 책들은 리디북스에 없어서 있는 책들 중 제일 흥미로워 보였던 책을 고른 것이 바로 이 『포유류의 번식―암컷 관점』입니다.

책의 내용은 제목이 설명하는 대로입니다. 일단 포유류의 번식과 관련된 과학적 연구를 망라하는 책이며, 그 과정에서 대중의 인식과 충돌할 수도 있는 부분을 포함해 "암컷 관점"이라는 전제 하에 포유류의 번식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점검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이 블로그에 올라오는 도서 목록을 보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저는 자연과학에 관련된 도서를 그렇게 읽어보는 편은 아닙니다. 이 블로그를 쓰기 전에도 꽤 그랬습니다.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가 제 진로 선택에 꽤 중요한 역할을 하기는 했지만, 원래도 생물학과 지구과학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이 없었고 결국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으로 선택하고, 사회에 나와 게임 개발을 업으로 선택하는 과정에서 제 흥미는 자연보다 추상적 대상을 다루는 학문이나, 자연은 전혀 신경도 쓰지 않는, '인간'이라는 헛소리가 없으면 성립하지 않는 종류의 학문으로 이동했다고 할 수 있지요.

그 점에서 이 책은 수많은 연구를 언급하고, 그 연구 중 많은 부분은 많은 사람들이 살면서 한두번 볼까 말까 한 동물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지요. 산업적으로 응용할 여지라는 이름으로 제 머리속에서 합리화시킨 제 세부 전공에 비해서 꽤 '앎' 그 자체가 목적으로 보이는 이런 연구들을 보면 처음 드는 생각은 "이런 것도 연구를 한다고? 이런 연구는 어떤 자금으로 하는 거지?" 같은 생각입니다. '실용적'이라고 누군가가 판단해야 거기에 자원이 투자될 수 있을 거라는 게 제게 깔려 있는 생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결국은 '기초 과학'에 들이는 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그 사람들에게 자원이 투자될 수 있도록 힘쓰는 사람들의 노고에 감사하게 됩니다. 공동체의 자원 분배를 '효율적'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언제나 힘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기초 과학에 대한 투자가 '효율적'이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 효율이라는 것이 결국 경제적 이익으로 계산되기 때문이고, 기초 과학이 두터워지는 것의 효익은 가사 노동이 GDP에 반영될 수 없는 것만큼이나, 공리주의가 도덕의 궁극적 도달점일 수 없는 것만큼이나 대차대조표상에서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효율이라는 잣대를 넘어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에 기여하는 사람들에게 감사할 수밖에 없습니다.

당연히 이 책에서 언급한 연구들은 어떤 식으로든 실용적 이익으로 환원됩니다. 번식에 대한 이해는 생물종의 보전에 필수적이며, 생물종의 보전은 인류의 이익에 기여하겠지요.(책의 후반부에서 언급하는 바입니다.) 대중의 철지난 관념을 보완하는 것-예를 들자면 정자가 난자에 도달하기 위해 경쟁한다는 믿음(Holt, Fazeli 2016:105)-에 반박하는 것에도 그만한 가치가 있겠지요.

그러나 그런 재기 쉬운 이익이 아니더라도, 우리가 우리를 둘러싼 세상의 작동 방식에 더 정확한 이해를 갖는 것은 그 자체로 가치있는 일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제가 이 책을 읽는 것이 즐거웠다는 사실도요.

Read more →
0
0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quote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guji.jjme.me/.ghost/activitypub/article/61a02c0c-9e1e-4e0a-9f97-24cd30402952 on your instance and quote it. (Note that quoting is not supported in Mastodon.)

트위터리안 Hae Doyeon의 트윗. \\\"오직 삼엽충에 대해서만 이야기하는 300페이지 양장본을 내주는 건 오파비니아 시리즈 밖에 없음\\\"이라는 내용과 함께 『삼엽충』이라는 책이 언급되어 있다.

뿌리와이파리 〈오파비니아〉 시리즈는 진짜 말도 안되는 한국 과학출판계의 기적이다. 개인적으로는 시리즈 이름이 〈티라노〉가 아니라 〈오파비니아〉인 것부터가 진정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함. 그리고 그중 정말 놀라웠던 출간을 꼽아보라면 pic.twitter.com/hp66klKva3

— 〈김방통〉 (@kimbangtong) January 15, 2024
\\n

트위터리안 〈김방통〉(괄호 포함)의 트윗. \\\"뿌리와이파리 〈오파비니아〉 시리즈는 진짜 말도 안되는 한국 과학출판계의 기적이다. 개인적으로는 시리즈 이름이 〈티라노〉가 아니라 〈오파비니아〉인 것부터가 진정성을 보여준다고 생각함. 그리고 그중 정말 놀라웠던 출간을 꼽아보라면\\\" 이라는 내용과 함께 『진화의 키, 산소 농도』, 『공룡 이후』, 『걷는 고래』, 『노래하는 네안데르탈인』 네 권의 표지가 올라와 있다.

정작 제가 책을 전자책으로 우선해서 사기 때문에, 언급된 책들은 리디북스에 없어서 있는 책들 중 제일 흥미로워 보였던 책을 고른 것이 바로 이 『포유류의 번식―암컷 관점』입니다.

책의 내용은 제목이 설명하는 대로입니다. 일단 포유류의 번식과 관련된 과학적 연구를 망라하는 책이며, 그 과정에서 대중의 인식과 충돌할 수도 있는 부분을 포함해 \\\"암컷 관점\\\"이라는 전제 하에 포유류의 번식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점검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이 블로그에 올라오는 도서 목록을 보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저는 자연과학에 관련된 도서를 그렇게 읽어보는 편은 아닙니다. 이 블로그를 쓰기 전에도 꽤 그랬습니다. 『정재승의 과학 콘서트』가 제 진로 선택에 꽤 중요한 역할을 하기는 했지만, 원래도 생물학과 지구과학에 대해서는 크게 관심이 없었고 결국 대학교에서 수학을 전공으로 선택하고, 사회에 나와 게임 개발을 업으로 선택하는 과정에서 제 흥미는 자연보다 추상적 대상을 다루는 학문이나, 자연은 전혀 신경도 쓰지 않는, '인간'이라는 헛소리가 없으면 성립하지 않는 종류의 학문으로 이동했다고 할 수 있지요.

그 점에서 이 책은 수많은 연구를 언급하고, 그 연구 중 많은 부분은 많은 사람들이 살면서 한두번 볼까 말까 한 동물들에 대해서 다루고 있지요. 산업적으로 응용할 여지라는 이름으로 제 머리속에서 합리화시킨 제 세부 전공에 비해서 꽤 '앎' 그 자체가 목적으로 보이는 이런 연구들을 보면 처음 드는 생각은 \\\"이런 것도 연구를 한다고? 이런 연구는 어떤 자금으로 하는 거지?\\\" 같은 생각입니다. '실용적'이라고 누군가가 판단해야 거기에 자원이 투자될 수 있을 거라는 게 제게 깔려 있는 생각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결국은 '기초 과학'에 들이는 많은 사람들의 노력과 그 사람들에게 자원이 투자될 수 있도록 힘쓰는 사람들의 노고에 감사하게 됩니다. 공동체의 자원 분배를 '효율적'으로 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언제나 힘이 있습니다. 그리고 저는 기초 과학에 대한 투자가 '효율적'이기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그 효율이라는 것이 결국 경제적 이익으로 계산되기 때문이고, 기초 과학이 두터워지는 것의 효익은 가사 노동이 GDP에 반영될 수 없는 것만큼이나, 공리주의가 도덕의 궁극적 도달점일 수 없는 것만큼이나 대차대조표상에서 헤아릴 수 없기 때문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효율이라는 잣대를 넘어 기초과학에 대한 투자에 기여하는 사람들에게 감사할 수밖에 없습니다.

당연히 이 책에서 언급한 연구들은 어떤 식으로든 실용적 이익으로 환원됩니다. 번식에 대한 이해는 생물종의 보전에 필수적이며, 생물종의 보전은 인류의 이익에 기여하겠지요.(책의 후반부에서 언급하는 바입니다.) 대중의 철지난 관념을 보완하는 것-예를 들자면 정자가 난자에 도달하기 위해 경쟁한다는 믿음(Holt, Fazeli 2016:105)-에 반박하는 것에도 그만한 가치가 있겠지요.

그러나 그런 재기 쉬운 이익이 아니더라도, 우리가 우리를 둘러싼 세상의 작동 방식에 더 정확한 이해를 갖는 것은 그 자체로 가치있는 일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제가 이 책을 읽는 것이 즐거웠다는 사실도요.

\",{},{},false,0,{},\"01980672-3eec-721f-a569-53019c8dae27\",\"https://www.amazon.com/Reproduction-Mammals-Perspective-Virginia-Hayssen/dp/1421423154\",\"https://guji.jjme.me/reproduction-in-mammals-the-female-perspective/\",[\"Date\",\"2025-07-14T01:00:05.000Z\"],[\"Date\",\"2025-07-14T01:00:05.000Z\"],{\"id\":10,\"iri\":24,\"type\":25,\"username\":26,\"instanceHost\":27,\"handleHost\":27,\"handle\":28,\"accountId\":-2,\"name\":29,\"bioHtml\":30,\"automaticallyApprovesFollowers\":31,\"avatarUrl\":32,\"headerUrl\":-2,\"inboxUrl\":33,\"sharedInboxUrl\":-2,\"followersUrl\":34,\"featuredUrl\":-2,\"fieldHtmls\":35,\"emojis\":36,\"tags\":37,\"sensitive\":15,\"successorId\":-2,\"aliases\":38,\"followeesCount\":39,\"followersCount\":40,\"postsCount\":16,\"url\":41,\"updated\":42,\"published\":-2,\"created\":43,\"instance\":44,\"followers\":49,\"blockees\":84,\"blockers\":85},\"https://guji.jjme.me/.ghost/activitypub/users/index\",\"Person\",\"jm\",\"guji.jjme.me\",\"@jm@guji.jjme.me\",\"정진명의 굳이 써서 남기는 생각\",\"잊지 않기 위해 씁니다. 읽기 위해 씁니다.\",true,\"https://ghost.org/favicon.ico\",\"https://guji.jjme.me/.ghost/activitypub/inbox/index\",\"https://guji.jjme.me/.ghost/activitypub/followers/index\",{},{},{},[],4,18,\"https://guji.jjme.me/\",[\"Date\",\"2025-04-02T14:31:51.520Z\"],[\"Date\",\"2025-04-02T14:31:51.520Z\"],{\"host\":27,\"software\":45,\"softwareVersion\":46,\"updated\":47,\"created\":48},\"ghost\",\"0.1.0\",[\"Date\",\"2025-06-24T02:29:35.413Z\"],[\"Date\",\"2025-04-02T14:31:49.754Z\"],[50,55,60,65,70,75,80],{\"iri\":51,\"followerId\":52,\"followeeId\":10,\"accepted\":53,\"created\":54},\"https://hackers.pub/ap/actors/0196b3f8-a025-7bd7-b63f-de0119bf7bb8#follow/93dc2e7a-bf05-4680-afc0-5f684ccb9467\",\"0196b3f8-a057-7f0f-b16e-b5ac89daba52\",[\"Date\",\"2025-05-10T02:19:32.881Z\"],[\"Date\",\"2025-05-10T02:19:29.351Z\"],{\"iri\":56,\"followerId\":57,\"followeeId\":10,\"accepted\":58,\"created\":59},\"https://hackers.pub/ap/actors/01970abb-ff8c-70bd-bb71-4234cbd12e94#follow/7a80fa95-6098-4f07-8f0c-d7b84ccccc96\",\"01970abb-ffbe-7624-81cf-9fabecc7756d\",[\"Date\",\"2025-05-26T04:05:09.923Z\"],[\"Date\",\"2025-05-26T04:05:05.688Z\"],{\"iri\":61,\"followerId\":62,\"followeeId\":10,\"accepted\":63,\"created\":64},\"https://hackers.pub/ap/actors/0195d882-f6fb-78b4-93e3-dff56f5015c4#follow/d7d81ff6-9a52-4f11-975c-e90ac24ef57b\",\"0195d882-f70f-72e7-aa0d-98bc585d9e81\",[\"Date\",\"2025-04-02T14:36:19.841Z\"],[\"Date\",\"2025-04-02T14:35:59.379Z\"],{\"iri\":66,\"followerId\":67,\"followeeId\":10,\"accepted\":68,\"created\":69},\"https://hackers.pub/ap/actors/0193bf76-0d9f-7099-87bc-259b17a5af7f#follow/7e134951-3247-42f4-9cc4-599a188a9dbc\",\"0193bf76-0dbc-7ff6-9ccd-d5e97aac34fe\",[\"Date\",\"2025-04-02T14:40:58.112Z\"],[\"Date\",\"2025-04-02T14:40:54.732Z\"],{\"iri\":71,\"followerId\":72,\"followeeId\":10,\"accepted\":73,\"created\":74},\"https://hackers.pub/ap/actors/0195cce5-ae0c-7c39-8d36-79da56b3cc31#follow/87c3238a-d6bb-417d-bc36-fa6334ce5776\",\"0195cce5-ae1d-7603-b16c-d6431057f168\",[\"Date\",\"2025-04-02T14:43:06.553Z\"],[\"Date\",\"2025-04-02T14:43:02.922Z\"],{\"iri\":76,\"followerId\":77,\"followeeId\":10,\"accepted\":78,\"created\":79},\"https://hackers.pub/ap/actors/019382d3-63d7-7cf7-86e8-91e2551c306c#follow/24a7776a-395c-4d0e-8d6d-985b9e07211a\",\"019382d3-6410-79ff-b798-6e3e7a41d106\",[\"Date\",\"2025-04-02T14:57:53.454Z\"],[\"Date\",\"2025-04-02T14:57:48.711Z\"],{\"iri\":81,\"followerId\":82,\"followeeId\":10,\"accepted\":-2,\"created\":83},\"https://hackers.pub/ap/actors/01975cd6-8d65-7a80-9fd6-1478402b36c3#follow/830167a9-08df-478f-b207-e3f986ae3f0a\",\"01975cd6-8d7e-7192-a4d2-c5e1059a101c\",[\"Date\",\"2025-06-11T04:52:14.596Z\"],[],[],{\"id\":18,\"url\":19,\"title\":87,\"siteName\":-2,\"type\":-2,\"description\":-2,\"author\":-2,\"imageUrl\":-2,\"imageAlt\":-2,\"imageType\":-2,\"imageWidth\":-2,\"imageHeight\":-2,\"creatorId\":-2,\"created\":88,\"scraped\":89,\"creator\":-2},\"Amazon.com\",[\"Date\",\"2025-07-14T01:00:07.280Z\"],[\"Date\",\"2025-07-14T01:00:07.280Z\"],[],[],[],[],{\"slots\":95,\"props\":96},[],{\"class\":97,\"language\":4,\"post\":5,\"active\":98,\"signedAccount\":-1},\"mt-4 ml-14\",\"quo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