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론 소프트웨어 장인 정신에 가까운 것도 잃어버린지 오래되어 흔히 얘기하는 해커는 아니게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AI로 바이브코딩이 가능해지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가 더 잘 사용할 수 있는 환경까지 마련되면서 소프트웨어 개발에 본질에 더 가까워질 수 있지 않나?라는 생각도 듭니다.
제가 생각하기엔 AI와 함께 인간 지능은 해결해야하는 문제와 이를 뒷받침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에 더 잘 집중할 수 있다고 느꼈습니다. 그리고 이것들을 빠르게 반복하면서 개선할 수 있는 생산성까지 얻게된 셈이니까요. 적어도 몇년전부터 그리고 앞으로도 코딩에만 집중하지 못할 저에게는 그러한 부분이 더 크게 다가왔던것 같네요.
최근 바이브코딩에 너무 익숙해지며 생기는 반대 급부 문제도 있습니다만(모든 코드를 다 쉽게 accept한다던지 ㅋㅋㅋ), 발전된 기술을 사용하면서 오는 사이드 이펙트 정도로 생각하고 좋은 해결 방법을 계속 고민하면 되는 문제 정도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세상은 너무 빠르게 바뀌고 있기 때문에 내년 여름쯤에는 또 다른 생각을 하고 있을수도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