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 Universe Unplugged 2025-08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하려 합니다. 온라인으로 누구나 .NET에 관련된 주제라면 무엇이든 들고와서 발표할 수 있는 세미나로 만들어보고 싶어 기획했는데, 많이 알려주시고 참여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 소셜 피드에도 공유합니다. :-D
https://forum.dotnetdev.kr/t/net-universe-unplugged-2025-08/13457
@maka@hackers.pub · 14 following · 18 followers
pixel perfect.
.NET Universe Unplugged 2025-08 온라인 세미나를 진행하려 합니다. 온라인으로 누구나 .NET에 관련된 주제라면 무엇이든 들고와서 발표할 수 있는 세미나로 만들어보고 싶어 기획했는데, 많이 알려주시고 참여해주시면 좋을 것 같아 소셜 피드에도 공유합니다. :-D
https://forum.dotnetdev.kr/t/net-universe-unplugged-2025-08/13457
A Very Tidy Handheld Pi Terminal Indeed
https://hackaday.com/2025/07/27/a-very-tidy-handheld-pi-terminal-indeed/
개인적으로 취미 삼아 만드는 클라이언트에 실험적인 미스키 지원을 추가했다. 사실 제대로 발전시켜볼 생각은 없지만....
어찌저찌 gnome-remote-desktop으로 설정했지만 애초에 CLI 고려가 전혀 안 되어 있고 필요 패키지도 몇가지 누락되어 있는데다 설정부터가 기본적으로 GUI GNOME 환경에서 이루어질걸 전제하고 있다.
매우 설정하기 불편해져서 만일 리모트에서 SSH로 RDP/VNC 서버를 띄운다면 매우 힘들어진다.
일단 설정하는데 모니터를 따로 물려서 gnome-remote-desktop을 설정했다. SSH로 Pub/Private Key pair 설정시킨것과 외부 입력 허용 설정 들어간건 전부 다 설정되어 있었다.
User Service로 g-r-d를 등록시키고 시스템을 재부팅한 뒤에 내 메인 랩탑에서 KRDC를 통해서 RDP 연결이 잘 Accept되는 것도 확인하였다.
그 이후 모니터 케이블을 제거하고(중요함) 다시 KRDC를 통해서 접속을 시도해봤다. 이상하게 계속 접속을 거부하길래 로그를 열었더니 "Unknown Monitor" 오류를 내며 연결에 실패하고 있었다.
https://gitlab.gnome.org/GNOME/gnome-remote-desktop/-/issues/49 해당 문제에 대해 찾아보니 tigervnc나 xrdp처럼 별도의 X 서버를 여는것과 같이 wayland 컴포지터 세션을 새로 열어주는게 아닌 그냥 그저 GNOME의 Mutter가 실제 모니터로 출력되고 있을 때 화면 캡쳐와 키보드 마우스 입력을 포워딩하는 물건이였다.
GNOME 측에서는 "remote assistance sessions"을 위한 프로젝트라면서 Headless Remote Session에 대한 지원은 없을 것이라고 한다.
문제는 RHEL 10에서 공식적으로 완전히 제거된 tigervnc와 xrdp를 사용한 headless remote session을 g-r-d에서는 사용할수 없다는 점에 있다. 외부에서 서버에 접속하고 싶다면 서버는 항상 모니터에 연결되어 있어야 한다.
굉장히 불편하지만 해결 방법이 없는지 생각중이다.
현재 내 개인 서버에서는 Oracle Linux 10을 이용중인데 (AlmaLinux 10, Rocky Linux 10, CentOS Stream 10, RHEL 10도 포함) XRDP를 비롯한 VNC 서버 패키지들이 전부 제거되어 있었다.
어찌된 일인지 pkgs.org를 마구 검색해도 VNC와 RDP 패키지들은 하나도 남아있지 않았다. 그래서 검색해보니 Red Hat이 RHEL 10부터 tigervnc와 xrdp를 드랍한듯 하다.
대체제로는 GNOME의 Remote Desktop 서버를 쓰라는데 맞는 행동인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이제는 KDE와 GNOME 모두 Wayland로 갈아탔고, XRDP와 TigerVNC는 모두 X11의 잔재니 그런거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어찌저찌 gnome-remote-desktop으로 설정했지만 애초에 CLI 고려가 전혀 안 되어 있고 필요 패키지도 몇가지 누락되어 있는데다 설정부터가 기본적으로 GUI GNOME 환경에서 이루어질걸 전제하고 있다.
매우 설정하기 불편해져서 만일 리모트에서 SSH로 RDP/VNC 서버를 띄운다면 매우 힘들어진다.
현재 내 개인 서버에서는 Oracle Linux 10을 이용중인데 (AlmaLinux 10, Rocky Linux 10, CentOS Stream 10, RHEL 10도 포함) XRDP를 비롯한 VNC 서버 패키지들이 전부 제거되어 있었다.
어찌된 일인지 pkgs.org를 마구 검색해도 VNC와 RDP 패키지들은 하나도 남아있지 않았다. 그래서 검색해보니 Red Hat이 RHEL 10부터 tigervnc와 xrdp를 드랍한듯 하다.
대체제로는 GNOME의 Remote Desktop 서버를 쓰라는데 맞는 행동인지는 나도 잘 모르겠다.... 이제는 KDE와 GNOME 모두 Wayland로 갈아탔고, XRDP와 TigerVNC는 모두 X11의 잔재니 그런거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JSON을 처리하는 방법이 몇가지가 있는데 Go처럼 구조체에 맵핑하는 방식이 있다.
Go는 구조체 필드에 태그를 다는 태깅이 가능한데 JSON 파서가 이 필드의 태그를 읽어 맵핑한다.
하지만 재미있게도 이 태그를 통한 접근은 오직 Reflection 패키지를 이용해야만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필드에 접근하는데, 이거부터가 Unsafe한 대입 연산을 허용시켜준다.
Vintage Plasma Display Shows Current Rad Levels
https://hackaday.com/2025/07/26/vintage-plasma-display-shows-current-rad-levels/
그리고 나는 F#의 파이프라이닝 기능은 정말 강력하다고 생각한다.
데이터 중심 프로그래밍과 커링을 한번에 잡는 매우 엘레강스한 설계가 아닐까.
Listening To Ethernet Via Eurorack
https://hackaday.com/2025/07/26/listening-to-ethernet-via-eurorack/
가끔 생각하지만 Go에는 Result<T>와 삼항 연산자가 필요한게 아닌가 생각한다
if err != nil 이라는 반복적이고 예쁘지 않은 안티패턴들을 계속 만들어내게 된다
오히려 익명 함수같은 체계는 다른 언어보다 잘되어있고 더 직관적이라고 생각한다 익명 함수를 잘 활용할수 있는 환경에서도 없다는건 많이 아쉽다
지금까지 Go를 하며 삼항 연산자를 써본적이 없다는 것에 놀랍지만 며칠 전에 쓸 일이 있었고 써보려고 하니 없는 문법이라고 한다
(구글에 검색했을때 Gemini 검색 결과로는 있다고 했다. 어떻게 구글의 프로덕트가 구글의 언어에서 할루시네이션을 일으키나.)
Go답게 잘 치환할수 있는 문법이 있을것 같은데 제네릭도 구글의 초안과 많이 달라진걸 생각하면 삼항이 들어와도 어떤 형태일지 전혀 모르지 않을까
가끔 생각하지만 Go에는 Result<T>와 삼항 연산자가 필요한게 아닌가 생각한다
if err != nil 이라는 반복적이고 예쁘지 않은 안티패턴들을 계속 만들어내게 된다
오히려 익명 함수같은 체계는 다른 언어보다 잘되어있고 더 직관적이라고 생각한다 익명 함수를 잘 활용할수 있는 환경에서도 없다는건 많이 아쉽다
안녕하세요! 현재 컴퓨터공학과 학부 2학년 재학중인 새내기입니다.
PLT, Lexer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Emulation, VM 기술 등도 관심이 많습니다. 아직 주 전공 분야를 정하진 못했지만 넓게 두루두루 좋아합니다.
올드 레트로 기술들 또한 좋아합니다.
Go와 .NET 언어 일부를 주력으로 삼고 있으며 F# 을 학습하려고 공부 중입니다.
현재는 취미와 흥미 위주의 프로젝트를 주로 진행 중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컴퓨터공학과 학부 2학년 재학중인 새내기입니다.
PLT, Lexer 등에 관심이 많습니다. Emulation, VM 기술 등도 관심이 많습니다. 아직 주 전공 분야를 정하진 못했지만 넓게 두루두루 좋아합니다.
올드 레트로 기술들 또한 좋아합니다.
Go와 .NET 언어 일부를 주력으로 삼고 있으며 F# 을 학습하려고 공부 중입니다.
현재는 취미와 흥미 위주의 프로젝트를 주로 진행 중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