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러스트 지원 레포에서 이슈 하나 따냈다 리눅스의 기여자가 될테야….

Eunsoo Eun
@maxwell@hackers.pub · 6 following · 14 followers
- !한가한 대학생
- ai, 커널, 웹에 모두 관심이 많아요
- devops를 가장한 잡부
Github
- @maximizemaxwell
다음 OSSCA에는 qiskit이나 양자컴퓨팅 라이브러리 쪽도 팀 꾸려서 진행하면 좋을 것 같은데...
종강 직후에 World of Quantum가는데 너무 기대된다...사실 항상 궁금한 게 양자컴퓨터 원리랑 양자컴퓨팅 라이브러리를 넘어서 그걸 실제로는 어케 쓰고있는지 궁금했음...
양자컴퓨팅 재밌다. 이 이상으로 잡부가 되면 안되는데
러스트 ML붐은 온다 라고 조용히 포효하고 지나갈게요 스르륵
자기소개를 게시글로 올렸군요...그나저나 요약된 게 상당히 재밌네요 하하 하스켈 언젠가는 꼭 배워보고싶다
러스트가 어렵다는 이야기에는 러스트의 특징을 이질적으로 느끼는 경우가 많아서도 있겠지만…어렵다는 말의 재생산이 어렵다는 이미지를 더 굳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일종의 악순환이라고도 생각하는 게…어렵다는 이미지를 가지고 보면 개념 익히는 것도 어렵고 컴파일 에러를 해결하는 과정도 좀 더 고되게 느낄 수 있거든요. 러스트에 대한 이미지를 어렵다고 생각할수록, 갖고있는 배경지식이 러스트와 이질적일수록 어렵다고 느끼는 사람들이 많은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