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범한 어부가 만든 엄청난 변화, 사천 바다가 달라지고 있다(링크: https://v.daum.net/v/20250630114200933) 트위터를 통해 읽게된 기사인데, 많은 울림을 준다.

김정판씨의 걱정은 자신의 죽방렴에만 머물지 않고 늘 바다 전체를 향했다. -> 하는 일에서 조금 더 큰 시각을 가지는 자세의 중요성 "사람이 성을 내면, 생각이 멈춘다 아입니까? 하지만 왜 그럴까, 어떻게 하면 될까, 계속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관찰하다 보면 보이지 않던 게 어느 순간 보이기 시작합니다. 결국은 답을 꼭 찾습니다." -> 시니컬한 자세는 똑똑해 보일 수 있지만, 진짜 똑똑한 사람은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는다. "사람 머리가 똑똑해도 연필 끝보다 못하다"고 말하는 김정판씨는, 시간이 지나면 변질되는 '기억'보다는 '기록'의 힘을 믿었다. -> 기록하면서 왜곡이 안생기게 자기 피드백 루프를 만듦. 김정판씨에겐 '몰입'의 시간이었지만, 누군가에겐 '집착'으로만 보이던 세월이 있었다. 다행히 그 시간은 과거가 되었다. 생업, 관찰, 기록, 어느 하나 소홀히 하지 않고, 달빛과 물때와 한 몸이 되어 돌아가는 일상을 성실히 살아낸 그였기에 가능했다. -> 편집광?? 근면성실함의 가치는 바뀌지 않았다. 알면서 실천하지 않는 게 문제다.문제가 있는데도 '소극적으로 방치'하는 건 '적극적 은폐'와 다를 바 없지 않냐고 '받는' 것과 '물려받는' 것은 다르다. 같은 맥락에서 주는 것과 물려주는 것 역시 다르다. 물려주고 물려받는 행위에는 '책임'이 따른다. 물려받을 때는 거기에 담긴 뜻을 잘 새기며 써야 하고, 물려줄 때는 훼손된 부분이 있는지 잘 살핀 후 복원해서 주는 것이 도리다. -> 우리의 미션을 이어받을 후임자에게 잘 물려주어야 한다.

1

❤️

1 person reacted.

Game developer. Game designer. @hyaline I know that the world is filled with fear, pain, and sadness. I want to understand and empathise with your fear, pain and sadness. Korean, English. he/him. 히아입니다. 512자라니 짧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