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국회 청문회나 공개되는 정보에서도 IMSI와 IMEI와 같은 약어가 나온다. 그러나 "유심 식별번호"나 "유심 인증키", "유심 비밀번호"가 구체적으로 뭔지는 아직도 언급되지 않고 있다. "유심 식별번호"에는 최소한 두 가지가 있고, "유심 인증키"라고 부를 수 있는 것만 최소한 5가지가 있으며, "유심 비밀번호"라고 부를 수 있는 것도 최소한 5가지가 있다. 그 중에서는 메모리 내에서도 가급적 암호화되어야 하는 것과, 디스크에서만 암호화할 수 밖에 없는 것도 섞여 있다. 대부분 여기에 사용되는 암호화 방식은 대칭 키 방식이기 때문에 평문 키에 접근해야 하며, 전가의 보도로 사용되는 "해시"도 사용할 수 없다.

구체적으로 무슨 정보가 유출되었는지가 알려지지 않는 이상, 쓸데없는 보안 관련 규제가 생길 가능성도 간과할 수 없다.

youtu.be/tKScucURjV0?t=10210

유심 식별번호:
- IMSI('임지'라고도 읽음): 이동통신망에서 가입자를 식별할 때 사용하는 번호. SIM에 기록되어 있다.
- ICCID: 신용카드의 카드번호와 동일한 규칙으로 부여되며, 물리적인 SIM 카드를 식별한다. 이동통신망 그 자체에서는 사용되지 않으며, 통신사 영업 전산에서 사용한다.
유심 인증키:
- K_i/OPc: 털리면 엿 되는 것.
- KIc/KID: 원격 접근에 사용하는 인증 키. KIc는 암호화, KID는 RC/CC/DS를 담당함.(GSMA FS.22 § 4 참조)
- KIK: 위 두 KIc, KID를 보호하기 위한 원격 프로비저닝 키.
유심 비밀번호:
- PIN1/PUK1: SIM 카드 탈취를 막기 위한 비밀번호. SIM에 최초 전원 인가 후 사용하기 전에 입력해야 함.
- PIN2/PUK2: SIM 카드의 특정 설정에 접근하기 위한 비밀번호. 통신사에 따라서 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있음.
- ADM: SIM 카드의 파일을 조작하기 위한 비밀번호.

1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quote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social.silicon.moe/users/peremen/statuses/114473074886468029 on your instance and quote it. (Note that quoting is not supported in Masto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