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Hackers' Pub?

Hackers' Pub is a place for software engineers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each other. It's also an ActivityPub-enabled social network, so you can follow your favorite hackers in the fediverse and get their latest posts in your feed.

0
0
0
0
0
0
0

I see a lot of "don't join mastodon.social or other big instances" stuffs on the , but its kind of funny that there's really no good guidance for new ppl beyond "just pick one!"

Big servers are good entry points, at least until the fedi addresses it's kind of trash sign up process. Picking on ppl for choosing those gives "just use Linux" techbro vibes. Its gross.

0

누가 최고의 CDO(Chief Data Officer)인가
------------------------------
- 게임 방식으로 CDO 체험하기
- "당신은 새로 임명된 최고 데이터 책임자(CDO)입니다. 당신의 역할은 데이터 혼돈 속에서 회사를 한 걸음씩 이끌어 나가는 것입니다."
- 쏟아지는 이메일속에 *다양한 의사 결정* 을 요구하며, 어떤 결정을 하느냐에 따라 *회사의 성패가 결정* 됩니다.
- 당신의 선택은
예…
------------------------------
https://news.hada.io/topic?id=21660&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0
0
0
0
1
0
0

이 점에서 경부축 지자체들에 비해서 호남축의 정책기획력이 많이 아쉬운 구석이 많다는 거... 국비를 빨아댕기는 것도 어느정도 밑그림이 명확히 있어야 하는거라. 성남시 정도면 서울과 경기에 치이면서 렙이 꽤 높은 축이니 성에 안차긴 하겠지만 그래도 그냥 무턱대고 산단 으어 하고 있으면 속이 터질수밖에. 아예 토호 향판들이 날뛰는 전주보다는 그래도 광주가 낫지만, 부산만큼이나 지역토건자본에 정치가 휘둘리는 동네가 되어놔서 좀 자치단체장이 드라이브를 잘 해줘야 하는데 그걸 못하니 쪽을 당하는 거라.

RE: https://bsky.app/profile/did:plc:rt7ek2ephcgoa4n2ftaem2lp/post/3lshsnlikwk2j

1
0
0
0
0
0
0

Mastodon 的列表(Lists)功能就像是一個客製化的時間軸,讓你只看到特定帳號的嘟文。這對於整理你關注的內容、追蹤特定主題或群體的動態非常有用,尤其當你關注了大量帳號時。

列表的主要功能與優勢:
* 集中瀏覽: 你可以建立一個列表,只顯示你選定的帳號所發布的嘟文,避免在主要時間軸中被其他內容淹沒。
* 私密性:Mastodon 上的列表是私密的,只有你自己看得到,不像 Twitter 的列表可以公開分享。
* 整理追蹤對象: 對於不同興趣或領域的帳號,你可以建立不同的列表來分類管理。

0
0

Mastodon 的列表(Lists)功能就像是一個客製化的時間軸,讓你只看到特定帳號的嘟文。這對於整理你關注的內容、追蹤特定主題或群體的動態非常有用,尤其當你關注了大量帳號時。

列表的主要功能與優勢:
* 集中瀏覽: 你可以建立一個列表,只顯示你選定的帳號所發布的嘟文,避免在主要時間軸中被其他內容淹沒。
* 私密性:Mastodon 上的列表是私密的,只有你自己看得到,不像 Twitter 的列表可以公開分享。
* 整理追蹤對象: 對於不同興趣或領域的帳號,你可以建立不同的列表來分類管理。

0
0
0
0
0
0
0
0
0
0

A judge has ruled in favor of Meta, saying training AI from copyrighted books is fair use.

The judge ruled that Meta’s use of copyrighted works in this case was transformative because the company’s AI models did not merely reproduce the authors’ books.

Additionally plaintiffs failed to convince the judge that Meta’s using the books to train AI harmed the market for those authors.

Another meaningful win for the AI industry following the Anthropic win in a similar case.

techcrunch.com/2025/06/25/fede

0

Apple, 온디바이스 및 클라우드 AI 모델 대폭 업데이트 및 새로운 개발자 API 공개
------------------------------
-
Apple 이 *비전-언어 AI 모델* (AFN, Apple Foundation Models)과 *개발자용 Foundation Models 프레임워크(API)* 를 새롭게 공개하며, * 온디바이스·클라우드 모델 모두 성능과 효율성*을 크게 개선
- *AFM 온디바이스 모델* 은 3B 파라미터 트랜스포머와 3억 파라미터 비전 트랜스포머로,
텍스트·이미지 …
------------------------------
https://news.hada.io/topic?id=21655&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Signal Cloud Backups are now available to test!

"Backup your messages and media using Signal's secure, end-to-end encrypted storage service. Never lose a message when you get a new phone or reinstall Signal"

Learn more about Signal Backups and how you can help test the new feature: community.signalusers.org/t/pu

Testing is currently open for Android, with staging versions coming to Desktop and iOS soon.

A screenshot showing the "Signal Backups" screen in Signal. The screenshot shows text with says "This is a beta feature that we will be adding functionality to on an ongoing basis."
0
0
0

트럼프의 ‘새빨간 거짓말’?…“이란 핵시설 파괴 실패” 극비 보고서 유출 논란 [핫이슈]

n.news.naver.com/article/081/0

빠른 협상의 비결은 모두가 원하는 걸 들어주는거니까
트럼프가 이란에게 폭격사실 흘려서 미리 중요한거 빼돌릴 시간 주고,
이스라엘에게는 폭격 성공해서 문제 없다고 하고
그렇게 휴전시킨거 같네.
사실을 안 이스라엘이 추가 공격을 하려하자 트럼프가 화내서 말린듯.

0
0

유머의 범주론적 해석

정진명의 굳이 써서 남기는 생각 @jm@guji.jjme.me

유머의 아이디어는 언어와 개념의 범주(Category)에서 실패하는 도식(diagram)이라는 것으로 설명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봅시다.

The existence of casual sex implies the existence of ranked competitive sex.

직역하면 "캐주얼한 성관계의 존재는 랭킹을 매기는 경쟁적 성관계의 존재를 시사한다." 정도로 할 수 있겠습니다. 좀 더 한국말스럽게 하자면, "캐주얼 섹스가 있다는 건 섹스 등급전도 있다는 소리다" 정도가 되겠네요.

이게 왜 유머가 될까요? 멀티플레이어 게임에는 플레이어에게 등급을 표시하지 않는 일반전(캐주얼 게임)과, 각각 판의 승패를 기록하고 플레이어의 표시와 매치메이킹에 반영하는 등급전, 혹은 경쟁전이라고 불리는 모드가 공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나, 오버워치나, 스매시 레전드 같은 게임들 말이죠. 일반전은 좀 더 승패와 관련없이 가볍게 즐길 수 있고, 등급전이나 경쟁전은 좀 더 진지하게 게임을 하여 승리를 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지죠. 말장난처럼 들릴 수도 있겠지만, 어떤 게임에 '일반전'이 있다는 것은 '일반전'이 아닌 게임 모드도 있다는 것이고, 그것들이 대개 등급전/경쟁전입니다. 그러므로 "일반전의 존재는 등급전의 존재를 시사한다"고 할 수 있겠죠.

이 유머는 그 개념을 게임이 아닌 섹스에 적용하여, "섹스 등급전"이라는 어이없는 개념을 합리화시키는 데 있습니다. 그림으로 보겠습니다.

'게임 범주'안에 "캐주얼한 게임이 존재한다"가 "경쟁적 게임이 존재한다"를 "시사한다"는 도식이 있고, 그 도식에서 게임을 섹스로 바꾼 도식이 존재하고, 둘을 잇는 화살표에 '게임 → 섹스 함자'라는 라벨이 붙어 있다.

저 유머 속에 담긴 아이디어는 이런 도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물론 다른 도식으로도 표현할 수 있습니다. 언어와 개념의 범주는 제가 정의한 적도 없거니와, 위에서 쓴 '말장난'이라는 표현은 이것을 범주론 개념으로 설명하기 위해 조금 억지를 부린 설명에 가깝기 때문이죠.)

한편, 이 도식은 어떤 의미로는 틀렸습니다. 세상에 casual sex는 존재하지만, ranked competitive sex는 그와 같은 수준으로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죠. 이게 위에서 강조한 '실패'하는 것의 의미입니다. 그 실패가 우리 인식의 어떤 부분을 자극하기 때문에 유머로 성립할 수 있는 것입니다.

반대로 언어와 개념의 범주에서 실패하지 않는 도식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격언이라거나, 속담 같은 것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자면 "달변은 은이요, 침묵은 금이다"같은 말을 생각해 보시면 위와 같은 도식이 바로 떠오를 것입니다. 그리고 이것이 바로 긍정하기보다는 일견 달변이 더 좋아보인다는 점에서는, 실패에서 그렇게 멀지 않아보이기도 있습니다. "웃기라고 한 말인데, 곱씹어보니 진짜같다"는 말이 나오는 유머에서도, 그렇게 정확하게 정의하지 않은 '실패'와 '성립'은 그렇게까지 딱 자를 수 있는 것은 아닐 수 있습니다.

자, 장황하게 말한 것 같지만 이미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것 아닙니까? 결국 뭐 비유나, 수사학 같은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 아니겠습니까? 그럼에도 이렇게, 수학적으로 잘 정의되지도 않고, 수학의 정리를 쓸 수도 없는 개념들을 수학의 도구를 빌어서 설명하는 건, 이게 제가 유머를 이해하기 위한 관점이기 때문입니다. 최불암과 그의 아들이 버스 안에서 울기 시작한 것도, 양면성을 드러내기 위해 열림교회가 닫힘 사진을 발표하고 개박살나는 것도, 신데렐라가 구석을 받고 순욱과 사이가 틀어지는 것도, 제게는 이 틀에서 해석됩니다. 그리고 제가 하는 일에 반영되고 있지요. 이 관점을 공유하고, 다른 분들이 이 관점을 통해서 새로운 유머를 만들어내는 것을 보기 위해 이 글을 씁니다.

아, 그리고 맨 위에 '유머의 아이디어'라고 했지요? 아이디어는 이 방법론으로 얻어낼 수 있지만, '표현'은 완전 다른 이야기입니다. 그 부분도 성공적인 유머를 위해서는 고민이 필요합니다. 어쩌면 아이디어보다 더.

Read more →
0
0
0
0

A judge has ruled in favor of Meta, saying training AI from copyrighted books is fair use.

The judge ruled that Meta’s use of copyrighted works in this case was transformative because the company’s AI models did not merely reproduce the authors’ books.

Additionally plaintiffs failed to convince the judge that Meta’s using the books to train AI harmed the market for those authors.

Another meaningful win for the AI industry following the Anthropic win in a similar case.

techcrunch.com/2025/06/25/fede

0
1

Criticize the wins.

When you mess up, it's easy to reflect. When you win, you often think "nothing to learn here, I did everything right."

That's hubris talking.

Your wins teach you as much as your failures—maybe more. What worked? Why? What was luck vs. skill? Don't waste the learning opportunity.

0
0
0
0
1
0

 公務員の待遇が良すぎると言って非正規雇用をふやしたように、やれ、だれそれの待遇が良すぎると言っては待遇を悪くするということを繰り返して本当にどこもかしこも貧乏になり、いまや年金や生活保護費の支給費まで削られているのに国会議員の歳費と防衛費だけが上がるという事態になってもまだ「留学生が」とかやってて、ほんと、まじで軽蔑する。貧困の水源を見せつけられている。

0
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