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lrunAilrun (UTC-5/-4)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저런 식의 증명 대신 L에서 x가 등장하는 자리에 M을 치환해넣고, y가 등장하는 자리에 N을 치환해넣은 증명 또한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 직관을 구체화한 것이 바로 다음의 cut 제거 정리이다.
요부분이 좀 헷갈리는데요, 글에서 소개된 Sequent Calculus에서는 치환에 대한 설명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함수형 언어에서의 치환에 해당하는 Sequent Calculus에서의 규칙이 추가로 필요한데 생략하신 걸까요, 아니면 글의 내용만으로 설명가능한데 제가 뭔가 놓친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