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bgl gwyng

@bgl@hackers.pub · 97 following · 121 followers

GitHub
@bglgwyng
0

여자친구가 나한테 과학 이야기 해달라고 해서 '혹시 아인슈타인이 뭐 했는지 알아?'라고 물으니까 '다이너마이트 만들었잖아!'라고 대답했다. 흠..

6
3
3

통신판매업자 신고하자마자 하루에 2~3통씩 스팸, 피싱이 온다. 중소기업 진흥 어쩌고, 뭐시기 팀장이란 전화가 온다. (통신판매업자 정보는 완전 오픈되어 있다.) 정부가 내가 모르면 손해 보는 걸 적극적으로 전화까지 하며 챙기는 일은 없기! 때문에 듣자 마자 끊는다. (이런, 믿음이 장점이 될 때가 있구나) "안녕하세요"부터 쎄한 느낌이 오는 전화들이다. 이렇게 법적으로 추적 가능한 전화(휴대폰 번호가 찍힌다)로, 대범하게 피싱 시도를 계속한다.

그냥 넘어가지 않고, 정부 사이트에 의심 신고를 하려 하니, 개인 정보를 무섭게 요구해서 멈칫한다.

4

방금 보이스피싱을 당할뻔 한거 같은데, 내가 법원등기서류를 수령 못했다면서 온라인으로 받아보라고

http://온라인검찰민원.kr/ 이 사이트로 들어가도록 유도했다. 보다시피 인증서가 없는 페이지이다. 그래서 바로 전화를 끊고 보이스피싱 신고사이트에 신고했다.

근데 나야 인증서 확인하고 이렇게 했지, 만약 우리 엄마였으면 그대로 당했을거같아서 기분이 안좋네..

3

12() 6() 서울에서 開催(개최)되는 liftIO 2025에서 〈Optique: TypeScript에서 CLI 파서 컴비네이터를 만들어 보았다〉(假題(가제))라는 主題(주제)發表(발표)를 하게 되었습니다. 아직 liftIO 2025 티켓은 팔고 있으니, 函數型(함수형) 프로그래밍에 關心(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參與(참여) 바랍니다!

2

12() 6() 서울에서 開催(개최)되는 liftIO 2025에서 〈Optique: TypeScript에서 CLI 파서 컴비네이터를 만들어 보았다〉(假題(가제))라는 主題(주제)發表(발표)를 하게 되었습니다. 아직 liftIO 2025 티켓은 팔고 있으니, 函數型(함수형) 프로그래밍에 關心(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參與(참여) 바랍니다!

11

@bglbgl gwyng 오 그렇군요. 혹시 회사 경비처리로 가능하시다면, 요즘 클라우드 남의 컴퓨터 빌려서 고성능 GPU 잠깐 쓰고 반납하는 것도 쉬워졌으니까 한번 시도해 보시면 어떨까요. 시험 삼아 해 보고 잘 되면 해당 모델의 GPU 구매로 진행하실 수 있는 것이니…

2

호버(hover)는 잘못된 인터페이스입니다. 사용자가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버를 해야만 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면 안 됩니다. 호버에는 장식적 효과 이상의 기능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예전에는 이것을 설명하는 데에 많은 말이 필요했고 참 힘들었습니다. 이제는 좀 쉬워졌죠. 터치스크린입니다. 손바닥만 한 스마트폰부터 대문짝만 한 키오스크까지, 이제 터치스크린은 싫어도 불가피하게 써야만 하는 물건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런데 터치스크린에는 호버가 없죠. CSS 에 @media (hover: hover) 같은 게 있긴 하지만, 당연히 이것만 믿고 인터페이스 설계를 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런 식으로 "호버 있음" 과 "호버 없음" 을 따로 지원한다는 것은 번거롭고, 실수하기도 쉽고, 망가지기도 쉽고, 관리하기는 어렵습니다. 설령 터치스크린 있는 장치에서 터치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거나, 마우스를 끼우거나 빼거나 등등 할 때마다 그 정보가 무수한 계층을 뚫고 애플리케이션까지 올바르게 전달된다고 쳐도요.

8

리눅스 랩탑(amdgpu, rocm)에서 ollama 써서 아주 잠깐 로컬 LLM 시도해 본 소감: 생각보다 잘 되는데, 한편으로 왜 OpenAI 의 적자가 저렇게 터무니없는 규모라는 것인지도 이해했다. 어디가 병목인지는 알겠는데 그래서 그에 대한 대응책은 GPU 를 증설하기 시작해서 그냥 많이 증설했습니다. 를 하고 있다는 것이군 진짜로… 이게 인류의 갈 길이라니… 사이버펑크보다 현실이 더 사이버펑크다

@xtjuxtapose 회사에 있는 나름 메모리 빵빵한 GPU로 돌려봤는데, 정말 돌아가기까지만 하더라고요. 사내 로컬 코딩 에이전트 스웜같은거 만드려면 웬만큼 본격적이어선 안되겠더라고요.

1

오! 좋은 아이디어 인것 같습니다. 조금 찾아보니 git-branchlessjj-vcs로 활용해서 AGENTS.md나 스킬에 정의해서시도해봐도 괜찮을듯한 느낌이네요

2

클로드 코드 쓰고있으니 더 나은 VCS에 대한 욕심이 커진다. 나는 클로드가 브랜치를 더 자주 쪼개서, 원하는 시점으로의 롤백이 더 편해졌으면 좋겠다.

하나 생각나는 아이디어는 브랜치 명을 hierachial하게 만들어서 가령 fix-bug-1/refactor-class-foo/fix-function-bar 이런식으로, 무슨 일하는지의 맥락을 브랜치명에 나타내는 것이다. 그리고 a/b 브랜치는 a 브랜치의 자식이어야 한다는 제약도 강제한다.

2

굉장히 오랜만에 들어와서 쓰는 근황입니다.

  • TIS-100의 모든 레벨을 클리어했습니다. 다음 목표는 아마 Opus Magnum 아니면 A=B가 될 것 같습니다.
  • 올해 여름부터 지금까지 7문제를 백준에 출제했습니다. 여기의 맨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재밌었던 문제는 SWAP-C Sort인데 그만큼 어렵습니다.
  • 웹 기반으로 뭔가 만들 게 생겨서 프레임워크를 알아보다가 Solid를 써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웹 UI는 Flowbite, 그래픽 요소는 Konva를 쓰게 될 것 같습니다.
  • 그런데 이쪽을 첫삽을 뜨기도 전에 갑자기 굉장히 어려운 퍼즐틱한 문제 하나의 풀이가 완성되어서(....) 논문(?!)을 하나 쓰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거 받아주는 저널 어디 없을까요(????)
3
3

@perlmint 얘 진짜 대화가 길어지고 좀 만만해진다싶으면 바로 반모들어가는데, 전 농담아니라 진짜 어떤 징후같습니다. 영어쓸때도 비슷한 행동이 있는지(무례해진다거나) 모르겠어요.

0

저게 38만 킬로미터 떨어진 허공에 떠 있는 물체고, 1억 5천만 킬로미터 떨어진 광원의 빛을 반사해서 내 눈에 보인다는 게 가끔 정말 생경하게 다가올 때가 있다.

RE: https://bsky.app/profile/did:plc:4sujqnbd47ey26qcvajqoxa2/post/3m4ueopbvzw23

1
1

새로운 서비스를 실험하고 있는데요.

너무 연속으로 컨텐츠를 봐서 피로해지는 서비스가 아닌, 어쩌다 접속해서 멍 때릴 수 있는 서비스를 고민하며 기획을 했습니다. 가끔 버스 창밖을 바라보며 멍때리는 것처럼요. 멍때리다 창밖의 간판들이 가끔 눈에 들어 오듯, 글이나 낙서가 눈에 띄면 어떨까 싶어서, 초기 인연이 있는 분들에게 부탁해서 다양한 글을 좀 채워 넣으려 했습니다. (AI로 목업을 채워 넣으면 맛이 없을 것 같아서, 실제 다양한 사람들의 글을 원했습니다.) 이게 매우 어려운 벽이다를 실감하고 있습니다.

  1. SNS 성격의 서비스는 이용하기 싫다.
  2. 이미 이용 중인 SNS가 여러 개라, 또 추가하기 싫다.
  3. 로그인 해서 보니, 그다지 나한테 맞지 않는다.
  4. 몇 번 로그인해서 봐도 흥미가 생기지 않는다.
  5. 가끔 접속해서 보는 소소한 재미가 있을지도 모르겠다.
  6. ...

0번은 어차피 제외고, 초기 지인 분들은 적어도 3번까지는 가 주길 기대했는데, 1번조차 넘질 못하고 있습니다. 쓸만한 서비스 혹은, 기획을 조정하면서 고민해 볼 가치가 있는지 보기 위해선, 그래도 1번은 넘어 가야 뭘 할텐데 말입니다. 부탁을 받은 지인들 조차 1번을 넘기 어려운데, SNS 서비스를 홍보한다는 건 꽤 험난한 길이겠습니다.

처음 제가 해커스펍의 1번 문턱을 넘었던 이유를 생각해보면, 저는 사람이었던 것 같습니다. 같은 직군에 있는 사람들이 모여 있어, 대화가 잘 통할 것 같아서 선뜻 들어 온 게 아닐까 싶습니다. 몇 달을 써 보면서 결론은, 해커스펍은 분명 자기만의 영역이 있는 서비스란 생각이 듭니다. 좋다는 생각을 가지기 까지는 좀 써봐야 아는 건데, 해커스펍이 꽤 어려운 걸 돌파했구나란 생각이 듭니다.

혹시 ikariam이라는 게임을 즐겨 본 분 계신가요? 그거, 은근 재밌게 했는데, 주변에서 제가 하는 걸 보더니 "어떻게 그런 게 재밌냐"고 묻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긴 했습니다. 오랜만에 찾아 보니 아직도 ikariam은 잘 살아 있네요. 멍때림이 싫지 않은 사람들이 분명 있긴 있을텐데, 어떻게 그 분들을 찾아 1번을 넘어가게 할까 고민이네요.

9

yearit.com 여행 기분내며, 이동하는 동안 멍도 때리고, 여기 저기 낙서하는 서비스입니다. 여러 사정으로 하스켈로 개발하진 못했는데, 언젠가 여건이 되면 서버들을 하스켈로 포팅하고 싶습니다.

YearIt - Travel the world, doo...

3
0

요즘 심심할때 굴리고 있는 VCS에 대한 나이브한 아이디어가 있는데

  • 각 커밋에 대해 메타데이터를 줄수 있어야 한다

    레포 내의 metadata.json 같은 파일을 인식해도 되고, 아니면 Commit -> Metadata를 해주는 프로그램을 hook으로 등록하게 해줘도 된다. 이를 통해 package.json, cargol.toml 같은 파일을 읽어서 거기에 버전 의존성을 커밋의 메타데이터로 추출한다.

  • 메타데이터에 대해 인덱싱을 한다

    가령 version이라는 메타데이터가 있을때 2 <= version < 3를 만족하는 커밋의 범위를 인덱스를 활용해 빠르게 알아낼수 있게 한다.

  • 메타데이터로 커밋을 찾는 표현식을 제공한다

    max(2 <= version < 3 and has(fix-bug-foo) and has(add-feature-bar) 이런식으로 하면, 구간 내의 버전에서 foo 버그가 해결되고 bar 피쳐가 추가된 커밋중 가장 최신의 커밋을 구한다. git에서는 fix-bug-foo, add-feature-bar 각각의 브랜치로는 쉽게 갈수 있지만, 해당 브랜치가 main에 머지되기 전까지 그 브랜치 밖을 벗어나 작업하기가 까다로워진다.

  • 이런 레포들을 모아서 모노레포를 모은다음, 메타데이터에 상호 의존성을 기술한다

    그리고 dependency resolve를 해서(메타데이터 검색의 일종일 뿐임) 조건을 만족하는 모노레포 스냅샷을 구한다. 이제 우린 패키지 매니저를 공짜로 얻었다.

이 아이디어는, 현재 패키지 매니저와 VCS가 분리되어있는데 사실 그래선 안된다는 생각에서 나온것이다. 기존의 비슷한 아이디어를 찾아봤는데 gitman 이런게 있더라. 근데 내가 원하는만큼 일반적이진 못하다.

5

난 학생때부터 컴퓨터 좋아하다보니 자연스럽게 프로그래머가 되고 싶어하는 중고딩들 모이는 커뮤니티 활동을 했었음.

그런데 내가 활동하던 곳은 가정환경이 불우한 애들 위주로 모여있더라고... 집안에 투병자 있어서 빚이 2억이던 우리집이 상류층으로 분류될 정도였음.

그러다가 언제 한번 모여서 학교 공부에 대해 얘기한 적이 있음.

냉정하게 우리 가정환경 따져봤을 때 수능봐서 대학갈 사람들은 아니다. 그래도 학교가 아주 의미없는 곳은 아니니 그 안에서 챙길건 챙겨보자. 했음.

굳이 가져갈걸 찾는다면, 국어는 형태소와 품사 정도만 구분할 줄 알면 되고(NLP), 수학은 행렬이랑 기하와 벡터 기초 정도만(3D, 공간), 과학은 물리2만(이상하게 도움되는 잡다한 이론들) 대략 뭔소리를 하는지 보면된다. 그럼 어디가서 돈버는데는 문제없을거. 라는 결론 도출하고 그거 공부만 하기로 했음.

결론은 여기 있던 애들 대학이랑 연은 없어도 전부 취업은 원하는 분야로 20대 초반에 다했음.

3
1

챗봇 UI를 만들고 있는데, AI한테 툴 사용을 따로 주지말고, 채팅 자체를 어떤 REPL안에(Python이라던가) 임베딩 시키는게 나은 디자인인거 같다. 근데 이거 먼가 모나드트랜스포머스러운데..

2
2
1
9

최근 몇 달간 개발을 하는 것에 대한 현타가 심하게 왔었는데, 프로그래밍을 처음 시작했던 중학생 시절부터 남긴 흔적들을 되짚어 보면서 내가 진짜 뭘 하고 싶었던건지 되짚어봤고, 이제 다시 회복이 되가는 것 같음.

8

알고계십니까? 고대의 언어인 줄 알았던 Smalltalk 친척 Self는 놀랍게도 최근까지도 업데이트가 되고 있습니다. https://selflanguage.org/

JavaScript의 .prototype 개념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진 Self가 어떤 언어인지 궁금하시다면 Series about Self(lobste.rs)를 읽어보세요.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여러분의 시야가 넓어지는 데에 도움이 될 겁니다.

한국어 번역:

  1. 환경
  2. 언어
  3. 디버거, 트랜스포터, 그리고 문제점
  4. 커뮤니티, 역사, 미래, 형이상학
8
4
2

진짜 이름만 들어도 아는 프로젝트들 사이에 있는 Fedify...

We invest globally in the open software components that underpin Germany's and Europe's competitiveness and ability to innovate. Improving the security, stability, and reusability of open software components directly enhances the productivity, competitive edge, and capacity for innovation of startups and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We’re excited to be working with these maintainers and FOSS communities, and to support the software that forms the foundation of the infrastructure of the 21st century.

Here are some of the projects the Sovereign Tech Fund has recently commissioned work on:

Scala, SDCC, Let's Encrypt, Servo, chatmail, Drupal, Fedify, openprinting, PHP, Apache Arrow, Open SSL, R Project, Open Web Docs, conda, systemd, and phpseclib

https://www.sovereign.tech/news/newsletter-october-2025

9
0

emacs 개발자들은 LLM 시대에 빛을볼 중요한 선견지명을 가지고 있었는데

  1. 텍스트 에디터는 범용 인터페이스다(반 OS가 되어버린 emacs)
  2. RAG할 지식데이터베이스를 만들고 관리할수 있어야한다(org-mode).

근데 이걸 알고도 한푼도 못벌었다ㅋㅋㅋ 열매는 cursor와 notion에게로...

4
5

테슬라 팬보이들이 좀 밉상이긴 하지만, 그래도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편일거라 생각했는데. 얼마전에 어디 게시글에서 FSD에 카메라 외에 라이다 등의 추가 센서를 쓰면, 여러 센서 입력 중에 뭘 신뢰해야하는지 결정해야하는 문제가 추가로 생겨서 안좋다... 라는 얘기를 보았다(그리고 다른 테슬라 팬보이들이 동조함).

1

NameSilo API 옛날부터 생각만 하다가 방금 처음 써 봤는데, 생각보다 너무 쉽고 간단해서 깜짝 놀랐다.

문제가 심각하다.

아니, 그냥 API 키 발급 누르면 즉시 나오고, 그걸로 내 계정의 모든 것을 다 할 수 있으며, 심지어 연장이나 신규 구입 등 카드 결제 일으키는 행위도 할 수 있다고. 있는 거라고는 API 키를 읽기 전용으로 하는 거랑, "Block Restorations" 뿐이다. 도메인 네임을 제때 연장 못해서 소유권 잃은 경우, 좀 더 큰 돈을 내고 소유권을 회복할 수 있는데 이걸 restoration 이라고 한다. 이건 돈이 많이 들고 환불도 어려운 행위이기 때문에, 이것만 API 키로 못하도록 설정하게 해 준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이거 말고는 권한 관리도 없고, 여러 개의 API 키 중에서 하나만 폐지(revoke)하는 기능도 없고, 모든 API 키를 폐지하는 기능도 안 보이고, 이 API 키를 최근에 사용한 IP 주소는 어디냐 같은 기록도 아무 데도 안 보이고, 하다못해 이 API 키로 행할 수 있는 결제액의 상한 같은 것도 설정할 수 없고, 아무것도 없어!

나는 나 자신을 믿지 않는다. 나는 반드시 사고를 칠 것이다. 엔지니어라면 당연히 그렇게 가정해야 한다! 더구나 이 API 키는 내 도메인 네임의 소유권을 다 상실시킬 수도 있는 물건...? 내가 뭔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건가? 멀쩡한 관리 페이지가 따로 있는데 네임사일로가 꽁꽁 숨겨 놔서 못 찾고 있는 건가?

거의 10년 넘게 쓰던 서비스인데 진지하게 탈출 고민이 생겼다.

여러분은 서비스가 "쓰기 쉽다는 이유로" 탈출을 고려하는 장면을 보고 계십니다. 이것이 2025년이다.

3
21
4
0

해외리모트잡 페이가 국내에 비해 너무 좋길래, 주변에 어떻게 이럴수 있냐고 했더니 다들 너무 당연하게 국내 페이가 싸서라고 한다. 그리고 해외에서 한국 개발자 선호하는것도 그냥 단순히 싸고 가성비 좋아서라고 한다.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의 국민으로써 느낌이 좀 이상하다. 그러니까 나는 K-인도 개발자였구나..

10

이번 연휴 때 서울에서 모각작, 모각코 하실 파티를 만들어보려고 페북메신저 채널을 만들었습니다.! 파이브스팟이나 원루프사당을 쓸 것 같습니다.

https://m.me/cm/AbbiwdoizU4gxbqc/?send_source=cm:copy_invite_link

4
3

SC2TS: TypeScript로 포팅한 스타크래프트 2 리플레이 파서

SC2TS를 공개했습니다. 처음에는 Claude Code를 공부하기 위한 연습 프로젝트로 시작했던 작업이었습니다.

왜 TypeScript로 포팅했을까요?

여러 이유가 있었지만, 크게 다섯 가지 이유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첫째, 충분히 흥미로운 프로젝트여야 했습니다. 끝까지 완성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필요했는데, 이 프로젝트는 그럴 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둘째, 이미 관련 경험이 있었습니다. 예전에 Blizzard의 공식 라이브러리인 s2protocol에 Pull Request를 보내본 적이 있어서, 프로젝트의 구조와 동작 방식에 어느 정도 익숙했습니다.

셋째, 선례가 있었습니다. 이미 Go 언어로 포팅된 버전이 존재했기 때문에, TypeScript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하다는 확신이 있었습니다.

넷째, 적절한 난이도였습니다. 내부 구현을 세세하게 다 알고 있지는 않았지만, 충분히 복잡하면서도 AI의 도움을 받아 해결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다섯째, 그리고 가장 중요한 이유는 스타크래프트 2 관련 분석 사이트를 AI 기능과 함께 만들어보고 싶었는데, 기존 s2protocol이 더 이상 공식 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직접 TypeScript 버전을 만드는 것이 최선의 선택이었습니다.


사실 이러나 저러나.. 중간에 잠깐 휴가도 있었어서 생각보다는 오래걸렸네요.

8

TypeScript와 React에 File-based App 서버를 부착하여 단순하지만 완결성있는 풀 스택 개발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AGENTS.md 파일이나 mcp.json을 추가한다면 풀 스택 프로젝트에 바이브코딩까지 얹을 수 있겠습니다.

https://forum.dotnetdev.kr/t/typescript-react-file-based-app-c-api/13812

2

bgl gwyng shared the below article:

PyCon JP 2025 후기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이 글은 PyCon JP 2025에 참가한 한국인 개발자의 생생한 후기를 담고 있습니다. 저자는 PyCon KR에 꾸준히 참여해왔지만, 해외 컨퍼런스는 처음이라 설렘과 기대를 안고 일본으로 향했습니다. 히로시마에서 열린 이번 행사에서 저자는 다양한 세션에 참여하고, Findy와 Python Asia Association에서 주최한 DrinkUp 파티, 그리고 PKSHA Technology의 파티에 참여하며 여러 개발자들과 교류했습니다. 특히 FastAPI 개발자인 tiangolo와의 만남, Neovim을 사용하는 데이터 엔지니어와의 공감대 형성, 그리고 Emacs 사용자에게서 느낀 위기감 등 재미있는 에피소드들이 인상적입니다. "Innovation is a side effect of solving problem"이라는 tiangolo의 어록은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이 글은 PyCon JP가 외국인을 위한 배려가 돋보이는 행사였으며, 다양한 주제의 세션과 네트워킹 기회가 많았음을 강조합니다. 다음 PyCon JP에 발표자로 참여하고 싶다는 의지를 밝히며, 한국 커뮤니티도 외국인이 즐길 수 있는 컨텐츠가 늘어나기를 바라는 마음을 전합니다.

Read more →
13

구트현엑은.. 가끔만 들어가도 싸우는 사람이 너무 많이 보여서 피곤함. 근데 싸우는 이유가 다 하찮음. 아이돌이 아니면 아이돌팬이 못생겼다는 이유로 싸우고. 향수 열일곱번 뿌렸다고 싸우고. 스카에서 공부안하고 다꾸했다고 싸우고. 엄마아빠에게 사랑받았다는 이유로 싸우고. 인터넷 세상이 다 그런거고 유희라지만. 가장 큰 문제는 타임라인이 이상해서 내가 팔로우를 잘 가꾼다고 해서 저런 내용을 안 볼 수 있는 환경이 아니라는 것임...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