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입니다! 기사를 읽다가 재밌어서 공유합니다.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 667 following · 483 followers
Neovim Super villain. 풀스택 엔지니어 내지는 프로덕트 엔지니어라고 스스로를 소개하지만 사실상 잡부를 담당하는 사람. CLI 도구를 만드는 것에 관심이 많습니다.
Hackers' Pub에서는 자발적으로 바이럴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 Hackers' Pub의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믿습니다.
그 외에도 개발자 커뮤니티 생태계에 다양한 시도들을 합니다. 지금은 https://vim.kr / https://fedidev.kr 디스코드 운영 중
Blog
- kodingwarrior.github.io
mastodon
- @kodingwarrior@silicon.moe
Github
- @malkoG
vimrc2025 행사에서 뿌릴 스티커 도착함.
두근두근 (명목상) 수습생활 6일차...
일이 재밌게 챌린징하고 도파민 터진다....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 Mac에서 Karabiner로 외부 키보드 오른쪽 Alt 한/영 전환하기
조내일 @tomorrowcho@hackers.pub
맥북에서 윈도우 키보드의 오른쪽 Alt 키를 한/영 전환 키로 사용하기 위한 설정 과정을 소개합니다. macOS 기본 설정으로는 왼쪽과 오른쪽 Option 키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없어 Karabiner-Elements를 사용한 사용자 정의 키 매핑이 필요합니다. Karabiner 설치 후, Simple Modifications을 통해 right_option 키를 F18로 매핑하고, macOS 키보드 단축키 설정에서 '입력 소스 선택'을 F18로 지정해야 합니다. 만약 F18 키가 제대로 등록되지 않는다면, Karabiner의 드라이버 확장 프로그램 권한이 허용되었는지, 그리고 Devices 탭에서 외부 키보드의 'Ignore vendor events' 옵션이 활성화되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이 설정을 통해 윈도우 환경에 익숙한 사용자도 맥에서 편리하게 키보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이건.... 꼭 사야 한다....
@sigridjineth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브라우저 스터디 기록 (3)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 기술 포스팅 요약: 텍스트 레이아웃과 폰트 렌더링의 심연 이 글은 [Web Browser Engineering](https://browser.engineering) 독학 과정 중 Chapter 3의 텍스트 레이아웃을 다루며, 특히 폰트 렌더링의 복잡성을 강조합니다. 가변폭 글자의 정밀한 렌더링을 위해 단어 단위 렌더링과 baseline, ascent, descent 개념을 소개하고, 폰트마다 다른 기준선을 고려한 글자 배치 과정을 설명합니다. Linux 환경에서 tkinter의 폰트 측정 성능 문제를 지적하며, 폰트 정보를 캐싱하여 렌더링 속도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연습문제 풀이에서는 중앙 정렬, `<abbr>`, soft-hyphen 지원 외에 `<sup>`, `<sub>` 태그를 구현하며 기준선 스택 관리 방식을 설명하고, `<pre>` 태그 지원을 위한 라인 단위 렌더링 방식을 소개합니다. 이 글은 텍스트 레이아웃의 깊이를 이해하고, 실제 브라우저의 렌더링 과정을 엿볼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오늘도... 브라우저 스터디 챕터 3 풀이를 올리고 말 것이다,......
방금 10명 정도 가입하신듯...!!
오늘
@fossforall 컨퍼런스 2025에서 發表한 〈야크 셰이빙: 새로운 오픈 소스의 原動力〉의 슬라이드를 共有합니다! 들어주신 분들 모두 感謝합니다!
최근에 하게 된 프로젝트가 있는데, 4일차 찍은 지금 도파민이 너무 터진다.....
Learn step-by-step how to build a secure AI tool with MoonBit and Wassette, powered by the WebAssembly Component Model.
Read more:www.moonbitlang.com/pearls/moonbit-wassette
내가 쓸 게임 공략 사이트 작업하니까 왤캐 사는게 재밌지
ps. React + Vite 사랑합니다. 겁나 빨라
오! 좋은 아이디어 인것 같습니다. 조금 찾아보니 git-branchless나 jj-vcs로 활용해서 AGENTS.md나 스킬에 정의해서시도해봐도 괜찮을듯한 느낌이네요
@kodingwarriorJaeyeol Lee 음... 구현체 만들어주세요
@akastoot악하 그거 아마 내년 OSSCA 로드맵일 것 같은디
근데 연합우주는 특성상 검색에 굉장히 차질이 많은 것 같아서... 음..
@akastoot악하 그거도 좀 연구가 많이 되고 있긴 해용... fasp provider라는걸 마스토돈에서 만들고 있기도 하구
굉장히 오랜만에 들어와서 쓰는 근황입니다.
- TIS-100의 모든 레벨을 클리어했습니다. 다음 목표는 아마 Opus Magnum 아니면 A=B가 될 것 같습니다.
- 올해 여름부터 지금까지 7문제를 백준에 출제했습니다. 여기의 맨 아래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재밌었던 문제는 SWAP-C Sort인데 그만큼 어렵습니다.
- 웹 기반으로 뭔가 만들 게 생겨서 프레임워크를 알아보다가 Solid를 써보기로 결정했습니다. 웹 UI는 Flowbite, 그래픽 요소는 Konva를 쓰게 될 것 같습니다.
- 그런데 이쪽을 첫삽을 뜨기도 전에 갑자기 굉장히 어려운 퍼즐틱한 문제 하나의 풀이가 완성되어서(....) 논문(?!)을 하나 쓰기 시작했습니다. 이런 거 받아주는 저널 어디 없을까요(????)
버추얼굴이 없어용
@kbuild.krKBuild ㅜㅜㅜ
버추얼이 부끄러워?!???!?!?!!!!
@kbuild.krKBuild 버추얼 어쩌고 데뷔해주세요
@mimul미물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저 아님"
@theeluwin제이미 님 축하드립니다
저희 학교 강의자료에 올라가셨습니다
@nyblue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모노리포 구조는 어쩔 수 없이 Zed를 쓰게 되는 것 같은데, 그 외에는 Neovim으로 개발하는게 제일 편한 듯
LSP 플러그인이 안 깔려있는 상태에서 랭귀지 서버 세팅을 완료했는데... Neovim 이 녀석들 자체 스펙만으로도 계속 좋아지고 있긴 하구만....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도커로 구축한 랩에서 혼자 실습하며 배우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입문 #3-2
자손킴 @jasonkim@hackers.pub
이 글은 네트워크 라우팅의 기본 개념과 동작 방식, 그리고 NAT 기술에 대해 설명합니다. 라우팅은 IP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경로를 결정하는 과정으로, 라우팅 테이블을 통해 넥스트 홉을 찾아 패킷을 전달합니다. 라우팅 방식에는 수동으로 설정하는 정적 라우팅과 라우터 간 정보 교환을 통해 자동으로 경로를 설정하는 동적 라우팅이 있습니다. 또한, NAT는 하나의 공인 IP 주소를 여러 장비가 공유할 수 있도록 IP 주소를 변환하는 기술로, 특히 NAPT는 IP 주소와 포트 번호를 함께 변환하여 효율적인 네트워크 사용을 가능하게 합니다. 이 글을 통해 독자는 네트워크 라우팅과 NAT의 핵심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네트워크 환경에서 이들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Read more →브라우저 구현 스터디하면서 파서 구현 중인데, 예외케이스 처리하고 상태 관리로 서커스해야할게 너무 많다. DFA 추상화라도 해야하나 싶어서 다른 구현체 봤더니 실제로 그렇게 하고 있다.
Chromium(Blink) : https://source.chromium.org/chromium/chromium/src/+/main:third_party/blink/renderer/core/html/parser/html_tokenizer.cc;l=1677 관련 표준 : https://html.spec.whatwg.org#tokenisation0
😇😇
그리고 하루종일 DFA와 씨름을 했다 ㅜㅜ
브라우저 구현 스터디하면서 파서 구현 중인데, 예외케이스 처리하고 상태 관리로 서커스해야할게 너무 많다. DFA 추상화라도 해야하나 싶어서 다른 구현체 봤더니 실제로 그렇게 하고 있다.
Chromium(Blink) : https://source.chromium.org/chromium/chromium/src/+/main:third_party/blink/renderer/core/html/parser/html_tokenizer.cc;l=1677 관련 표준 : https://html.spec.whatwg.org#tokenisation0
😇😇
브라우저 스터디 최대한 미리 진도 빼놔야겠다. 머쓱....
이따금씩 "관계자외 출입금지"라는 말이 붙어있는 제한구역에 그 "관계자"가 되어 출입할 때 좀 두근거리면서 기분좋음
@d57Dalgona. 업적 해금하는 기분 ㄷㄷ
@kodingwarriorJaeyeol Lee 혹시 아직 직장 구하시는거면 커피챗 어떠신지요? 제가 구인중이라서요
@qria큐리아 헉.... 좋습니다... 디스코드로 연락드리겠습니다
I making next-version of apmodel, that uses pydantic for better validation and better loader.
Currently, this feature is either not implemented or not fully implemented:
- export to json is not avaliable
Additionally, some models have not been migrated to pydantic, so they cannot be used properly.
If you interested this, can read this branch: https://github.com/fedi-libs/apmodel/tree/pydantic
내일은 제가 새 직장으로 첫 출근을 하는 날입니다. 게임 프로그래머로써 두번째 커리어네요. 잘 다녀오겠습니다.
무언가 때가(?) 된것 같아 합니다. Pepper의 버전을 1.0.0으로 올리기로 결정했습니다.
(와-아)
https://github.com/makachanm/pepper
조금씩 이것저것 추가해 나갈 예정입니다.
교수버튜버가 말해주는 컴공과 학생 진로와 이모저모
온갖 CSE 떡밥을 총망라 했습니다. 무려 1시간짜리 영상! 슬라이드도 설명에 링크 걸어놨어요.
반박은 버튜버영상으로 받습니다. 농담이구요, 많은 분들이 같이 논의 가능 하도록 댓글로 달아주세요
초안이고, 아직은 완성된 글이 아님. 약속이 있는 관계로 일단 중간 세이브....
브라우저 스터디 기록 (2)
Jaeyeol Lee @kodingwarrior@hackers.pub
이 글은 Web Browser Engineering을 독학하며 겪은 경험을 담고 있으며, 특히 Chapter 2의 연습문제 풀이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Chapter 2는 브라우저 주소창에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부터 HTML을 화면에 렌더링하는 과정을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마우스나 키보드 입력이 CPU를 통해 커널에 인터럽트 요청으로 전달되고, 브라우저가 이를 처리하여 서버와 통신하며, 최종적으로 그래픽 시스템을 통해 화면에 표시되는 과정을 요약한다. 이벤트 루프의 역할이 중요하지만, 챕터에서는 텍스트를 화면에 출력하는 수준으로 다룬다. 연습문제 중 Emoji 지원과 RTL(Right-to-Left) 지원에 대한 해결 방법이 제시된다. 특히 RTL 지원을 위해, 저자는 텍스트를 한 줄 단위로 묶어 GUI 툴킷이 RTL 순서를 처리하도록 하고, 라인의 시작점을 계산하여 화면 오른쪽에 맞춰 출력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Emoji의 경우, 좌표를 미리 지정하여 텍스트 라인과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문제를 해결했다. 이 글은 브라우저 엔진의 기본적인 동작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구현 과정에서 마주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여 독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Read more →?? 브라우저가 어떻게 동작하는지가 아니라 브라우저를 만들고 계신거였어요?
@boltless.meboltless https://browser.engineering <- 이 책이 놀랍게도 그걸 구현하는 내용입니다.... 따라하면서 실습하는것까지는 그냥 다들 하는건데, 예제문제 푸는 것부터 진짜배기입니다...
브라우저 구현 진짜 빡세다(.....)
@kodingwarriorJaeyeol Lee 안녕하세요. 오늘 발표 잘 들었습니다. :)
@daengdaengleeKunho Lee 감사합니다 🙇♂️
읽을책 <맥킨지 논리력 수업> 저자 저우궈위안 (차혜정 번역)
경제/경영 | 미래의창 | 320p
[8일차] 20p.
미국의 심리학자 헬레나 매튜트Helena Matute는 그의 논문 〈인과관계의 환각 Illusions of Causality〉에서 이렇게 지적했다. "시각적 환상과 같이 인과의 환각은 모든 사람에게서 흔히 발생한다. 과학적 사고 방법은 인과의 환각을 방지하는 최적의 경로다. 그러나 과학적 사고 방법은 본능적 반응이 아니며 습득이 필요한 기법이다." 헬레나 매튜트가 언급한 과학적 사고 방법은 구조화 전략 사고와 결을 같이하며 이성적 사고, 즉 느린 사고에 속한다.
@daengdaengleeKunho Lee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안녕하세요
김선민 @sonohoshi@hackers.pub
이 글은 다양한 활동명을 사용하는 한 개인이 해커스펍에 계정을 생성한 경험을 간략하게 소개합니다. 여러 이름으로 활동하는 이유나 배경에 대한 설명은 없지만, 새로운 플랫폼에 참여하게 된 계기를 단순하게 밝히고 있습니다.
Read more →왠지 아는 사람이 만든 계정인 것만 같다...
Jaeyeol Lee shared the below article:
자연어에서의 재귀와 카탈랑 수
구슬아이스크림 @icecream_mable@hackers.pub
이 글은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에서 중요한 개념인 재귀가 자연어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특히 통사론적 관점에서 인간 언어 능력의 창조성을 보여주는지를 탐구합니다. 'X의 Y의 Z의...'와 같은 소유격 조사를 사용한 문장 확장을 통해 재귀의 개념을 설명하고, 이러한 재귀가 카탈랑 수와 연관되어 있음을 지적합니다. 영어 예시를 통해 전치사구의 추가가 문장의 중의성을 증가시키고, 구문 분석의 가능한 경우의 수가 카탈랑 수열을 따른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생성 규칙을 통해 명사구를 재귀적으로 확장하면서 중의성 계수가 카탈랑 수와 동일하게 나타남을 설명합니다. 마지막으로, 자연어의 중의성 해소는 산술 표현식과 달리 확률에 의존하며, 이는 전산/심리언어학에서 중요한 연구 주제임을 강조합니다. 이 글은 재귀의 개념이 자연어에서 어떻게 복잡하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그 중의성을 이해하는 것이 왜 중요한지를 흥미롭게 제시합니다.
Read more →집 도착하면 생활리듬 정상화할겸, 발표 준비도 일찍 준비할겸 일찍 자야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