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ease help me list math formalization projects looking for volunteers:
notJoon
@joonnot@hackers.pub · 61 following · 76 followers
Uncertified Quasi-pseudo dev
너무 이른 시점에 일반화를 걱정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코드를 작성하든 다른 사람의 코드를 이해하려 하든, 우리는 이 책에서 취한 접근 방식을 따를 것을 권장합니다. 즉, 일반적인 것부터 시작하지 말고 구체적인 예시부터 시작하세요. 그런 다음 그들이 어떤 측면을 공유하는지 관찰하세요. 학습자로서 이러한 순서는 더 쉬운 구체적인 예시를 토대로 더 어려운 추상적 개념을 이해할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합니다. 저자로서 이러한 순서는 더 추상적인 발상이 타당성을 갖고 목적을 지닐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Finding Success (and Failure) in Haskell》, 149쪽
오픈소스 서밋 코리아 세션 리스트 공개됐네요
여러분 int *p를 (int *)(uintptr_t)p 캐스팅하지 마세요 출처라는 것이 바뀝니다
@kodingwarriorJaeyeol Lee
@joonnotnotJoon 오 도와주시면 정말 감사하지요. 관심있습니다!
@bglbgl gwyng
@kodingwarriorJaeyeol Lee 저도 매우 큰 관심이 있습니다
@joonnotnotJoon 저도 이런 행사를 구상하고 있습니다. 흠터레스팅 컨퍼런스란 이름을 생각해뒀네요.
@bglbgl gwyng 이름이 맘에 드네요. 열릴 때까지 숨 참겠습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뭔가 능동적이고 좋네요. 여기도 메모
@joonnotnotJoon 성수가 워낙 넓다보니 지금 계신 곳에서 가까울지 모르겠지만 금금 가시면 후회 안 하십니다
@evenharder이하 일단 메모해 두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성수 맛집 추천 받습니다
@kodingwarriorJaeyeol Lee 참고있는겁니다
하나의 유령이 해커스펍을 배회하고 있다. 아재개그라는 유령이
@kodingwarriorJaeyeol Lee 오늘 중으로 기깔나게 써드리죠
@joonnotnotJoon 그런 의미에서 추천사 써주세요
@kodingwarriorJaeyeol Lee 레퍼런스를 위해 먼저 써주세요
흑백 사진으로 랜더링 해주는 옵션을 추가하면 더 있어보일 것 같을지도
ESTA를 조만간 갱신해야 하는데 아무래도 요즘 흘러가는거 보면 까이는거 아닌가 몰라
@joonnotnotJoon 퍼리로 채우겠다는 원대한 계획의 초심은 어디갔어요
@kodingwarriorJaeyeol Lee 아직 진행중인걸요
초대장을 한번 털어내야 하는데 딱히 풀만한 곳이 없다
이거 아무리 봐도 옛날에 본 심리검사 문항 같다. 이런 느낌으로
길가다 나무를 주우면
우드득 (wood + 得이라는 뜻 ㅎ)
지금 만들고 있는 RL 플레이그라운드를 업그레이드 해야하는데
역시 마니악한 주제로 라이트닝 토크하는 행사를 추가로 만들어야겠다
이번 주말은 정말 만족스러웠다. 가벼운 마음으로 월요일을 맞이한 것도 오랜만인듯
@z9mb1wwj
@catamorphicCata
@msy윤민석
@joonnotnotJoon
@d01c2Hyunjoon Kim
@icecream_mable구슬아이스크림
@minju2996bbang
@2chanhaeng이찬행
@lionhairdino
@akastoot악하
@jihyeokJihyeok Seo
@linea
@woaol벨
@theeluwin제이미
@rangho우주해커 끄적끄적 랭호 📝
@robin
@1ho1호
@nebuletoHaze
@morealLee Dogeon
@harei106Hannah Reinecke
@realfishbread최윤희
@jcha0713joohoon
@hyunjoon
@krepe90남기현 (Krepe)
@cetaceanightskyCetacea
@aiooAhn Kiwook
@ink_punctuation책 읽는 프로그래머
@yg1ee밀
오늘 Hackers' Public 행사 첫번째 모임에 와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정말 즐거웠습니다! 잘 들어가세요!
오는 11월 8일 토요일 오전 10시, 광운대학교에서 열리는 FOSS for All 컨퍼런스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FOSS for All 컨퍼런스는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for All"이라는 슬로건 아래, 모두를 위한 오픈 소스 컨퍼런스를 목표로 하는 비영리 오픈소스 커뮤니티 주도의 컨퍼런스입니다.
FOSS for All 컨퍼런스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와 커뮤니티에 관심 있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개발자, 기여자, 디자이너, 번역가, 기획자 등 다양한 역할의 사람들이 경험과 지식을 공유하는 장으로 기술 발표, 커뮤니티 부스, 패널 토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될 예정입니다.
많은 후원과 참여를 부탁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D
세상에 RFC 표준 맞추는거에 집중하다 보니 코드가 난잡하다. 오늘 내일 중으로 정리해야겠다
세상에 또 CI가 터지길래 디펜던시 문제인줄 알았는데 휴먼 에러였음. 그럴 수 있지
@joonnotnotJoon Circuit Breaker 패키지의 이름은 Go-Stop...
@neozest 이것도 메모해두겠습니다
@joonnotnotJoon
애국심 1스택이군요
@woaol벨 홍익인간 정신을 담은 JSON이라고 할 수 있죠
Go로 JSON 패키지 만들고 이름을 고조선(go-joseon)이라고 지으면 어떨까란 생각이 들었음
오래 전
는 문장을 읽었고 그것에 대해 종종 생각함. 생각해 보면 정말 하는 일이 대개 그런 것에 속한다고 느낌. 어딘가에 있다는 데이터를 모으고 가공하고 정제해서 또 어딘가에 두고 그걸 누군가 가져갈 수 있게 하는 일 끊임 없이 반복함. 데이터의 형식이나 크기나 여러 속성이 다양하고 그래서 다루는 방법과 기술에도 많은 차이가 있지만 어쨌든. 요즘 종종 인용되는 타입 검사는 해결책이 아니라 증상이다(Type Checking is a Symptom, Not a Solution)에 대한 반응들을 보고 직렬화 글과 거기 인용된 인터넷은 디버깅 모드로 돌아가고 있다는 글까지 떠올랐음.
(이 글은 Hackers' Pub에서 제공하는 Markdown 문법 가이드에 익숙해지기 위한 시도로 작성함.)
다 그닥
이제 왠만한 요구사항은 다 통과하는듯. 테스트 케이스 만드는게 가장 어렵다
포항공대 > 카이스트인 이유
포스텍은 '포스'가 있지만,
카이스트는 '텍'도 없기 때문,,,,
오버엔지니어링 본능을 억제하고 얌전히 파서 구현체 다듬는 중
후.... 코스모슬라이드 올리고 생각해보는걸로.....
@kodingwarriorJaeyeol Lee
@z9mb1wwj 기대가 큽니다
세상에 자고 일어났더니 불미스러운 글들이 탐라를 뒤덮고 있다
쓸만한 벤치마크 툴 없나? 날 밝으면 찾아봐야겠다
파서가 얼추 돌아가기 시작했다. 이제 최적화해야지
〈타입 검사는 해결책이 아니라 증상이다〉(Type Checking is a Symptom, Not a Solution).
난 이 글에 동의하지 않는데, 여러 측면에서 그렇지만, 한 측면에만 집중해서 얘기해 보자면: 좋은 아키텍처는 훌륭한 프로그래머를 요구하지만 타입 시스템은 훌륭한 프로그래머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이다.
누구나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되어야만 하는가? 혹은 될 수 있는가? 좋은 아키텍처를 그릴 수 있는 훌륭한 프로그래머가 아니라면 소프트웨어 개발을 해서는 안 될까? 좋은 아키텍처에만 의존하는 것은 잠재적으로 엘리트주의를 끌어들이기 쉽다: 「어떤 시스템이 오작동하는 것은 아키텍처가 나쁘기 때문이다. 아키텍처가 나쁜 이유는 그걸 설계한 프로그래머가 수준 미달이기 때문이다」와 같이.
반면 타입 시스템은 일단 도입만 하면 누구나 그 덕을 볼 수 있다. 팀 내의 프로그래머들의 역량이 뛰어나든 뛰어나지 않든. 훨씬 평범한 보통 사람에게 유리하다. 타입 시스템이 미봉책일 수는 있지만, 그 미봉책이 더 많은 사람들을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게 해준다고 생각한다.
@kodingwarriorJaeyeol Lee
@akastoot악하 미리 감사합니다
업무량이 다시 줄어들었다. 다시 주말에 모각코 나가야지
https://contribute-suggestion.vercel.app/
대강 배포는 했어요
프론트 버그가 많아서 고쳐야 하지만 일단 올리긴 올림
깃헙 토큰은 각자 받아서 사용해야 됩니당
Zig도 즐겁습니다
필기할 때 흘려 쓰면 한자도 꽤 빠르고 편하군
GPT 한테 최근 1년간 연구 동향 전부 조사하라고 시킨다음에 미심쩍은 부분만 논문 찾아서 읽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