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Joon

@joonnot@hackers.pub · 43 following · 54 followers

Uncertified Quasi-pseudo dev

GitHub
@notJoon
Twitter
@JoonNot
4
3
1
3
2
5
2
4
1
2
1
1
1
2
4
3

이전에도 여러번 추천한 책이지만 저 같은 경우엔 "밑바닥부터 만드는 인터프리터 in Go"로 Go에 입문했습니다. 책의 목적은 인터프리터의 동작, 구현에 대한 것이지만 따라하면서 Go의 코드 스타일이나 테스트 작성 방법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되었습니다. 아니면 "Must Have Tucker의 Go 언어 프로그래밍"도 좋습니다.

2

CLI 테스트 하고 QA는 클로드 코드를 사용했는데 아주 좋은 개발 경험이였음

1

얼마전에 구현한 debugger adapter protocol이 실제로 사용 가능한 레벨까지 구현되었다. 한참 걸리겠지만 머지 이후에 외부 IDE에 익스텐션을 만들기만 하면 될듯

debugger adapter protocol의 테스트 스크립트를 실행한 모습이고, 여기서는 attach mode를 테스트 하고있다. attach mode는 디버거가 이미 실행 중인 프로세스에 연결하여 디버깅을 수행하는 기능이다.
4
4
8
1
1
1
2
5

claude code를 몇 주간 써본 결과 TODO 리스트가 없으면 오버엔지니어링을 하기 때문에 간단한 작업은 따로 프롬프트를 넣거나 아예 처음부터 작업 목록만 따르도록 하는게 맞는 것 같다.

0

해당 breaking change에 대한 워크샵 같은걸 했는데 아는 사람은 그 이상으로는 여전히 모르고, 모르는 사람은 여전히 모르는 상태로 남음.

0
2
3
6
1
4
1
2
1
5
1

예전에 만든 트리시터 기반 패키지 파서로 dependency resolver를 만들었다. 일단은 간단하게 위상 정렬로 퉁쳤는데 써보고 문제생기면 그때 다른 알고리즘으로 갈아낄 수 있도록 구조를 잡았다.

4
0
2
2
1
3
2
1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