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우

@parkjinwoo@hackers.pub · 32 following · 33 followers

  • IT 노동자
  • 아마추어 산책러 (프로 지망)

Perl을 만든 언어학자 Larry Wall이 쓴 글 중에 종종 다시 읽어 보는 글

Human languages therefore differ not so much in what you can say but in what you must say. In English, you are forced to differentiate singular from plural. In Japanese, you don’t have to distinguish singular from plural, but you do have to pick a specific level of politeness,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your degree of respect for the person you’re talking to, but also your degree of respect for the person or thing you’re talking about.

Programming is Hard, Let's Go Scripting...

그렇기 때문에 사람의 언어는 당신이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던 것과는 많이 다르다. 영어로 얘기할때는 단수와 복수를 확실히 구분해야만 한다. 일본어에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분할 필요는 없지만, 정중함의 정도를 조절할 줄 알아야 한다. 즉, 상대방에 대한 존경을 표현할 수 있는 정도를 선택해야 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내가 존중 받아야 하는 정도를 생각해서 말해야 한다.

프로그래밍은 어렵다, 스크립팅의 세계로 가보자...

6
4
0

베이즈 확률론에서 사후 확률을 다룰 때 베타 분포를 가정한다. 베타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과 같다.

f(x;α,β)=1B(α,β)xα1(1x)β1 f(x; \alpha, \beta) = \frac{1}{B(\alpha, \beta)} \cdot x^{\alpha-1}(1-x)^{\beta-1}

여기서 B(α,β)는 베타 함수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α,β)=Γ(α)Γ(β)Γ(α+β) \mathrm{B}(\alpha,\beta) = \frac{\Gamma(\alpha)\Gamma(\beta)}{\Gamma(\alpha+\beta)}
0

베이즈 확률론에서 사후 확률을 다룰 때 베타 분포를 가정한다. 베타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과 같다.

f(x;α,β)=1B(α,β)xα1(1x)β1 f(x; \alpha, \beta) = \frac{1}{B(\alpha, \beta)} \cdot x^{\alpha-1}(1-x)^{\beta-1}

여기서 B(α,β)는 베타 함수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B(α,β)=Γ(α)Γ(β)Γ(α+β) \mathrm{B}(\alpha,\beta) = \frac{\Gamma(\alpha)\Gamma(\beta)}{\Gamma(\alpha+\beta)}
0
0
0
1
0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자주 틀리는 외래어 표기법.

영어 틀린 표기 올바른 표기
app 어플
application 플리케이션 플리케이션
directory 디렉 디렉
front-end 트엔드 트엔드
message
method
release 릴리 릴리
repository 포지 포지

또 있을까요?

1
9
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