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거니즘은
동물이니까, 동물을 죽여서 먹지 않는다가 아니라
농축산업계의 기계적, 착취적 행태에 대한 보이콧에 가깝습니다.
단순히 동물이라서 죽이면 안된다가 아니라 우리는 인간이라는 이유로 인간이 아닌 동물을 비인도적으로 대하는 시스템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비판하고, 이러한 시스템에서 할 수 있는 보이콧인 그 과정을 거친 동물성 식품을 소비하지 않는 것에 가깝습니다.
@parkjinwoo@hackers.pub · 37 following · 43 followers
비거니즘은
동물이니까, 동물을 죽여서 먹지 않는다가 아니라
농축산업계의 기계적, 착취적 행태에 대한 보이콧에 가깝습니다.
단순히 동물이라서 죽이면 안된다가 아니라 우리는 인간이라는 이유로 인간이 아닌 동물을 비인도적으로 대하는 시스템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고 비판하고, 이러한 시스템에서 할 수 있는 보이콧인 그 과정을 거친 동물성 식품을 소비하지 않는 것에 가깝습니다.
박진우 shared the below article: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이 글은 저자가 LLM(Large Language Model)을 활용하여 코딩하는 방법에 대한 개인적인 경험과 팁을 공유합니다. LLM 코딩 에이전트 사용 시 맥락 제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Claude Code 모델을 선호하는 이유와 그 장단점을 설명합니다. 세부적인 지시를 위해 GitHub 이슈를 활용하고, 설계는 사람이, 구현은 LLM이 담당하는 역할 분담을 제안합니다. 또한, 프로젝트 지침을 담은 *AGENTS\.md* 파일의 중요성과 Context7을 활용한 문서 제공 방법을 소개합니다. 계획 모드를 통해 LLM이 스스로 피드백 루프를 돌도록 유도하고, 필요한 경우 손 코딩을 병행하여 코딩의 재미를 유지하는 전략을 제시합니다. 이 글은 LLM을 단순한 도구가 아닌 협력적인 동료로 활용하여 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방법을 모색하는 개발자들에게 유용한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Read more →I wrote a post on my blog after a long time: Recent open source development updates.
오랜만에 블로그에 글을 썼습니다: 〈오픈 소스 開發 近況〉.
오래 전
는 문장을 읽었고 그것에 대해 종종 생각함. 생각해 보면 정말 하는 일이 대개 그런 것에 속한다고 느낌. 어딘가에 있다는 데이터를 모으고 가공하고 정제해서 또 어딘가에 두고 그걸 누군가 가져갈 수 있게 하는 일 끊임 없이 반복함. 데이터의 형식이나 크기나 여러 속성이 다양하고 그래서 다루는 방법과 기술에도 많은 차이가 있지만 어쨌든. 요즘 종종 인용되는 타입 검사는 해결책이 아니라 증상이다(Type Checking is a Symptom, Not a Solution)에 대한 반응들을 보고 직렬화 글과 거기 인용된 인터넷은 디버깅 모드로 돌아가고 있다는 글까지 떠올랐음.
(이 글은 Hackers' Pub에서 제공하는 Markdown 문법 가이드에 익숙해지기 위한 시도로 작성함.)
의외로 잘 안 알려진 도구인데, mise가 정말 좋습니다. 다들 mise 쓰고 행복한 개발 하세요.
Perl을 만든 언어학자 Larry Wall이 쓴 글 중에 종종 다시 읽어 보는 글
Human languages therefore differ not so much in what you can say but in what you must say. In English, you are forced to differentiate singular from plural. In Japanese, you don’t have to distinguish singular from plural, but you do have to pick a specific level of politeness, taking into account not only your degree of respect for the person you’re talking to, but also your degree of respect for the person or thing you’re talking about.
Programming is Hard, Let's Go Scripting...
그렇기 때문에 사람의 언어는 당신이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던 것과는 많이 다르다. 영어로 얘기할때는 단수와 복수를 확실히 구분해야만 한다. 일본어에서는, 단수와 복수를 구분할 필요는 없지만, 정중함의 정도를 조절할 줄 알아야 한다. 즉, 상대방에 대한 존경을 표현할 수 있는 정도를 선택해야 하고, 상대방의 입장에서 내가 존중 받아야 하는 정도를 생각해서 말해야 한다.
오늘은
@tokolovesme금강토,
@parkjinwoo박진우 님과 함께 MitBord에 왔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tokolovesme금강토 뵙게 되어 영광이었습니다!
@parkjinwoo박진우 이제 고쳐졌습니다!
베이즈 확률론에서 사후 확률을 다룰 때 베타 분포를 가정한다. 베타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B(α,β)는 베타 함수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eqn은 markdown-it-texmath에서 생성한 것이고 xss filter에 걸린 것으로 보인다.
베이즈 확률론에서 사후 확률을 다룰 때 베타 분포를 가정한다. 베타 분포의 확률 밀도 함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B(α,β)는 베타 함수이며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해커스펍의 정체… (거대토끼의 맥미니 위에서 돌아가고 있습니다.)
@parkjinwoo박진우 우와아아아 진우님이다🥹
@diarapin금강토 강토님 감사합니다! 반갑습니다!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자주 틀리는 외래어 표기법.
| 영어 | 틀린 표기 | 올바른 표기 |
|---|---|---|
| app | 어플 | 앱 |
| application | 어플리케이션 | 애플리케이션 |
| directory | 디렉토리 | 디렉터리 |
| front-end | 프론트엔드 | 프런트엔드 |
| message | 메세지 | 메시지 |
| method | 메소드 | 메서드 |
| release | 릴리즈 | 릴리스 |
| repository | 레포지토리 | 리포지터리 |
또 있을까요?
@parkjinwoo박진우 진우 님 어서 오세요〜!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민희 님 반갑습니다! 멋진 공간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고마운 분 덕분에 Hackers' Pub에 가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