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Perlmint

@perlmint@hackers.pub · 87 following · 77 followers

크로스 플랫폼 빌드 고치는 노동자

잡담은 @meperlmint 에서

Github
@perlmint
Bluesky
bsky.perlmint.dev
8
2
2

최근 국내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자신이 개발한 것처럼 허위 저작권 등록을 한 뒤 이용자들에게 금품을 요구하는 사례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경우 허위 저작권자가 원저작자의 권한을 탈취할 수 있는 상황까지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주의가 요구됩니다.

혹여 배포한 오픈소스 프로젝트 중에 실제 비즈니스에 활용되고 있는 사례가 있는 분들의 경우, 이용자 보호를 위해서라도 이미 적용된 오픈소스 라이선스와는 별개로 저작권 등록을 진행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저작권 등록을 한다고해서 오픈소스 라이선스가 의미가 없어지는 것이 아닙니다. 저작권 등록 제도는 오픈소스와 상호보완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제도라는 점을 강조드리고 싶습니다.

1
2
0
0

12() 6() 서울에서 開催(개최)되는 liftIO 2025에서 〈Optique: TypeScript에서 CLI 파서 컴비네이터를 만들어 보았다〉(假題(가제))라는 主題(주제)發表(발표)를 하게 되었습니다. 아직 liftIO 2025 티켓은 팔고 있으니, 函數型(함수형) 프로그래밍에 關心(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參與(참여) 바랍니다!

11
1
0

오늘의 클로드. winui 어플리케이션을 tauri로 옮겨달라고 했더니 안좋은 방향으로 winui를 따라했다... 버튼처럼 안보이는 버튼과 일부러 스타일을 적용 안한 모습...

2

그럴리가 당연히 없었고 실질 1시간 이내 걸리지 않았으려나... 시간 예상은 어느 순간부터 나오기 시작했는데 왜 나오지...? 테스트에 1시간 잡은 것 빼줘도 영 맞지 않는데

0
1
1
0
1
1
0
0

호버(hover)는 잘못된 인터페이스입니다. 사용자가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호버를 해야만 하는 인터페이스를 만들면 안 됩니다. 호버에는 장식적 효과 이상의 기능이 있어서는 안 됩니다.

예전에는 이것을 설명하는 데에 많은 말이 필요했고 참 힘들었습니다. 이제는 좀 쉬워졌죠. 터치스크린입니다. 손바닥만 한 스마트폰부터 대문짝만 한 키오스크까지, 이제 터치스크린은 싫어도 불가피하게 써야만 하는 물건이 되어 버렸습니다.

그런데 터치스크린에는 호버가 없죠. CSS 에 @media (hover: hover) 같은 게 있긴 하지만, 당연히 이것만 믿고 인터페이스 설계를 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그런 식으로 "호버 있음" 과 "호버 없음" 을 따로 지원한다는 것은 번거롭고, 실수하기도 쉽고, 망가지기도 쉽고, 관리하기는 어렵습니다. 설령 터치스크린 있는 장치에서 터치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하거나, 마우스를 끼우거나 빼거나 등등 할 때마다 그 정보가 무수한 계층을 뚫고 애플리케이션까지 올바르게 전달된다고 쳐도요.

8
1
0
0

tauri로 프로그램을 작성하는데 내부 상태를 뷰로 보여주기 위한 작업이 너무 귀찮았다. mount시점에 전부 다시 로드 해야하고, 변경 요소마다 command만들고 요청 날려야하고, 혹시라도 BE내부에서 변경될 수 있는 값이면 이것도 이벤트 만들어야하고, rust타입가지고 매크로로 쉽게 찍어낼 수 있을 것 같은데... 복잡한 타입은 좀 더 고민이 필요하겠지만...

3
0
0
0

님들아 ㅋㅋㅋㅋㅋ
KT도 백도어 설치되고 악성코드 감염되었대요 ㅋㅋㅋ
그 중에서는 BPF도 있었대요 ㅋㅋㅋㅋㅋㅋ
그리고 그 사실 숨기고 은폐하다가 꼬리 잡혔대요 ㅋㅋㅋㅋㅋ

악성코드 감염 이후 백신 돌리고 신고 안하고 은폐 했대요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https://youtu.be/ZgkvL8daenA

1
1
0
4

@perlmint 얘 진짜 대화가 길어지고 좀 만만해진다싶으면 바로 반모들어가는데, 전 농담아니라 진짜 어떤 징후같습니다. 영어쓸때도 비슷한 행동이 있는지(무례해진다거나) 모르겠어요.

0
1
3
0
2
0
1
0

얼마전에 로컬호스트 접속을 막는걸 기본값으로 하는 크로미움 업데이트 때문에 K-보안이 울상이라고 그러더군...

그런데 사실 K-보안말고는 문제가 없는게, localhost를 사용하는걸 "안들키고 싶어서 숨기는 경우"에만 차단한다는거지 localhost를 아예 차단한다고 한 적은 없음.

어차피 localhost로만 실질적인 작업이 가능한 앱이라면, 메인 주소도 localhost가 되면 아무런 문제가 없겠지만 그걸 꾸역꾸역 정상적인 인터넷 앱인 것처럼 위장하는게 문제임.

3
8
4
2

gpt-oss:20b가 많이 빠르길래 homeassistant에 연동 해볼까 했는데, 뭔가 모든 장치의 상태를 프롬프트로 작성해서 매번 넘기는 모양인지 짧은 문장에도 토큰 초과 에러가 뜨질 않나, 말도 안되게 느린 응답 속도가 나온다

0
1

배포는 역시 사람 손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계속 뭔가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태그 따놓고는 막상 다른 버전으로 빌드 하는 경우가 너무 쉽게 발생한다.

1
0
5
0
2

Shimmy - Ollama를 대체 가능한 개인 프라이버시 중심의 경량 OpenAI API 서버
------------------------------
- 로컬 환경에서 *LLM을 완전 오프라인으로 실행* 하기 위해 설계된 도구로, *Ollama보다 142배 작은 4.8MB 단일 바이너리* 형태 제공
- *OpenAI API와 100% 호환* 되어 기존 Python, Node.js, VSCode Copilot, Cursor, Continue.dev 등 개발 도구를 그대로 연결 가능
- 설치 직후 즉시 작동하는 *제로 설정(Ze…
------------------------------
https://news.hada.io/topic?id=24006&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0
1
3
0
4
2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