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상한 부분이 많으면 멀쩡한 부분까지 의심하면서 건드리게 된다. 살려줘...
Perlmint
@perlmint@hackers.pub · 86 following · 73 followers
크로스 플랫폼 빌드 고치는 노동자
잡담은
@meperlmint 에서
Github
- @perlmint
Bluesky
- bsky.perlmint.dev
급 반말하는 gpt
프롬프트는 저기 보이는 것이 다 입니다. 다른 컨텍스트도 없고...
gpt-oss:20b가 많이 빠르길래 homeassistant에 연동 해볼까 했는데, 뭔가 모든 장치의 상태를 프롬프트로 작성해서 매번 넘기는 모양인지 짧은 문장에도 토큰 초과 에러가 뜨질 않나, 말도 안되게 느린 응답 속도가 나온다
배포는 역시 사람 손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계속 뭔가 작업을 하고 있기 때문에 태그 따놓고는 막상 다른 버전으로 빌드 하는 경우가 너무 쉽게 발생한다.
우리집 cmake는 cargo, pnpm, python도 호출한다?
Make generator expression안에서 리스트 변수를 사용하면 generator expression이 통째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래서 모든게 문자열인건...
Claude는 cmake를 딱히 잘 하지는 못하는 것 같다... 사실 이건 cmake가 잘 못 함
나는 groovy가 싫어요
스크립트에서 에러가 발생했는데 왜 스크립트 라인넘버가 아니라 자바 콜스택이 찍히냐
와... Sentry지원 플랫폼 진짜 많다...
Windows에서도 Claude code가 실행 되는걸 오늘 알았는데 문제는 bash를 자꾸만 쓰네... 웃긴건 bash를 쓰면서 명령은 powershell 용으로 생성한다
테스트 자동화 시스템은 대충 다 되었고, 망가진 테스트도 하나만 고치면 된다. 배포용 빌드 자동화도 거의 다 되어서 조만간 끝낼 수 있을 듯 싶다.
영속적으로 저장될 데이터와 아닌 것을 제발 분리해서 저장해줘... 버전관리 좀 편하게 하자...
스크립팅이 가능해도 필요한 정보를 스크립트로 제공을 안해주면 이게 쓰라는거냐...
alacritty로 맥에서 맥으로 ssh 연결하니 키보드 입력이 이상하네...? 포워딩만 하면 되는 연결이라 뭐 상관 없지만
사무실 나왔는데 집에 있는 업무용 데스크탑에 연결이 안된다... 진짜 IPMI세팅을 해야하나... 전원 끄고 켜는건 zigbee 장치로 잘 되는 편인데 windows문제 발생시 해결 방법이 물리 접근 뿐이라...
예전 일이지만, Windows CI장비에서 수상하게도 git 작업이 타임아웃이 나는 문제가 있었다. 장비에 접속해서 확인해보니 false.exe가 영-원히 켜져 있는 상태로 멈춰 있었바. 아니... 그냥 exit code 설정하고 끝나는 프로그램이 왜...
대충 그동안의 경험으로 서버 장비라고 안그래도 gnu 싫어하는 백신이 더 심하게 하는가보다 싶었고, https://github.com/uutils/coreutils 에서 false를 빌드해다가 갈아치우니까 문제가 완전히 사라졌다.
진짜 뭐가 맘에 안들어서 그러는지 모르겠다...
고장난 테스트를 다 고쳤다. 하지만 CI에서 돌리기는 요원한데... 독점 소프트웨어 + GUI의 지옥의 콜라보... 분명 cli를 지원하는데 cli에서 GUI를 통해 실행되는 명령을 똑같이 실행해도 에러가 난단 말이지...
자동으로 돌아가지 않는 테스트 코드는 역시 끔찍하다
Windows에서 ssh 건너 linux 위에서 도는 zellij에 뭔가 마우스 관련 이벤트 전송에 문제가 있는 것 같다. 마우스 포인터가 움직였을 뿐인데 상당히 규칙적으로 패널 레이아웃이 바뀌고, 키 입력이 발생해 있다.
Helix이제 좀 손에 익는 것 같긴 한데 거의 쓰지도 않은 vim 키 입력을 자꾸 한다. 애매하게 비슷한 느낌이 있어서 그런 듯. Emacs 쓸때는 그래본 적이 없고, Helix에 Emacs 키 입력을 하는 일은 없다.
Helix, gitui, alacritty는 다 windows배포를 하는데, zellij만 공식 미지원 상태라 빌드도 깨져 있다. Helix는 내부에서 터미널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zellij를 같이 써야 좋겠는데, 아쉽다.
Web UI는 잘 짜주는 편인데, TUI는 왜 이렇게 모양만 만들고 말까? 이것도 ts/js로 시키면 제대로 데이터 연결을 하려나...?
회사에서 하는 코드는 lsp가 거의 항상 죽어있어서 자동완성 안된다고 불만을 느낄 수가 없다...
새 에디터 찾다가 helix 고르고는 zellij, alacritty 까지 쓰고, gitui도 다시 꺼내보고 있돠.
위치 기반의 상호명이 필요한 서비스를 만든다면 DB가 문제겠지
비동기 spawn 넘어 어딘가에서 발생하는 패닉
의존성 빌드 지옥에 들어섰다. gtk 싫어...
갑자기 MiHome으로 Home assistant 에 연결해놨던 로보락 청소기가 안뜨고, 재연결도 안된다. 커펌 지원하는 구형모델이다. 하지만 뚜껑따고 납땜해야 올릴 수 있는데...
요약이 될 수 없는 내용을 요약하니...
클로드 결제하고는 한동안 별로 못 써서 좀 아깝다...
openwrt의 wireguard-tools는 luci에서 설정을 바꿔도 잘 적용이 안된다. ssh로 들어가서 network service를 아예 재시작해야 적용이 되는게 있다. 이제 동작하네...
연휴에 안내려가게 되었으니 뭔가... 좀 의욕을 내서 해봐야겠다
테스트에서는 동작하는데 왜... 뭐가 빠졌지...
버그를 수정하고 더 많은 데이터를 넣으니 결국 더 큰 버그의 발견이...
오늘도 COMPILING!
디버깅 정보를 뽑을 수 없지만 데이터를 잔뜩 입력해볼 수 있는 환경에서 발생하는 오류의 재현 테스트 케이스를 코드로 작성하는데 성공했다. 이게 되니까 바로 의심 가는 곳 수정이 가능했고, 테스트 통과 ㅠ...
공용 장비에 서비스가 아닌 개발용 컨테이너가 실행되는데, 그냥 docker로 설정 했더니 누가 켰던 컨테이너인지 모르겠어서 곤란하다... rootless 설정해야할 것 같은데...
귀가하면 VPN 설정 마무리 해야지
중국 대표 앱인 위챗과 알리페이는 그 내부에서 미니앱으로 필요한 앱은 대충 다 쓸 수 있는 것 같은데, 이래저래 신기한 것 같다.
공유기에 VPN서버 설정하다가 잘 못 해서 집 네트워크 날려먹었다... 라우터 리셋 하려고 냉장고 옮기고, 꺼낸김에 다시는 또 이러기 싫어서 wan을 거실로 빼서 공유기도 밖으로 옮겼다. 애초에 리셋 할 일이 더 없어야 하는데...
옛날 C++에러 메시지의 수준도 요즘 하는 일에서 발생하는 문제에 비하면 너무 감사한 수준이다.
이슈가 발생해서 건드린김에 예전 프로젝트 소개 한번...
https://github.com/Perlmint/glew-cmake
2014년에 glew를 사용하는 크로스 플랫폼 프로젝트를 한다고 cmake지원을 작성했답니다. 그때 당시에 glew는 아마도 sourceforge에서 소스가 호스팅되고 있었고, 아직 쉽게 기여하기는 조금 어려움? 부담?이 있던지라, 그냥 같이 개발하는 팀에서 쓰기 좋자고 github에 올려버렸지요.
뭔가 어쩌다보니 코드 생성까지 다 해서 스냅샷을 계속해서 업데이트를 하다보니, glew저자분도 한번씩 이 저장소를 보시기도 하고, 코드 생성 일관성 문제로 github으로 이전한 glew에 기여하는 일도 있었죠. glew에서 공식적으로 cmake지원이 들어가고나서도 어째서인지 예전의 좀 이상한 방식으로 작성된 이걸 계속 찾더군요...
뭐 그래서... 와 11년이나 대충이지만 관리를 하고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막상 저는 아마 15년 즈음에 마지막으로 썼을 것 같지만요...
“잘 하면 9월 초에는 완성될 것 같습니다” 라고 하고보니 다음주 월요일부터 이미 9월...
언제나처럼 기능별로 작성하고 각자 확인하고 붙이니까... 짜잔... 동작하지 않습니다
Windows에다가 백신이 함께하면 사용성이 유독 심하게 떨어지는 프로그램들이 있는데 그게 하필 개발에 꼭 필요한 것들이란 말이지...
오늘은 수제코드 작성하는 날
컴파일하면서 코드 고치는데 컴파일은 멈췄고, 에디터도 버벅이고 뭐지
MS Windows App은 한 프레임에 4K 해상도가 통째로 들어가면 어째서인지 프로토콜 에러가 발생한다... 오픈소스 구현체 클라는 일단 동작은 그냥 되던데...
버그였구나...? 어쩐지 좀 이상한 맥락에서도 내가 맞다고 하더니만...


![묶여있던 슬랙 알림 6건을 펼친 화면
“[GeekNews] at://의 위치는 어디인가” 항목에 하이라이트 되어있다.](https://media.hackers.pub/note-media/687ff4c4-af55-4ec2-b31c-0e5a314f6bfd.web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