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심심할때 굴리고 있는 VCS에 대한 나이브한 아이디어가 있는데

  • 각 커밋에 대해 메타데이터를 줄수 있어야 한다

    레포 내의 metadata.json 같은 파일을 인식해도 되고, 아니면 Commit -> Metadata를 해주는 프로그램을 hook으로 등록하게 해줘도 된다. 이를 통해 package.json, cargol.toml 같은 파일을 읽어서 거기에 버전 의존성을 커밋의 메타데이터로 추출한다.

  • 메타데이터에 대해 인덱싱을 한다

    가령 version이라는 메타데이터가 있을때 2 <= version < 3를 만족하는 커밋의 범위를 인덱스를 활용해 빠르게 알아낼수 있게 한다.

  • 메타데이터로 커밋을 찾는 표현식을 제공한다

    max(2 <= version < 3 and has(fix-bug-foo) and has(add-feature-bar) 이런식으로 하면, 구간 내의 버전에서 foo 버그가 해결되고 bar 피쳐가 추가된 커밋중 가장 최신의 커밋을 구한다. git에서는 fix-bug-foo, add-feature-bar 각각의 브랜치로는 쉽게 갈수 있지만, 해당 브랜치가 main에 머지되기 전까지 그 브랜치 밖을 벗어나 작업하기가 까다로워진다.

  • 이런 레포들을 모아서 모노레포를 모은다음, 메타데이터에 상호 의존성을 기술한다

    그리고 dependency resolve를 해서(메타데이터 검색의 일종일 뿐임) 조건을 만족하는 모노레포 스냅샷을 구한다. 이제 우린 패키지 매니저를 공짜로 얻었다.

이 아이디어는, 현재 패키지 매니저와 VCS가 분리되어있는데 사실 그래선 안된다는 생각에서 나온것이다. 기존의 비슷한 아이디어를 찾아봤는데 gitman 이런게 있더라. 근데 내가 원하는만큼 일반적이진 못하다.

5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reply to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a3855-8ced-73d3-8a70-43df575cf2e8 on your instance and reply 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