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스켈의 Lazy Evaluation을 설명하려고 기상천외한 예시를(처음 보면 저게 왜 돌아가지 싶은 fibonacci 등) 드는게 좋은지 잘 모르겠다. 뭐, 자랑하고 싶은 마음은 이해가 가나, 평소에 개발하면서 Lazy Evaluation의 쓸모를 느끼게 되는 경우랑 좀 거리가 있어보인다. 그냥 최대한 선언적인 코드를 짜고싶으면 Eager Evaluation이 방해가 되게 되고 이때 Lazy Evaluation이 필요하다는 설명으로 족하다.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