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둠'의 개발자 존 카멕이 '게임의 스토리는 포르노 영화의 스토리와 똑같다. 있어야 하긴 하지만, 딱히 중요하진 않다고'라고 말한적이 있다. 뭐 곧이 곧대로 이해해도 괜찮은데 약간 재밌게 해석하는 방법이 있는데.

종종 스토리가 훌륭하다고 언급되는 게임들이 있다. 나한텐 그런 게임으로 하프라이프2가 처음이었는데, 실제로 해보면 흥미진진하고 몰입감이 상당하긴 하다. 근데 막상 엔딩을 보고 무슨 내용이었지, 하고 돌이켜보면 전체 플레이타임(한 40시간?)에 비해 그렇게 플롯이 밀도있지 않다는걸 깨닫게 된다.

  • 죽기 싫으면 A로 가세요
  • A로 가려면 무슨 아이템이 필요해서 B를 먼저 가야하네요?
  • B로 갔더니, 여기가 아닌가벼~ C로 가야겠군요
  • 이러쿵저러쿵하다가 결국 A에 도착

이런게 대부분이라, 의미있는 내용만 추리면 전체 게임의 스토리가 아마 세줄 요약도 가능할 것이다. 사실 하프라이프만 이런게 아니라, 대부분의 스토리가 훌륭하다는 게임이 까보면 이런식이다. 잉, 그럼 스토리가 좋다는 얘긴 다 허상이었나?

자, 근데 포르노 영화의 스토리가 어땠더라? 움베르토 에코가 어떤 영화가 멀쩡한 영화인지 포르노 영화인지 구분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가벼운 에세이를 쓴 적이 있다. 여기서 포르노 영화라 함은, 21세기에 인터넷에서 볼수 있는 '야동'보단, 옛날에 영화관에서 상영되던, 꼴에 1시간이 넘는 상영시간을 가지는 포르노 '영화'를 뜻한다.

아무튼 그 방법이 뭐냐면. 가령, 남녀 주인공들이 만나서 택시를 타고 집으로 간다. 이때 집으로 가는 동안의 시간을 아무 편집없이 그대로 보여주면 그게 포르노다. 멀쩡한 영화는 당연히 쓸데없는 장면은 바로 끊고, 집에 도착해서 거사를 치르고, 그리고 다시 다음 내용으로 이어질 것이다. 하지만, 지금 당신이 보고 있는게 포르노 영화라면! 택시 타고 가는 아무 의미없는 장면을 10분간 본다음, 그 다음에야 원래 보려고 했던걸 보게 된다.

도대체 왜 10분 동안 택시 타는걸 보여줄까? 움베르토 에코의 대답은, 만약 그 쓸데없는 장면이 없이 주인공들이 바로 물고빨기 시작해버리면, 관객들이 그걸 못 버틸거란 것이다. 아무리 그걸 보려고 온 관객들이라지만, 너무... 바로 그래버리면 쪼끔 부담스럽고 그렇다. 그래서 완충제 역할을 할, 택시에서의 10분이 필요하다. 21세기의 포르노는 고전 포르노 영화에 비해 완충제 구간이 많이 짧아지긴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흔적은 남아있다.

다시 게임으로 돌아와서. 눈치챘겠지만, 게임에서의 전투(나 아무튼 핵심 플레이)가 포르노의 섹스씬에 대응된다. 그럼 게임에서의 스토리는, 포르노 영화에서 남녀 주인공이 택시를 타고 가는, 플레이어의 정서적 안정감을 위해서가 아니라면 굳이 필요없는 그런 역할을 한다는 얘기가 된다. 게임의 즐거움은 총칼로 맘에 안드는 놈들을 한 3,000명 쯤 조지는데 있는데, 그게 아무리 즐거운 활동이라지만 브레이크가 전혀 없이 스트레이트로 3,000명을 해치우는것은 정서적으로 만만치않은 일이다. 그래서 100명씩, 30번씩 나눠서 죽일 방법이 필요하고, 그 사이를 매꿔주는것이 것이 하프라이프2에서의 '여기가 아닌가벼~'란 결론이다.

존 카멕 님아, 이런 의도로 말씀하신거 맞죠?

2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reply to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92f26-3524-7f50-91d7-fa7f82a2c75b on your instance and reply 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