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m에서 Quickfix List라는 걸 처음 알게 되었다.

기존 코딩 흐름은

G 코딩 코딩 Vim을 닫는다. Vim을 닫는다. 코딩->Vim을 닫는다. cabal build cabal build Vim을 닫는다.->cabal build 에러 확인 에러 확인 cabal build->에러 확인 Vim을 연다. Vim을 연다. 에러 확인->Vim을 연다. 에러가 발생한 행(row)으로 간다. 에러가 발생한 행(row)으로 간다. Vim을 연다.->에러가 발생한 행(row)으로 간다. 에러가 발생한 행(row)으로 간다.->코딩

이랬는데 Quickfix List를 이용하면

G 코딩 코딩 :make :make 코딩->:make :copen :copen :make->:copen Enter를 눌러서 에러가 발생한 행으로 이동 Enter를 눌러서 에러가 발생한 행으로 이동 :copen->Enter를 눌러서 에러가 발생한 행으로 이동 Enter를 눌러서 에러가 발생한 행으로 이동->코딩

이렇게 Vim을 나가지 않고도 빌드 결과를 확인하고 에러가 발생하면 그곳으로 바로 점프할 수 있다!

.vimrc에 이렇게만 적으면 된다.

set makeprg=cabal\ build
1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quote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a8252-84e4-7cdc-bcef-16e3413c0c73 on your instance and quote it. (Note that quoting is not supported in Mastod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