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glbgl gwyng 월드 와이드 웹에 누구든 웹 서비스를 연결하고 수정하고 분리할 수 있는 것은, 그 과정에서 웹이 절대 망가지지 않는 것은, 상당 부분 월드 와이드 웹이 기초한 프로토콜이 메시지 패싱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bglbgl gwyng 가장 원하시는 답은 함수 호출과 메시지 패싱이 근본적으로 어떻게 다르냐?는 것이 될 텐데요. 이따 퇴근하면서 덧붙여보도록 하겠습니다.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reply to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6af0c-f684-7439-af4c-6ee44391cf25 on your instance and reply to it.
@bglbgl gwyng 메시지 패싱이 함수 호출보다 더 근본적인 요소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RPC 프레임워크만 봐도 함수 호출을 메시지 패싱으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하죠. 그래서 함수 호출은 메시지 패싱의 특수한 형태로 보아야 한다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