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에 관심이 있어 어떤 투자 방식이 좋을지 고심하다, 10년 간 정기적으로 주식을 사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를 들면 매월 말일 종가 기준 삼성전자를 50만원으로 살 수 있을만큼 사면 몇 주를 모을 수 있고 2025년 10월 시점 평가금액은 얼마인가?

구글 스프레드에 googlefinance 함수로 특정일 종가도 가져올 수 있고, 각종 함수를 이용하면 50만원으로 사고 남은 금액은 다음달로 이월할 수도 있었죠(아예 주식 못 사면 몇 달 돈 모은 뒤 매수 하는)

생각보다 단순해서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 종목 코드를 바꿔가면서 여러 종목의 결과를 바꿔보기도 하고, 아예 연 정기예금 1년짜리 10년 연복리로 굴렸을 때를 비교대상으로 해서 결과를 확인해보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하다보니 아예 한국 주식 전체를 다 보고 싶었는데, 구글 스프레드 시트로는 손이 많이 가겠더라고요.

Python 으로 어느 정도 만들어 그래프도 출력하고 꽤 괜찮게 나왔습니다. 이 때는 Jupyter Notebook 에서 그래프 만들어서 확인하는 개발 과정을 거쳤습니다.

미국 주식까지 포함해 다 돌리면 전체 결과를 30분 정도 후에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너무 느린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async 나 멀티 프로세스 넣으려다 포기하고 몇 년 정도 방치해두다 문득, LLM 바이브코딩으로 개선해보는건 어떨까? 싶은 마음에 github 코드를 주고 개선해보라고 줬더니...

  1. 벤치마크에 8 초, 그래프 생성에 2분 소요(물론 그 사이 컴퓨터가 바뀐 덕도 봄)
  2. DB 구조 등도 크게 개선 - 예전엔 거래 데이터가 종목 당 테이블 하나였으나, 이젠 한 테이블에 '심볼-시간'으로 인덱스하여 DB구조 단순하고 속도 개선에 도움이 된듯
  3. 여기까진 기존 개선이고 이후 기능 추가
  • 여러 주식을 비율대로 매수, 일정 기간마다 리밸런싱하거나 / 리밸런싱 하지 않고 초기 비율대로 계속 매수 반복
  • 리밸런싱 기간에 특정 조건에 따라 종목 교체

온갖 기능 추가에 4-6시간만에 완료 했습니다. 중간 중간 만든 그래프 분석에 더 몰입해서 실제 코드 바꾼 시간은 더 줄어들거고요.

원래 뼈대가 되는 프로그램이 있었지만 아이디어 수준이었고, 현재 모습은 원래 형체는 남지도 않고 완전히 다른 프로그램.

사용한 LLM 은 GEMINI 2.5 PRO 였고 느낀 점은

  • 파이썬 코드의 일부를 아예 표기를 못함. 리스트 등의 초기화 코드를 result = [] 로 표기해야 할 것을 result = 로만 표기, 잘못됐다고 직접 지정하고 다시 작성하라고 해도 못 함. 어떤 값을 넣어야 하는지 알려달라고 해도 못 적길래 이 부분에서 시간 많이 소비 (Python 디버깅을 할 줄 모르는 데다 내가 짠 프로그램이 아니니 더더욱.)
  • 코드를 제대로 안 봐도 의도한 바대로 실행이 됨. 그냥 어떤 결과가 나와야 하는데 안나오는 경우 에러나 결과물의 이 값이 바뀌었으면 좋겠다고 이야기하면 고쳐줌

이래서 몇 십만원 나와도 LLM 붙여서 코딩하는구나 싶었습니다.

DCA 분할 적립투자로 한국전력 10년간 매수하는 경우, 초기 프로그램의 결과물LAA 전략으로 주식 유지 시의 그래프

온갖 데이터로 얻은 투자에 대한 인사이트

  1. 백데이터로 아무리 해봤자 미래에는 다 소용 없다.
  2. 개별 주식(특히 한국)은 장기 투자 해도 수익 못 낼 수 있다. 한국전력이 대표적인 예인데, 우량 회사임에도 10년 투자해도 계속 손실이었다 - 2025년에 전력주 각광 받으면서 양전 했지만.
  3. 은행 정기예금 연복리를 이기는 주식이 얼마 없다. - 리스크 감수까지 고려하면 더 높은 수익이어야 하나, 리스크 제로인 은행 연 정기예금을 이기는 종목은 1/3 뿐이었다.
  4. 지수 추종도 2025년에 급등했을 뿐, 10-20% 정도의 수익률이어서 거래비용/슬리피지 고려 시 은행 예금보다 나은지 잘 모르겠다 (배당이 있어서 지수 추종 ETF 의 수익이 은행 예금보다 약간 더 높을 수는 있음, 2025년 시점엔 TIGER200 등 +75%)
  5. 위의 이유로 한국 주식 시장은 투자할 매력이 매우 낮았으나, 2025년 시점에 매우 좋아짐. 향후에도 좋을 지는?
  6. 미국 주식은 항상 좋았으며, 지수 추종 ETF 만으로 100% 수익 가능했음. 세금, 환차손/익 등을 고려해도 더 나았었다.
  7. 자산 분배로 수익은 먹고 위험은 낮추는 방법도 이야기 하는데, 이것도 잘 모르겠다.

좌고우면하지 말고 그냥 바로 실행하는게 가장 나은 투자 방법 저는 투자 실행을 하지 않고 알아보기만 하고 있습니다 수년째...

0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reply to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9c41f-08be-749a-a6ad-c0a14d46822f on your instance and reply to it.

코딩 관련해서 추가하자면

  1. DB, 형 변환, Dataframe, matplotlib 의 그래프 등 폭 넓은 부분들을 다 몰라서 (...) 하나하나 삽질 하던 것들을(수개월 - 수년 간 했다가 잊어먹고 찾아서 하다가 구현하고 버전 바뀌면서 또 실행 안되고 다시 까먹고의 반복) '해줘' 하니까 다 되어 그냥 허탈합니다.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