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사람을 위한 웹 접근성 지원과 설계, 제대로 알아봅시다."

아래 명제에 대한 제 생각이 궁금하시면 꼭 이번 FEConf 2025에서 보러 와주세요!

  • 웹 접근성은 장애 사용자만을 위한 특수한 사용자 경험을 지칭하는 기술 분야이다.
  • 따라서 접근성은 보조 기술 지원을 위한 추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웹 서비스의 구현 양이 그만큼 더 늘어날 것이다.
중요하지만 긴급하지 않은 일, 그럼에도 계획해야 하는 웹 접근성
김무훈 | A11YKR 커뮤니티

모든 사람을 위한 웹 접근성 지원과 설계, 제대로 알아봅시다.

웹 프런트엔드 서비스에서 접근성 지원은 여전히 제도적으로 의무화된 항공사 웹 서비스와 정부/공공기관 외에 모범 사례가 흔치 않고, 확실한 정답이 정해져 있지 않은 분야입니다.
- 혹시 웹 접근성이 장애 사용자만을 위한 특수한 경험이라고 오해하고 계신가요? 웹의 본연의 힘은 보편성에 있습니다. 장애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의 콘텐츠 접근은 필수적이라고 생각합니다.
-웹 접근성을 지원하기 위한 UI 컴포넌트 설계에 막연함을 느끼시나요? 웹 접근성 표준을 준수하면서, 일관된 UI 제어 경험을 어떻게 설계할 수 있는지 제가 고려했던 사항을 소개합니다.

따라서 아래 문제에 대한 발표자의 생각이 궁금하시면 꼭 보러 와주세요!
- 웹 접근성은 장애 사용자만을 위한 특수한 사용자 경험을 지칭하는 기술 분야이다.
- 웹 접근성은 보조 기술(AT) 지원을 위한 추가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웹 서비스의 구현 양이 그만큼 더 늘어날 것이다.
2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reply to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8599f-8697-7f38-9283-91093884ef80 on your instance and reply 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