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커로 구축한 랩에서 혼자 실습하며 배우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입문 #3-1

자손킴 @jasonkim@hackers.pub

이 글은 네트워크 계층(L3) 프로토콜의 핵심인 IP에 대해 심도 있게 다룬다. L3 라우터의 역할부터 시작하여, IPv4의 구조, IP 단편화 과정, 그리고 PMTUD(Path MTU Discovery)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IP 헤더의 각 필드(버전, 헤더 길이, ToS, 패킷 길이 등)에 대한 자세한 분석을 제공하며,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통해 네트워크와 호스트를 구분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클래스풀 주소 지정 방식과 클래스리스 주소 지정 방식의 차이점을 비교하고, 공인 IP 주소와 사설 IP 주소의 개념을 명확히 한다. 마지막으로,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를 통해 IP 레벨의 통신 상태를 확인하고 오류를 알리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 글을 통해 독자는 IP 프로토콜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네트워크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Read more →
4

레고를 뿌리고 뿌린 레고들을 쌓고 있습니다.

음악 작곡에서 시작해 몽골학을 거쳐, 지금은 컴퓨터 공학과 친해지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때 지평선을 넓히는 데 집중했다면, 이제는 뿌리를 내려 깊어지려고 노력 중입니다.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