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을 가다 "없는 것 빼고는 다 있다"는 문장을 보았다.

가능한 모든 품목의 집합을 UU로 둔다면, 가게가 실제로 보유한 재고는 SUS \subseteq U로 표현 할 수 있고, 없는 것의 집합은 USU \setminus S로 표현할 수 있다.

즉, "없는 것 빼고 다 있다"는 "전체(UU)에서 없는 것(USU \setminus S)을 제외하고 남은 모든 것은 있다"로 작성할 수 있고, 이는

xU(US)  :  xS\forall x \in U \setminus (U \setminus S) \; : \; x \in S

로 표현 할 수 있다.

하지만, 여집합(complement)의 여집합은 원래 집합이 되기 때문에

U(US)=SU \setminus (U \setminus S) = S

가 되고, 위 명제는 결국 xS  :  xS\forall x \in S \; : \; x \in S로 축약할 수 있고, 동어반복(tautology)이기 때문에 정보값은 없지만 항상 참으로 볼 수 있다.

2

Hi, I'm who's behind Fedify, Hollo, BotKit, and this website, Hackers' Pub! My main account is at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nonbinary:.

Fedify, Hollo, BotKit, 그리고 보고 계신 이 사이트 Hackers' Pub을 만들고 있습니다. 제 메인 계정은: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nonbinary:.

FedifyHolloBotKit、そしてこのサイト、Hackers' Pubを作っています。私のメインアカウントは「@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nonbinary:」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