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LM을 적절하게 팀에 도입하는 방법을 모르겠다. (특히 주니어의) 학습과 단련을 위해 LLM을 의도적으로 배제해야 할 필요도 있을텐데... 하지만 LLM 도구를 사용하는 것도 추구해야 할 학습과 단련의 범주에 포함됨.

3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reply to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88277-7284-717e-96d5-d56d53f229c1 on your instance and reply to it.

그리고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프로젝트에 바이브 코딩을 제대로 도입하는건 비가역적인 변화에 가깝다. 결국 사람이 일일히 다 검수하면 그건 비효율적임. 프로젝트에 들이려면 구현체를 어느 정도 블랙박스로 취급하고 테스트 수트 등에 의존해야 하는데, 생각보다 별로라서 돌아가려면 다시 알지도 못하는 코드베이스에 던져져야함. AI를 믿고 쓴다는 가정이었기 때문에 코드 퀄리티와 컨벤션도 장담할 수 없음.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