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ftware Engineer

영화 <퀴어> 각본가 저스틴 커리츠키스, 이화여대·모모의 한국퀴어영화제 대관 거부에 대해 말하다

저는 루카 과다니노 감독의 영화 <퀴어>의 각본가 저스틴 커리츠키스입니다. 최근 우리의 영화가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내 아트하우스 모모에서 상영될 것이라는 것을 알았습니다. 평소라면 이런 뉴스에 무척 기뻤겠으나, 오늘은 위선이 저를 분노케합니다.

전설적인 퀴어 작가 윌리엄 S. 버로우의 책을 원작으로 하는 <퀴어>는, 1950년대 멕시코시티를 배경으로 한 두 미국인 남성의 사랑을 그렸습니다. 이러한 우리 영화를 상영하고 홍보하는 아트하우스모모와 그 공간의 실질적 소유주인 대학은, 얼마전 한국퀴어영화제의 아트하우스모모 대관을 거부했습니다. 그들은 퀴어영화제가 대학의 “기독교 가치”에 반하고, “청년 대학생에게 동성애를 선전할 위협이 있다”는 반LGBTQ 집단의 압력에 굴복해 이런 결정을 내렸습니다.

이런 결정은 당연하게도, 많은 면에서 터무니없습니다. 영화가 누군가를 성소수자로 만들지 않습니다. 좋은 영화는 그저 현실을 반영할 뿐이고, 퀴어는 인류 역사 최초의 순간부터 세계 어디서나 존재했고 또 존재해 왔다는 것이 바로 현실입니다. 게다가 퀴어는 영화라는 예술이 최초로 탄생하던 순간부터 영화의 창작과 관계 맺었습니다. 전면적으로 퀴어 이야기를 담은 작품이 끊임없이 억압당하고 낙인찍히던 때조차도 말이죠. 일생을 영화관에 가거나 집에서 영화를 시청한 영화 애호가라면 누구나 배우, 작가, 감독, 촬영 스태프, 조명 감독, 카메라맨, 프로듀서 등 수많은 퀴어 예술가들의 작업을 즐긴 적이 있을 것입니다. 퀴어가 그저 퀴어이듯, 퀴어 영화도 그저 영화일 뿐입니다. 이 사실을 무시하는 것은 의도적인 무지에 스스로를 내던지는 행위입니다. 그리고 이 무지는 이미 낙인찍힌 사람들을 추가로 위협하고, 스스로의 지성과 인간성을 모욕합니다.

우리의 영화 <퀴어>에 관해 말씀드리자면, 이화여대가 대학의 “가치”에 반한다는 이유로 한국의 퀴어 영화를 거부하는 반면 해외 퀴어 영화인 <퀴어>를 홍보하고자 하는 것은 몹시 황당합니다. 이화가 우리 영화를 상영할 준비가 되었다면, 한국에서 제작된 퀴어 영화들의 터전이 되는 것을 기쁘게 받아들이고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입니다. 이런 결정은 세계 영화의 지형을 더욱 풍요롭게 하고 대학 스스로를 더 명예롭게 만들 것입니다. 대학의 일차적 “가치”는 결국 진실에 대한 헌신입니다. 그러므로, 나는 이화가 한국퀴어영화제 대관 거부 결정을 재검토하고, 다양한 인간적 경험을 다루는 모든 표현에 대한 국내와 해외 영화를 모두 환영하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cc.
https://x.com/kqcfkqff/status/1935583115671658682

0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넵 아무래도 nginx로는 기존에 lua로 스크립팅을 많이해서 좀 덜 알려진거같고, 주력으로 밀지는 않는거같아요. 공식 문서도 deprecated 상태인것도 있을정도고... QuickJS 들어오기 전까지는 ES6도 부분적 지원만 하기도 해서요.

하지만 외부 라이브러리도 적당히 번들링하고 import 하면 되니 어떻게든 문제되는 부분만 간단하게 해치우고 십수년 전통의 다른 부분(리버스 프록시 등등)은 의존하고 싶을때는 이만한게 없는거같아요. 물론 lua나 OpenResty가 있긴 하지만 npm의 존재가 무시하기 힘들더군요… 마침 저는 grafana의 lezer-logql(파서)을 썼어야 했어서요.

2

한편 새로 도입된 QuickJS라는 경량 JS 엔진은... ffmpeg과 qemu로 유명한 Fabrice Bellard 씨 작품… 진짜 뭐 이런 사람이 다 있지???

4

Nginx의 njs에 QuickJS 엔진 추가되니 기능이나 문법 제약도 거의 없어서 출근해서 해볼 성능 테스트만 제대로 되면 좀 복잡한 로직 필요한 리버스 프록시는 이걸로만 짤거같음. JS모듈들 대충 번들로 만들고 import해서 다 쓸수 있어서...

6

@khrisHong Segi (aka khris) 답글 감사합니다! LangDev에 올리신 채팅으로 해당 공고를 미리 알게 되었습니다.

본문에 적었듯이, 제가 올해 하반기에 전공 필수 이수가 하나가 남아 있어서, 재직 증명을 바탕으로 교수진과 유연한 수업 이수 방식에 대한 추후 협의가 필요한 상황인데요.

제가 지원하는 직무와 연관이 있는 조직 내 동료 등 여러 이해관계자에게 이런 상황의 지원자가 지원해도 괜찮은지 사전에 확인을 받고 싶습니다.

0

안녕하세요, 업으로 프로그래밍을 하고 있는 컴퓨터 학부생 김무훈입니다.
현재 3년차 웹 프론트엔드 개발자로서, 다가오는 7월부터 함께할 정규직 포지션을 적극적으로 찾고 있습니다.

최근 학과 사무실에서 졸업 요건을 확인한 결과, 전공 필수 한 과목전공 선택 2학점(총 5학점)이 남아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본래는 다음 2학기까지 수료 후 내년 2월에 졸업할 예정이었으나, 교수진과 상의한 결과 취업 및 재직이 확정된다면 수업 이수 방식을 보다 유연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답변을 받아 적극적으로 조기 취업을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이는 전공 필수 과목의 경우에만 해당이 되는 문제이고, 전공 선택 2학점의 경우 앞으로의 여름 학기 현장 실습 또는 다음 학기에 개설되는 하나의 원격 강의로 대체하여 문제가 없는 상태입니다.

지금까지의 업무 경험과 프로젝트는 아래의 포트폴리오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경력기술서 겸 포트폴리오 페이지: https://www.frontend.moe/portfolio/

좋은 인연을 찾을 수 있도록, 많은 관심과 연락 부탁드립니다!

@iamuhun김무훈 안녕하세요. 저희 팀은 사내의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자체 모니터링/옵저버빌리티 플랫폼(예: Datadog)을 개발하고 있는데요, 현재 웹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를 구인중입니다. 관심있으시면 채용공고를 한번 봐 주세요: https://careers.linecorp.com/ko/jobs/2657 궁금한점이 있으시면 멘션 주시면 됩니다.

1

AI에 대한 SW 엔지니어들의 자신감은 "어쨌거나 업계 내에서 만드는거라서-" 인거 같다. 손바닥 위에 있다는 감각(얼추 맞긴 하다).

타 직업군은 AI나 LLM 솔루션 자체를 다루는데도 한계가 있거니와(아무래도 fork떠서 고친다거나 할순 없으니까) 결과물도 자기 의사와 관계 없이 학습당하고 있기 때문에…

아예 거스를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타 분야에서는 오히려 공격적으로 자기 분야에 특화된 모델을 만들고, 기존 저작물들을 학습으로 부터 보호해서 우선권을 선점 하는게 그나마 좀 더 낫지 않을까?

근데 후자는… 테크기업이 양아치라서 잘 안될거같다.

2
0
1

개인적으로는 k8s쓰는 가장 큰 이유는 개발자 복지라고 생각한다. 적정기술만 쓰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뭔가를 실 서비스에서 경험할 기회를 잃어버린다. 아니 이건 됐고…

온프레미스 클러스터 오퍼레이션 부담이나 EKS같은 서비스의 사용료 걱정만 없다면 쓰는게 무조건 낫다고 생각한다.

일단 k8s뿐만 아니라 컨테이너/머신 오케스트레이션의 세계에서 앱과 머신은 좀 더 잘 죽어도되는 존재가 된다. (물론 stateful한 호스트와 앱을 최대한 stateless하게 하거나, 상태를 분리하여 격리시켜야 하긴 한다)

그러면 docker-compose로 충분하지 않느냐 말할 사람도 있겠지만 처음에야 docker-compose 쓰는거나 k8s 쓰는거나 그게 그거지만(오히려 k8s가 성가실것이다) 마이그레이션의 때가 오면 난 그걸 감당할 자신이 없다.

물론 자신만의 가볍고 쏙 맘에드는 솔루션을 고집할 사람도 있을텐데… 난 남들이 다 쓰는거 쓰는게 편하다.

4
1

Claude code를 잘 써보려고 이렇게 저렇게 해보는 중.

코드는 잘 찍어내는데… 가끔씩 삑사리를 내서 끝도없는 삽질하느라 크레딧만 쳐묵쳐묵해서 쳐다보고 있다가 끊어줘야한다.

내가 없어도 이 정도 할 수 있으면(시간당 $5정도) 쓸만한데… 계속 쳐다보고 있을거면… 그냥 클로드 웹(월 $20)이나 깃헙 코파일럿(월 $10)보다 나을 게 없다.

사실 휴먼 개발자도 비슷하다. 해보고 안되면 “적절한” 시점에 도움을 청해야하는데… “적절한”게 어렵다. 제대로 해보지도 않고 도움을 청해도 안되고, 안되는 걸 끝까지 붙잡고 있어도 안된다.

이 녀석에게 “적절함”을 어떻게 가르쳐야하나…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