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새로 도입된 QuickJS라는 경량 JS 엔진은... ffmpeg과 qemu로 유명한 Fabrice Bellard 씨 작품… 진짜 뭐 이런 사람이 다 있지???

Hong Segi (aka khris)
@khris@hackers.pub · 22 following · 18 followers
Software Engineer
Nginx의 njs에 QuickJS 엔진 추가되니 기능이나 문법 제약도 거의 없어서 출근해서 해볼 성능 테스트만 제대로 되면 좀 복잡한 로직 필요한 리버스 프록시는 이걸로만 짤거같음. JS모듈들 대충 번들로 만들고 import해서 다 쓸수 있어서...
AI에 대한 SW 엔지니어들의 자신감은 "어쨌거나 업계 내에서 만드는거라서-" 인거 같다. 손바닥 위에 있다는 감각(얼추 맞긴 하다).
타 직업군은 AI나 LLM 솔루션 자체를 다루는데도 한계가 있거니와(아무래도 fork떠서 고친다거나 할순 없으니까) 결과물도 자기 의사와 관계 없이 학습당하고 있기 때문에…
아예 거스를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타 분야에서는 오히려 공격적으로 자기 분야에 특화된 모델을 만들고, 기존 저작물들을 학습으로 부터 보호해서 우선권을 선점 하는게 그나마 좀 더 낫지 않을까?
근데 후자는… 테크기업이 양아치라서 잘 안될거같다.
아무래도 Github Copilot 잘 안쓰게 되는게 사람말이 가장 어려워서인거 같다
개인적으로는 k8s쓰는 가장 큰 이유는 개발자 복지라고 생각한다. 적정기술만 쓰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뭔가를 실 서비스에서 경험할 기회를 잃어버린다. 아니 이건 됐고…
온프레미스 클러스터 오퍼레이션 부담이나 EKS같은 서비스의 사용료 걱정만 없다면 쓰는게 무조건 낫다고 생각한다.
일단 k8s뿐만 아니라 컨테이너/머신 오케스트레이션의 세계에서 앱과 머신은 좀 더 잘 죽어도되는 존재가 된다. (물론 stateful한 호스트와 앱을 최대한 stateless하게 하거나, 상태를 분리하여 격리시켜야 하긴 한다)
그러면 docker-compose로 충분하지 않느냐 말할 사람도 있겠지만 처음에야 docker-compose 쓰는거나 k8s 쓰는거나 그게 그거지만(오히려 k8s가 성가실것이다) 마이그레이션의 때가 오면 난 그걸 감당할 자신이 없다.
물론 자신만의 가볍고 쏙 맘에드는 솔루션을 고집할 사람도 있을텐데… 난 남들이 다 쓰는거 쓰는게 편하다.
v1의 구현방식이 매력적이었는데 한계로 인해 결국 v2의 방식을 택하게된게 참 아쉬웠다…
RE: https://hl.pkgu.net/@pkgupdt/019627a1-2be1-763a-90e2-1e10ce1df445
AI한테 코딩을 왜 시킵니까? 팀원들한테 JIRA 이슈 배분하면 되는데...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