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캠 케이스 스터디

leetekwoo @leetekwoo@hackers.pub
목적
-
인터넷에서 제가 직접 접한 스캠 시도를 기록하고,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맥락
- 취미로 사진을 비롯한 창작물을 여러 채널에 업로드하고 있습니다.
- 종종 SNS상의 DM으로 "협업 제안", "구매 문의" 등을 보내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 좋은 기회일 수 있다는 건 알지만, 스캠 가능성을 고려해 반응하지 않습니다.
케이스 스터디
어제(25.07.08
) 접한 스캠 시도는 인상적이었습니다.
TLDR: 가짜 계정이 타인의 `LinkedIn` 프로필로 진짜 행세하기
- "컨텐츠 디렉터"라는 분에게 dm을 받았습니다.
- 보낸 이의 프로필에
LinkedIn
프로필 링크가 있어 이름, 직함, 회사 등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메시지의 형식과 문체가 포멀해서 그럴듯해 보이지만, 팔로워가
0
인 점은 수상했습니다. - 명의도용이라는 생각이 들어 무시하고, 스팸 신고를 했습니다.
사실 메시지 내용 자체도 미묘하게 내려보는 condescending
말투로 성공을 약속하는 점에서 이미 사기로 느껴졌습니다. 완벽한 비즈니스 영어도 LLM으로 충분히 작성할 수 있으니까요. (이런 게 튜링 테스트인가? 라는 생각도 듭니다.) 이런 스캠이 매크로 봇인지 아닌지 그저 추측할 따름입니다.
전하고 싶은 말
- 제게 창작은 평생 이어갈 취미이지만, 이를 생계로 하시는 분들에겐 무척 피곤하고, 위험할 수 있는 일이어서 염려가 됩니다. 이 글을 쓰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 인터넷상에서 제안은 보낸 이가 자신의 신분과 의도를 투명하게 밝히는 것이 중요하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투명한 채널로 소통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 로맨스 스캠, 나이지리아 왕자, 유명인의 뒷계정, 보이스 피싱 등 사기는 늘 많았죠. 하지만 기회가 간절한 분들에게 'A&R', '기획자', '스카우터'를 사칭하면 혹하기 쉬울 것 같습니다.
제 첫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