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onhairdino 쌍대는 너무 일반적인 개념이라 쌍대 자체를 응용하기에는 구체성이 모자라고요, 어떤 것의 쌍대를 이용할 것인가를 살펴봐야지요. 이를테면
A
의 쌍대를 A -> Void
로 생각할 때에는 쌍대의 쌍대가 (A -> Void) -> Void
, 즉 Continuation Passing Style에 해당하는 변환을 주지요.
와, 더 마법스러워 보입니다. 내재된 근본 원리를 어찌 이해해야 저렇게 응용해야지 하는 생각이 들까요. (질문 아니고 감탄입니다.) @ailrunAilrun (UTC-5/-4)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reply to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65bb1-232f-7081-90f4-313e189d53e3 on your instance and reply 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