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reply to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9f0f5-1834-74d6-830e-8138d3ed8e72 on your instance and reply to it.

0

[1일차] 27p.

안전지대와 빠른 사고는 사람들을 현실에 안주하게 만들고, 이성적 사고를 통해 불확실성을 줄이려는 노력을 방해한다. 지식이 범람하는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유료 지식 채널에서 유명 인사의 새해 특별 강연을 듣고 주먹을 불끈 쥐며 새해에는 운동을 시작해야겠다고 결심하곤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얼마 안 가 소파에 파묻혀 TV나 보며 뒹굴거리는 생활로 돌아오고 만다. 우리는 이런 사고의 안전지대가 주는 속박과 빠른 사고를 요하는 뇌의 습관에서 벗어나 이성적으로 사고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조급함을 버리고 '백만 달러짜리 질문에 자신 있게 대답하고 이 그래이 만 조급함을 버리고 '백만 달러짜리 질문'에 자신 있게 대답하고 이성적 사고로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이것이 쌓일 때 일반적인 수준의 결과를 뛰어넘어 우수한 수준으로, 나아가 탁월한 경지로 도약할 수 있다.

맥킨지 논리력 수업 1일차
0

[2일차] 25p.

논리적 사고법의 기본기인 구조화 분류는 쉽게 말하면 ’나누기’다. 문제를 위부터 아래 방향으로 분석하면서 차원에 따라 더 상세하게 분해하는 것이다.

맥킨지 논리력 수업 2일차
0

[3일차] 22p.

우선순위를 판단할 때는 다차원 분류를 하는 것이 좋다. 이 과정은 일종의 단어 나누기 연습과도 같다. 프로젝트를 나누는 차원은 규모(수입과 투입), 직무 유형, 전략적 중요성, 수행 난이도, 주기, 담당 부서, 빈도 수, 외부 참여 유무 등으로 상당히 많다. 이 가운데 우선순위와 가장 연관이 큰 차원과 속성을 찾아, 그 조합으로 우선순위를 정의한다.

맥킨지 논리력 수업 3일차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