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조내일

@tomorrowcho@hackers.pub · 8 following · 7 followers

GitHub
@yoonucho

[1일차] 21p.

일단 TCP 커넥션이 맺어지면, 클라이언트와 서버 컴퓨터 간에 교환되는 메시지가 없어지거나, 손상되거나, 순서가 뒤바뀌어 수신되는 일은 결코 없다. 네트워크 개념상, HTTP 프로토콜은 TCP 위의 계층이다. HTTP는 자신의 메시지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TCP를 사용한다. 이와 유사하게 TCP는 IP 위의 계층이다.

HTTP 완벽 가이드 1일차
0

[3일차] 22p.

우선순위를 판단할 때는 다차원 분류를 하는 것이 좋다. 이 과정은 일종의 단어 나누기 연습과도 같다. 프로젝트를 나누는 차원은 규모(수입과 투입), 직무 유형, 전략적 중요성, 수행 난이도, 주기, 담당 부서, 빈도 수, 외부 참여 유무 등으로 상당히 많다. 이 가운데 우선순위와 가장 연관이 큰 차원과 속성을 찾아, 그 조합으로 우선순위를 정의한다.

맥킨지 논리력 수업 3일차
0

[2일차] 25p.

논리적 사고법의 기본기인 구조화 분류는 쉽게 말하면 ’나누기’다. 문제를 위부터 아래 방향으로 분석하면서 차원에 따라 더 상세하게 분해하는 것이다.

맥킨지 논리력 수업 2일차
0

[1일차] 27p.

안전지대와 빠른 사고는 사람들을 현실에 안주하게 만들고, 이성적 사고를 통해 불확실성을 줄이려는 노력을 방해한다. 지식이 범람하는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유료 지식 채널에서 유명 인사의 새해 특별 강연을 듣고 주먹을 불끈 쥐며 새해에는 운동을 시작해야겠다고 결심하곤 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얼마 안 가 소파에 파묻혀 TV나 보며 뒹굴거리는 생활로 돌아오고 만다. 우리는 이런 사고의 안전지대가 주는 속박과 빠른 사고를 요하는 뇌의 습관에서 벗어나 이성적으로 사고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조급함을 버리고 '백만 달러짜리 질문에 자신 있게 대답하고 이 그래이 만 조급함을 버리고 '백만 달러짜리 질문'에 자신 있게 대답하고 이성적 사고로 올바른 판단을 내릴 수 있다. 이것이 쌓일 때 일반적인 수준의 결과를 뛰어넘어 우수한 수준으로, 나아가 탁월한 경지로 도약할 수 있다.

맥킨지 논리력 수업 1일차
0
0
0
0
0
1
1

이 글을 보니까 뭔가 N글자 이상일때 아티클로 옮길지 말지 물어보는 UI가 있으면 어떨까 싶은 생각이 문득 들었다. (350 <= N <= 500)

당연히 web-next 에서 작업해야 하는 이슈 쯤으로....

0
0
0

내 마음속 1등 투표하고 포인트 받아요

시작하며

"두근두근 1등 찍기!"

마치 최애 아이돌 순위 투표 같지만, 사실은 제가 매일 참여하는 토스 앱의 한 혜택 이름입니다. 저는 토스 앱에서 포인트를 줍줍하는, 소위 ‘앱테크’에 꽤 진심인 편인데요. 여느 때처럼 ‘1등 찍기’에 참여하다 문득 이런 생각이 스쳤습니다.

“고기가 선택지에 있으면 무조건 1등이던데. 정말 그럴까? 그래도 한 달은 지켜봐야 유의미한 데이터가 나오지 않을까?”

이 단순한 호기심에서 시작된 작은 실험은 결국 32일간의 관찰과 기록으로 이어졌습니다. 9월 8일부터 10월 9일까지, 저는 매일 자정과 정오에 열리는 ‘1등 찍기’에 참여하며 스크린샷을 남겼습니다.

‘두근두근 1등 찍기’는 주어진 주제에 맞춰 여러 상품 중 하나를 선택만 해도 소소한 포인트를, 내가 고른 상품이 1등이 되면 추가 포인트를 얻는 방식입니다. (31일은 하루 두 번 모두, 하루는 깜빡하고 한 번만 참여했습니다.)


🍖 고기는 언제나 옳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고기는 필승 카드였습니다. 제가 참여한 32일 중 돼지고기나 소고기가 등장한 7일 동안, 단 한 번의 예외도 없이 1등을 차지했습니다.

닭고기 역시 의외의 강자였습니다. 총 3번 1등에 올랐는데, 그중 한 번은 특히 인상적인 대결이 펼쳐졌습니다.

“이번 주말 할인 쿠폰 받고 먹고 싶은 메뉴는?”
(BHC vs BBQ)

스크린샷 2025-10-12 오후 11 15 32

저는 당연히 BBQ일 거라 생각하며 첫 번째 투표를 했지만, 두 번째 투표에서는 혹시나 하는 마음에 BHC를 선택했습니다.
결과는 BHC의 승리.
스크린샷 2025-10-12 오후 11 16 30

이 대결을 통해 요즘 치킨의 대세는 BHC라는 소소한 깨달음도 얻었습니다.


👑 예상 가능한 승부들

데이터가 쌓이자 몇 가지 흥미로운 패턴이 더 보였습니다.

기출 변형도 이겨버린 ‘황금 송편’

추석 연휴에는 유독 송편 관련 문제가 많았습니다. 총 4번 등장했는데, 놀랍게도 모두 ‘황금 송편’이 1등을 차지했습니다.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일종의 ‘기출 변형’ 문제였습니다.

“추석에 가장 먹기 싫은 송편은?”

처음에는 질문을 곧이곧대로 해석하고 ‘콩송편’을 골랐습니다.
하지만 두 번째 기회에서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사람들이 질문은 안 읽고 무지성으로 황금 송편을 누르지 않을까?’

결과는 놀랍게도 제 예상과 정확히 일치했습니다.
사람들은 문제를 읽지 않았고(아마도...), ‘먹기 싫은 송편’ 1등은 황금 송편이었습니다.

스크린샷 2025-10-12 오후 11 20 24

가전제품의 왕, 워시타워

가전제품 문제는 총 5번 등장했는데, 승자는 거의 정해져 있었습니다.
워시타워가 선택지에 있는 날은 어김없이 1등을 차지했습니다.

집에 이미 워시타워가 있어 개인적으로는 스타일러를 원했지만,
1등 예측을 위해 워시타워를 선택했고 결과는 역시나였습니다.
워시타워가 후보에 없던 날에야 비로소 냉장고가 1등을 할 수 있었습니다.


📈 데이터로 증명된 1등의 법칙

총 32일간의 기록 중 제가 1등을 맞춘 날은 29일(성공률 90.6%) 이었습니다.
손수 집계한 전체 데이터는 다음과 같습니다.

항목 횟수 비율(%)
고기(돼지고기·소고기) 7 21.9%
가전제품(워시타워·냉장고 등) 6 18.8%
황금 송편 4 12.5%
닭고기 3 9.4%
프로모션 당첨금 3 9.4%
아이폰 17 프로 할인 쿠폰 2 6.3%
생선 1 3.1%
현금 바우처 1 3.1%
외식비 지원금 1 3.1%
삼성 1 3.1%
황금 동전 1 3.1%
백화점 매장 알바 1 3.1%
신라면 1 3.1%
총합 32 100%

결론적으로 사람들의 선택은 세 가지 키워드로 요약되었습니다.
‘고기, 가장 선호도 높은 고가품(aka. 워시타워), 그리고 현금성 혜택.’
이 세 가지 요소가 포함된 선택지는 다른 후보들을 압도하는 경향이 뚜렷했습니다.


❌ 감이 빗나간 3일

물론 제 감이 항상 맞았던 것은 아닙니다.
32일 중 3일은 예측에 실패했습니다.

아이폰 17 프로 사전예약 혜택?

→ ‘중고 보상’을 골랐지만, 정답은 ‘할인 쿠폰’이었습니다.
아무리 미래 가치가 높아도, 당장 눈앞의 ‘할인’이라는 현실적인 혜택을 이길 수는 없었습니다.

스크린샷 2025-10-12 오후 11 32 48

한가위를 풍성하게 보낼 알바는?

→ 정답은 ‘백화점 매장 알바’였습니다.
‘한가위’라는 키워드에 꽂혀 과일 포장 알바를 골랐지만,
아마 더 높은 시급과 쾌적한 환경이 더 매력적인 선택지였나 봅니다.

스크린샷 2025-10-12 오후 11 33 46

추석에 가장 인기 있는 송편은?

→ 이때만 해도 ‘황금 송편’의 위력을 몰랐습니다.
당연히 가장 맛있어 보이는 ‘꿀 송편’을 골랐지만,
사람들의 선택은 맛보다 는 ‘황금’의 가치였습니다.

스크린샷 2025-10-12 오후 11 34 50

마무리하며

사실 이 데이터를 집계하기 위해 개발자답지 않은 원시적인 방법,
바로 ‘손’으로 한 땀 한 땀 세는 길을 택했습니다.
(ChatGPT에 노션, 구글드라이브 MCP 연동부터 파이썬 스크립트, Colab까지 모두 권한 문제로 실패한 건 비밀입니다. ㅋ)

그래도 꽤 즐거운 관찰의 시간이었습니다.
결국 단순한 앱테크로 시작한 이 작은 실험은,
32일간의 기록을 통해 사람들의 보편적인 욕망과
선택의 패턴을 엿볼 수 있는 흥미로운 실험이 되었습니다.

0

드디어 구글 스터디잼 학습에서 목표로 했던 스킬 뱃지 10개를 모두 획득하고, 골드 등급에도 진입했습니다!
제 시간과 노력이 결실을 맺은 것 같아 더욱 뿌듯합니당. 프로필 보기

0

안녕하세요, 처음으로 포스팅을 해봅니다.

Next.js와 Supabase를 함께 사용한 프로젝트에서 Supabase 일시정지를 해제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7일마다 잠드는 Supabase 프로젝트 깨우기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