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at is Hackers' Pub?

Hackers' Pub is a place for software engineers to share their knowledge and experience with each other. It's also an ActivityPub-enabled social network, so you can follow your favorite hackers in the fediverse and get their latest posts in your feed.

0
0
0
0
0

Vandaag een brief van Bevolkingsonderzoek Nederland gekregen: mijn gegevens zijn ook buitgemaakt. Nu was ik gewend aan het idee dat mijn info te grabbel ligt bij de KvK (tot voor kort ook BSN verhuld als BTW-nummer), maar toch voel ik me aangetast. Ik vind een uitstrijkje aangenamer, en dat zegt een hoop.

In de brief stond niet eens wat ze precies van mij hebben. Publicatie is nog steeds niet uitgesloten, dus misschien ligt alles straks zichtbaar op straat. Bah.

0
0
0
0
1
0
0
0
0
0
0
0
1
0

가장 즐겁게 한 일본 게임은 그란 투리스모. 가장 길게 한 게임은 브랜디쉬4. 브4는 지금도 한국어판 실행 파일이랑 세이브 파일도 보관하고 있음. 생각나면 꺼내서 한 게임.

0
0
0
0
0
0
0
0
0
0
0
0
0
0

@mattmattlqx people use the Fediverse for work, and will do so more in the future. My employer, Open Earth Foundation, has an instance for staff. All of us use real names. It's not a policy, just a cultural norm. It does not matter to anyone else on the Fediverse; they don't need to verify it.

0
0
0
0
0
0

인터넷에 떠돌아다니는 여러가지 일진 썰들
나는 그런 일진을 한번도 본 적이 없음
운이 좋아서 그런건지 원래 일진이라는 인간들이 자기들끼리만 뭉쳐다녀서 그런건지
친구 괴롭혔던 학교폭력 가해자까지는 본 적이 있긴 한데 그냥 남 괴롭히길 좋아하는 소시오패스 ㅅㄲ였지 흔히 생각하는 일진은 아니었음

0
0
1
0
0

[멸종·기후 콕콕] “고래와 파충류 30종 넘게 갇혀 있다”:
“동물원이나 수족관이 폐원, 폐관할 경우 보유동물을 얼마나 동물복지에 근거해 적절하게 처분하는지 객관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기업의 영업 비밀을 침해하려는 이유가 아니라, 동물원수족관법 제정 취지에 따라 보유동물이 제대로 관리되는지 확인하기 위한 공익적 목적이다. 거제씨월드에는 큰돌고래와 벨루가 등 고래류 동물만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카멜레온, 도마뱀, 거북, 뱀 등 30종이 넘는 파충류 동물도 갇혀 있다.”핫핑크돌핀스. 거제씨월드 폐관 관련 성명서에서. “기후위기로 전 세계적 산불의 빈도와 규모를 급증하면서, 산불은 더 이상 단순
newspenguin.com/news/articleVi
(2025-08-24 00:05:00)

0

[식물의 육하원칙] 국내 자생하는 유일 콩과식물 ‘만년콩’:
만년콩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이다. 아래는 만년콩의 육하원칙. Who?내 이름은 만년콩. 학명은 Euchresta japonica Hook. f. ex Regel. 콩과 상록성 반떨기나무야. When?국내에서는 1970년에 처음 발견되었어. 2012년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지정돼 보호되고 있어. 꽃은 5~6월에 피고 9~10월에 열매가 열려. Where?산지 북사면 햇빛이 거의 안 드는 계곡부 상록수림에 살아. 공중습도가 높고 부식질이 풍부한 바위 주변 토양에서 주로 확인돼. 아열대식물로 국내에서는 제주도 남쪽 숲속에 소수 개체
newspenguin.com/news/articleVi
(2025-08-24 00:05:00)

0
0
0
0
0
0
0
0
0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