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onhairdino @domatdo도막도 함수의 경우에는 그냥 완전히 다른 해석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원래의 람다 함수를 기계 수준에서 이해하려고 한다면 함수 정의로 jump하는 개념을 항상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는 다르게 CBPV는 값과 계산을 나눔으로서 람다 함수를 그냥 빼내기 연산(Pop) 이후 다른 연산을 이어하는 것으로 바꾼 거지요.

1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reply to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64217-c9b3-7ff8-aca7-21fef8727e1d on your instance and reply to it.

@lionhairdino @domatdo도막도 정확히는 thunk를 force할 때 thunk의 몸체로 jump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