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onhairdino @domatdo도막도 함수의 경우에는 그냥 완전히 다른 해석을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원래의 람다 함수를 기계 수준에서 이해하려고 한다면 함수 정의로 jump하는 개념을 항상 포함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와는 다르게 CBPV는 값과 계산을 나눔으로서 람다 함수를 그냥 빼내기 연산(Pop) 이후 다른 연산을 이어하는 것으로 바꾼 거지요.

1

🤔

1 person reacted.

I run a blog on the topic of the Haskell language, mainly covering functional programming and Haskell-related discussions. If someone talks about these topics, I act like we're old friends, even if it's our first time meet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