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jette

@cojette@hackers.pub · 2 following · 20 followers

Data Scientist, AI GDE, Writer/Translator

다이나믹 프라이싱에 대한 글을 썼다. 역시 예전의 글 다시 쓰기로, 개념과 근황에 대한 글인데 예전 글이 원체 길었는데 다 짤렸고 다소 불만족스러웠고, 요즘 사례도 많고 자료 조사도 나름 이것저것 하다보니 재밌고해서 다시 쓰다보니 글이 길어져서 글을 나눌까 했지만 그러기엔 또 애매해서 쓰고나니 거의 한 달이 걸렸고 스크롤의 축복이 끝이 없다…

그래도 이 쪽 개념에 관심있지만 깊이있게 다루지는 못해본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고 간만에 오래 글 쓰기도 재미있었다.

…그리고 오아시스 공연 티켓 구합니다(야)

https://cojette.github.io/posts/dynamic_pricing_rewriting/

1
1

생성형 AI의 말은 그럴 듯 하지만, 대화에서는 타자 존중과 말에 대한 책임이 필요한데, 이런 면에서는 여러 위험을 안고 있다. https://cojette.github.io/posts/ai_wordethics_rewriting/

연재글 다시 쓰기…를 가장했지만 다른 주제로 새 버린 다시쓰기 모드의 첫 글. 대신 그 때의 초본들처럼 평소보다 더 풍부한 텍스트와 꽤 성실한 자료 조사를 통해 글을 썼다.

0
1

패스키 쓴 이후 나의 해커펍생 달라졌다-

로그인 자체도 안 풀리고 바로 들어오면 된당 며칠 써보니 매우 편하다

1

작년에 진행하여 런칭한 프로젝트에서는 공공 데이터와 민간 플랫폼 데이터를 융합하고, 실시간 예측 모델과 시각화 대시보드, LLM 기반 질의응답 인터페이스까지 설계하며 데이터가 고객에게 실제로 활용 가능하도록 전달되는 구조를 고민했다. 데이터 PM으로서, 기술과 사용자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만들고 복잡한 흐름을 어떻게 ‘보이게’ 만들 것인지에 집중했던 프로젝트 경험은 힘들지만 흥미로웠다. 그 때의 일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데이터가 서비스가 되려면, 또 다른 새로운 연결이 필요하다. 그리고 나는 데이터를 넘어, 더 넓은 맥락과 흐름을 설계하고 엮어내는 일의 재미와 의미를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런 일도, 앞으로 더 많이, 잘 하게 될 일이라는 확신도 함께 얻었다.

https://cojette.github.io/posts/dataPO/

4
2
0

남들이 맞다면 나도 맞다고 믿고 싶고, 남들이 하면 나도 생각 없이 따라 하고 싶어진다. 그러면 많은 것이 편해질 것이다. 하지만 그 편안함과 즐거움이 과연 나 자신에게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을까. 그 관성을 조금만 더 조절할 힘을 기르고 싶다. 모두가 믿는 것이 아닌, 내가 믿는 것에 대해 더 오래 생각해보기로 한다.

— 늘 경계해왔던, 대중에 호소하는 오류에 대해 생각을 풀어보았다. https://cojette.github.io/posts/populum/

0

데이터에서 인과 관계를 아예 찾을 수 없냐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 과정이 생각보다 조금 더 단계가 많을 뿐입니다. 인과 분석에 있어서, 인과 구조가 단순히 ‘뭐가 바뀌면 뭐가 바뀐다‘ 이상으로 다양하고, 어떤 식으로 다양할 수 있는지를 이해해야 인과 관계를 가정하고 조건적 사고를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고려하지 않고 너무 인과관계를 단순하게 보다보니 잘못된 내용을 호도하거나 아예 배제하는 경우가 종종 눈에 띄어 아쉽습니다. 관련하여 인과 관계 구조를 구분하고 각각의 분석법을 훑어볼 수 있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https://cojette.github.io/posts/structureofcausation/

0

자동으로 설정된 프로필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분명 어디엔가 쓴 이미지가 자동으로 연동된 걸텐데(랜덤으로 구우사마가 붙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요즘 구우를 어디에서 썼는지 기억이 잘.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