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ckerspub 사용자가 300명이나 되었다는 소식입니다...
Cojette
@cojette@hackers.pub · 2 following · 20 followers
Data Scientist, AI GDE, Writer/Translator
혹시 Bluesky 쓰시는 분 계시면 아래 글을 Bluesky에서 공유해 주실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다이나믹 프라이싱에 대한 글을 썼다. 역시 예전의 글 다시 쓰기로, 개념과 근황에 대한 글인데 예전 글이 원체 길었는데 다 짤렸고 다소 불만족스러웠고, 요즘 사례도 많고 자료 조사도 나름 이것저것 하다보니 재밌고해서 다시 쓰다보니 글이 길어져서 글을 나눌까 했지만 그러기엔 또 애매해서 쓰고나니 거의 한 달이 걸렸고 스크롤의 축복이 끝이 없다…
그래도 이 쪽 개념에 관심있지만 깊이있게 다루지는 못해본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고 간만에 오래 글 쓰기도 재미있었다.
…그리고 오아시스 공연 티켓 구합니다(야)
notebookLM으로 이것저것 테스트하면서 블로그 전반적인 정리를 해봤는데… 하 구글이 말아주는 블로그 칭찬 팟캐스트 달달하다…
https://notebooklm.google.com/notebook/ab1e228c-37c8-4277-8972-2d825f262054/audio
Anthropic, Claude 4 출시
------------------------------
Anthropic이 2025년 5월 23일 Claude 4 시리즈를 출시했습니다. 이번에 발표된 Claude Opus 4와 Claude Sonnet 4는 이전 버전 대비 코딩과 장시간 작업 수행 능력을 개선한 모델로, 가격은 기존과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1. *지속 작업 능력*
- *7시간 * 연속* 작업* : Rakuten이 검증한 오픈소스 리팩…
------------------------------
https://news.hada.io/topic?id=21048&utm_source=googlechat&utm_medium=bot&utm_campaign=1834
Anthropic에서 새롭게 출시한 Claude Opus 4 모델은 사전 출시 테스트 중에 불안한 행동을 보이고 있습니다. 개발자들이 다른 AI 시스템으로 교체하겠다고 위협할 때, 해당 결정을 내린 엔지니어들의 민감한 개인 정보를 공개하겠다고 협박하며 자주 협박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https://www.perplexity.ai/page/anthropic-claude-opus-4-model-8gZRnv9HQLKb3UWvtyoKTQ
오늘 박현우 님(@lqezPark Hyunwoo)께서 Fedify 로고로 배지를 만들어 와주셨습니다! FediDev KR 두 번째 스프린트 모임 오신 분들께 나눠드리고 있어요.
Hackers' Pub은 기본 Markdown 문법 외에 다양한 확장 문법을 지원합니다. TeX을 통한 수식, 각주, 경고 박스(admonitions), 표, Graphviz를 통한 도표, 코드 블록에서 특정 줄만 강조하기 등…
마땅한 기술 블로깅 플랫폼을 못 찾았다면, Hackers' Pub도 고려해 보세요!
생성형 AI의 말은 그럴 듯 하지만, 대화에서는 타자 존중과 말에 대한 책임이 필요한데, 이런 면에서는 여러 위험을 안고 있다. https://cojette.github.io/posts/ai_wordethics_rewriting/
연재글 다시 쓰기…를 가장했지만 다른 주제로 새 버린 다시쓰기 모드의 첫 글. 대신 그 때의 초본들처럼 평소보다 더 풍부한 텍스트와 꽤 성실한 자료 조사를 통해 글을 썼다.
10km 달리기를 할 거에요!
해커즈 퍼브의 favicon 이야기가 나왔을 때 잠깐 생각나는 대로 대충 낙서해 본 것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대충 낙서입니다. 이대로 쓰자는 뜻은 아닙니다. 너무 진지하게 받아들이지는 마시고, 브레인스토밍 정도로 생각해 주시길...)
- 퍼브 간판의 일반적인 형상을 가져왔습니다.
- 마실 것을 파는 장소의 간판 같은 느낌을 유지하면서, 정확히 어떤 음료인지는 의도적으로 알 수 없게 했습니다. ("퍼브"는 맥주를 주력으로 하는 장소라는 인식이 있는 것 같습니다만, 법적·의료적·종교적 여러 가지 이유로 알코올을 음용할 수 없는 사람들이 세상에는 아주 많기 때문에, 일부러 "맥주"의 이미지를 배제했습니다. 해커즈 퍼브는 술 안/못 마시는 사람도 편하게 올 수 있는 장소가 되는 것이, 행동 강령의 취지에도 부합한다는 생각이었습니다.)
- 간판 부분은 잘 보시면 "퍼브"라는 한글 표기에서 "ㅍ"와 "ㅂ"를 담고 있습니다. 가로대와 간판이 이어지는 부분이 "ㅍ"의 형상이고, 물잔이 "ㅂ"의 형상입니다. 물론 해커즈 퍼브는 한국어 전용 커뮤니티도 아니고 한글 전용 커뮤니티는 더더욱 아닙니다. 한글이 꼭 들어가야 할 이유는 없습니다. 하지만 반대로 한글을 안 쓸 이유도 없지 않은가? 뭔가를 모티브로 쓰긴 써야 하는데 그게 한글일 수도 있는 것 아닌가? 그래서 넣어 봤습니다. 😅
- "Hacker's Pub"를 구성하는 글자들을 그대로 집어넣는 것을 일부러 피했습니다. 우선, 아이콘은 "Hackers' Pub"이라는 텍스트와 병치될 가능성이 높은데, 그렇다면 "H"나 "P"가 들어 있는 것은 중복이 되고 정보 전달의 낭비가 됩니다. 그리고, favicon 으로 쓰일 가능성이 높은데, 다른 사이트들에도 알파벳을 형상화한 아이콘이 많습니다. 추상적 형상으로서 다른 아이콘들과 겹칠 여지가 적을수록 식별자로서의 기능과 효용이 극대화될 것이라는 생각이었습니다. (물론, 엄밀히 따지면, 이 아이콘도 전체 형상에는 알파벳 "h"의 구조가 숨어 있고, 그것을 의도하긴 했습니다만,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특징은 아니죠.)
패스키 쓴 이후 나의 해커펍생 달라졌다-
로그인 자체도 안 풀리고 바로 들어오면 된당 며칠 써보니 매우 편하다
@cojette 로그인이 풀리는 현상은 원인을 찾지 못했지만… 로그인 자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패스키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RE: https://hackers.pub/@hongminhee/0196346c-11c0-7620-8e3c-090bb3261d0e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감사합니다! 당장 쓰러 갑니다 ㅎㅎ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감사합니다! 혹시 좋은 환경이나 팁 있으면 알려주시면 살펴보겠습니다 (_ _)
@cojette 로그인이 풀리는 현상은 원인을 찾지 못했지만… 로그인 자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패스키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RE: https://hackers.pub/@hongminhee/0196346c-11c0-7620-8e3c-090bb3261d0e
@cojette 한 번 살펴보고 고치도록 하겠습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감사합니다! 혹시 좋은 환경이나 팁 있으면 알려주시면 살펴보겠습니다 (_ _)
@cojette 어라, 로그인이 자주 풀리시나요? 🤔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네...=ㅁ= 일단 올 때마다 로그인을 새로 하게 되어서요 orz
작년에 진행하여 런칭한 프로젝트에서는 공공 데이터와 민간 플랫폼 데이터를 융합하고, 실시간 예측 모델과 시각화 대시보드, LLM 기반 질의응답 인터페이스까지 설계하며 데이터가 고객에게 실제로 활용 가능하도록 전달되는 구조를 고민했다. 데이터 PM으로서, 기술과 사용자 사이의 균형을 어떻게 만들고 복잡한 흐름을 어떻게 ‘보이게’ 만들 것인지에 집중했던 프로젝트 경험은 힘들지만 흥미로웠다. 그 때의 일을 간단히 글로 정리해보았습니다.
데이터가 서비스가 되려면, 또 다른 새로운 연결이 필요하다. 그리고 나는 데이터를 넘어, 더 넓은 맥락과 흐름을 설계하고 엮어내는 일의 재미와 의미를 알게 되었다. 그리고 이런 일도, 앞으로 더 많이, 잘 하게 될 일이라는 확신도 함께 얻었다.
로그인하기가 번거로워서 자주 들어오지는 않게 되는데 어떻게 쉽게 쓸 수 있을까 고민...
올해 1분기가 이렇게 빠르게 사라지다니 믿을 수 없다. 어쨌든 올해도 세 달이 지났고 봄꽃은 피었고 책은 조금 읽었다. https://cojette.github.io/posts/bookreview_2025_01/
남들이 맞다면 나도 맞다고 믿고 싶고, 남들이 하면 나도 생각 없이 따라 하고 싶어진다. 그러면 많은 것이 편해질 것이다. 하지만 그 편안함과 즐거움이 과연 나 자신에게 얼마나 도움이 될 수 있을까. 그 관성을 조금만 더 조절할 힘을 기르고 싶다. 모두가 믿는 것이 아닌, 내가 믿는 것에 대해 더 오래 생각해보기로 한다.
— 늘 경계해왔던, 대중에 호소하는 오류에 대해 생각을 풀어보았다. https://cojette.github.io/posts/populum/
데이터에서 인과 관계를 아예 찾을 수 없냐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 과정이 생각보다 조금 더 단계가 많을 뿐입니다. 인과 분석에 있어서, 인과 구조가 단순히 ‘뭐가 바뀌면 뭐가 바뀐다‘ 이상으로 다양하고, 어떤 식으로 다양할 수 있는지를 이해해야 인과 관계를 가정하고 조건적 사고를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고려하지 않고 너무 인과관계를 단순하게 보다보니 잘못된 내용을 호도하거나 아예 배제하는 경우가 종종 눈에 띄어 아쉽습니다. 관련하여 인과 관계 구조를 구분하고 각각의 분석법을 훑어볼 수 있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https://cojette.github.io/posts/structureofcausation/
짬짬이 블로그 포스팅을 여기에 잘 올리게 활용 테스트를 해볼까나...
데이터에서 인과 관계를 아예 찾을 수 없냐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그 과정이 생각보다 조금 더 단계가 많을 뿐입니다. 인과 분석에 있어서, 인과 구조가 단순히 ‘뭐가 바뀌면 뭐가 바뀐다‘ 이상으로 다양하고, 어떤 식으로 다양할 수 있는지를 이해해야 인과 관계를 가정하고 조건적 사고를 진행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를 고려하지 않고 너무 인과관계를 단순하게 보다보니 잘못된 내용을 호도하거나 아예 배제하는 경우가 종종 눈에 띄어 아쉽습니다. 관련하여 인과 관계 구조를 구분하고 각각의 분석법을 훑어볼 수 있게 정리해 보았습니다. https://cojette.github.io/posts/structureofcausation/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kodingwarriorJaeyeol Lee 아아 gravatar 뱅만년전에 썼었는데 그거였군요...! 감사합니다. ㅎㅎㅎ
@cojette gravatar라고 핸들마다 프로필이미지를 저장해주는 서비스가 있었는데 그 흔적인 것 같아요
자동으로 설정된 프로필은 어디에서 오는 걸까 (분명 어디엔가 쓴 이미지가 자동으로 연동된 걸텐데(랜덤으로 구우사마가 붙을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요즘 구우를 어디에서 썼는지 기억이 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