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x여우 제가 이해하기로는 아예 불가능하진 않더라도 단기간에 되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근데 꽤 어려울 것 같아요.

여우
@fox@hackers.pub · 2 following · 16 followers
64비트여우(트위터)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주로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조잡하고 지리멸렬한 이야기를 합니다.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그렇군요. 아무튼 블루스카이는 (다이렉트 메시지처럼) 비밀스러운 이야기는 무조건 중앙 서버를 거쳐서 가고, 탈중앙화 흉내를 내다 만 것에는 비밀스러울 수가 없다는 현재 모습이 여러모로 아이러니하게 느껴져요.
여우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Bluesky는 X의 훌륭한 대안일 수 있지만, 연합우주의 대안은 아닙니다

洪 民憙 (Hong Minhee) @hongminhee@hackers.pub
최근 X(구 Twitter)를 떠나는 사용자들이 늘면서 Bluesky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Bluesky는 깔끔한 인터페이스와 과거 Twitter와 유사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며, '신뢰할 수 있는 이탈'이라는 매력적인 개념을 내세워 X의 유력한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Bluesky와 그 기반 프로토콜인 AT Protocol이 연합우주(fediverse)의 대안이 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Bluesky는 메시지 전달 방식 대신 공유 힙 방식을 사용하며, 이는 중앙 릴레이에 의존하게 만들어 탈중앙화의 이상과는 거리가 멀어집니다. 또한, 전역 뷰에 대한 집착은 차단 목록의 전체 공개와 같은 개인 정보 보호 문제를 야기하며, AT Protocol은 아직 특정 사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있어 개방형 표준으로서의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Bluesky는 이동 가능한 아이덴티티를 제공하지만, 여전히 중앙화된 요소에 의존하고 있으며, DM은 완전히 중앙화되어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Bluesky는 X의 훌륭한 대안이 될 수 있지만, 연합우주가 제공하는 탈중앙화된 가치와 경험을 대체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이 글을 통해 Bluesky와 연합우주의 차이점을 명확히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플랫폼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Read more →@hongminhee洪 民憙 (Hong Minhee) 트위터에서 블루스카이로 이동하는 것에 있어 (저의 주변 지인들 기준으로) 가장 큰 문턱으로 작동하는 것이 ’승인을 받은 팔로워에게만 게시글을 보여주는 기능‘이 없다는 점이라, ‘플텍계를 만들 수 있으면 블스로 넘어갈 거야‘라고 말씀하시는 분들도 있는데요. 이런 구조로 보건데 ‘블루스카이는 그 구조를 뜯어고치지 않는 이상 앞으로도 프로텍트 계정은 만들 수 없을 것이다’고 짐작해도 되는 걸까요?
해커주점에 가입했습니다. 한잔해~
@fox여우 어서오세요~~!!
해커주점에 가입했습니다. 한잔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