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비슷한 생각인데, Haskell이나 Rust는 코너 케이스를 다루지 않고는 컴파일도 못 하게 금지하는 경우들이 꽤 많고 (그래서 좋은 언어지요), 빠르게 해피 패스만을 검증하고 싶을 때는 Python 같은 널널한 언어(복잡하고 규모가 큰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는 나쁜 언어가 되지요)가 쉽게 느껴질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Haskell이나 Rust가 어렵다고 말할 때의 어려움은 개념적 이해의 난도라기 보다는 시행착오의 커브의 경사를 얘기하는 것 같아요.

비슷한 측면에서 저는 Python의 들여쓰기를 강제하는 문법이 프로그래밍 초심자에게 좋은 습관을 처음부터 정착시키는 데에는 일조할 수 있겠지만, 결코 쉽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RE: https://hackers.pub/@bgl/01967f97-67ab-7a98-a6e5-16cb3ef31856

4
  • !한가한 대학생
  • ai, 커널, 웹에 모두 관심이 많아요
  • devops를 가장한 잡부

크로스 플랫폼 빌드 고치는 노동자

개발하는 흑염소입니다. 가끔 게임도 해요 / 🏳️‍🌈

An intersectionalist, feminist, and socialist guy living in Seoul (UTC+09:00). @tokolovesme금강토's spouse. Who's behind @fedifyFedify: an ActivityPub server framework, @holloHollo :hollo:, and @botkitBotKit by Fedify :botkit:. Write some free software in , , , & . They/them.

서울에 사는 交叉女性主義者이자 社會主義者. 金剛兔(@tokolovesme금강토)의 配偶者. @fedifyFedify: an ActivityPub server framework, @holloHollo :hollo:, @botkitBotKit by Fedify :botkit: 메인테이너. , , , 等으로 自由 소프트웨어 만듦.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