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Haeng Huh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하스켈 편지

박준규 @curry@hackers.pub

이메일 교환을 요약하면, 한국의 취미 프로그래머 박준규 님이 Haskell에 대한 관심을 표현하며 NRAO의 다니엘 님에게 연락을 시작합니다. 다니엘 님은 Haskell 경험과 NRAO에서의 Haskell 프로젝트(antioch)를 공유하며, 박준규 님의 Haskell 학습 경험과 프로젝트에 대한 질문을 던집니다. 박준규 님은 자신이 관리하는 Hackage 패키지와 Protohackers 문제 풀이 경험을 공유하고, 다니엘 님은 이에 대한 격려와 함께 Typeclassopedia와 free monad를 추천합니다. 이 대화는 Haskell에 대한 열정과 지식을 공유하며, 서로에게 영감을 주는 긍정적인 교류를 보여줍니다. 다니엘 님은 박준규 님에게 Haskell 관련 질문을 언제든지 환영하며, 이 대화를 자유롭게 공유해도 좋다고 허락합니다.

Read more →
20

@curry박준규 정말 귀한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저 역시 사람들에게 마지막 답장에 언급된 typeclassopedia를 가장 많이 추천합니다. 많은 분들이 하스켈 입문 후 당장의 코딩 경험을 쌓기보다 "모나드는 부리또다"로 대표되는 하스켈 튜토리얼류에 집착적으로 빠져들며 학습의 발란스를 깨는 경향이 보입니다. 무엇에 기인하는 현상인지 아직 확실히 파악은 못했지만 분명 안타까운 상황인 거 같아요.

물론 typeclassopedia도 튜토리얼 문서의 일종이지만 저자만의 특수한 깨달음 포인트가 아닌 정공법으로 설명해주다 보니, "저자의 창의적인 비유와 설명" -> "이제야 알 것 같은 독자" -> "그렇게 생긴 깨달음이 실제 코딩에 도움이 안됨" -> "새로운 문서를 찾아 헤맴" 의 끝없는 반복을 부숴줄 힘이 있는 것 같습니다.

4

If you have a fediverse account, you can reply to this note from your own instance. Search https://hackers.pub/ap/notes/01981251-a34e-7f34-90b4-2ca9e8833b5d on your instance and reply to 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