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mg

김재우

@kizoo@hackers.pub · 3 following · 5 followers

김재우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파서 콤비네이터: 하스켈 초보자를 위한 파싱

박준규 @curry@hackers.pub

이 글은 하스켈 초보자를 위한 파서 컴비네이터에 대한 입문 튜토리얼입니다. 파싱은 프로그래밍에서 흔히 발생하는 작업이지만, 정규 표현식이나 문자열 조작만으로는 복잡한 형식을 다루기 어렵습니다. 저자는 `Text.ParserCombinators.ReadP`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파서 컴비네이터를 소개하고, 이를 통해 더 읽기 쉽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파서를 작성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METAR 보고서 파싱 예제를 통해 `satisfy`, `many1`, `<|>`, `option` 등의 기본적인 파서 콤비네이터 함수를 설명하고, 펑터와 모나드의 개념을 활용하여 파서를 구성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 또한, 파싱된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하고, 결과를 더 의미 있는 데이터 타입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이 튜토리얼을 통해 독자는 파서 컴비네이터의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실제 데이터 파싱 작업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얻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독자들에게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전체 METAR 보고서를 파싱하는 라이브러리를 만들어 Hackage에 제출해 볼 것을 권장하며, 파서가 없는 데이터를 만났을 때 `ReadP`를 자신 있게 사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Read more →
11
1

주의: 프로그래머에게도 수학도에게도 쓸모 있지 않은 그저 생각 놀이로, 어제 모임에서 제가 떠들었던 잡담입니다.

튜링 완전한 프로그램은 따로 메모리를 두어 관리하며 돌아가는데, 람다 산법은 이런 메모리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튜링 완전이 할 수 있는 일은 모두 할 수 있다고 합니다. 왜 그럴 수 있는지, 시작 아이디어가 뭘까 생각해 봤습니다. (슬쩍 보기엔, 학문적으로 긴 여정이 있는데, 그 걸 모두 따라가기엔 벅찬 일이라, 절대 따라가고 싶진 않고, 그저 아이디어 정도만 알고 싶습니다.)

함수형에선, 정보를 "기억memory"하는 역할도 역시 함수가 담당합니다. 기억이 필요할 땐 함수 구조를 주어, 기억 공간을 만든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함수 합성에서 다음 함수의 인자로 새로 바인딩하며 기억의 역할을 합니다. 애초 메모리 모델이 없는 게 아니라, 다른 구조로 메모리 모델을 구현했다고 볼 수 있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이렇게 말하는 곳은 없습니다.)

람다 함수는, "따로 호출할 일이 없어 이름 없는 함수로 정의한다" 쯤으로 넘어가기엔, 숨어 있는 의미가 너무 큽니다. 분명, 이렇게 넘어갈 일이 아닌데, 역시나 친절히 설명해주는 자료를 아직은 못봤습니다. (많이 찾아 보 거나, 깊게 공부한 건 아니라서, 어딘가에는 있지 않을까 싶어요)

람다 함수로 만들어,

  • 실행 시점 제어
  • 함수 합성 체인 참여
  • 필요한 정보들을 모아 두는 단위
  • 외부와 소통하는 길을 만들어 둘 수 있고, ...

여기에 기억이라는 중요한 역할도 담당하게 합니다.

람다 산법은 매개 변수, 함수 몸체, 적용, 이렇게 3가지 요소만으로 모든 걸 해결합니다. 알론조 처치 아저씨는 어찌 이런 구조를 떠올렸을까 싶습니다. 애초에 위와 같은 식으로 볼 수 있는 함수 통찰의 눈이 먼저 있었던 상태에서 만든 거겠지요?

3

같은 얘기 한 적 있는데, 유전자 발현(expression)을 계산(evaluation)하거나 평가(evaluation)하지 않듯이, 표현(expression)을 평가(evaluation)는 해도 계산(evaluation) 또는 (표현의) "값을 구한다(evaluate)"고 하지 않듯이, 식(expression)도 평가(evaluation)하지 않고, '값을 구한다(evaluate)'거나 계산(evaluation)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해 봅니다.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