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onhairdino replied to the below article:

공허한 참

박준규 @curry@hackers.pub

하스켈의 `all` 함수에 빈 리스트를 넣었을 때 왜 `True`가 반환되는지에 대한 의문을 "공허한 참(Vacuous truth)"이라는 개념을 통해 탐구합니다. 흔히 '구현이 그렇게 되어 있으니까'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저자는 이 현상을 논리적으로 분석합니다. `all` 함수의 구현 방식과, 빈 리스트에 대한 연산 결과가 전체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며, 공집합의 모든 원소가 짝수라는 명제가 참인 이유와 유사한 논리적 근거를 제시합니다. 이를 통해 코드와 수학 간의 연결고리를 발견하고, 마지막으로 ChatGPT가 생성한 유머러스한 이미지를 곁들여 독자에게 즐거움을 선사합니다.

Read more →
5

자연스럽게 존재한다는 말이 이해 갔다 안갔다 하는데요. 그런 요소들은 체계system가 자연스런 동작을 하게 정의했다고 생각이 들더라고요. 0이나, 2의 0제곱 같은 것들이요. (수학적 철학적으로 심오한 뭔가가 있을 것 같긴 한데 모릅니다.)재귀를 돌며 끝을 보려면 []와 만날텐데, 이 것과 지금까지의 True&&해서 False가 나오면 안되니까 True구나 하는 엔지니어 눈만 있어서, 저는 공부가 더딘가 봅니다.

True && True = True
True && False = False

&&한테는 True가 항등원Identity니까, 재귀를 마무리 짓기에는 항등원이 딱이다 하고 휘리릭 넘어갑니다.

@curry박준규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