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e Dogeon

@moreal@hackers.pub · 68 following · 61 followers

어느 한 개발자입니다.

GitHub
@moreal

&curren 같은 텍스트가 있는 부분이 ¤로 보이는 게 이상해서 보니 찾아보니 ¤ 라는 HTML character reference가 있다. 그래서 오.. 하다가 뒤에 세미콜론이 붙지도 않는데 왜 그러지 의문이 남았는데, HTML 스펙 문서로 가서 보니까 세미콜론이 없는 버전(&curren)도 있다(??). 아마 이 스펙을 충실히 구현해서 그렇게 표시되는 듯 하다. 보여주는 쪽에서 code 태그로 감싸지 않아서 그런 것 아닐까..

별개로 세미콜론 없는 버전은 CommonMark 플레이그라운드에서 해볼때 동작하지 않는데 CommonMark 스펙이거나 버그일 것 같다.

4
5

끝자락에 나오는 Matt Parsons가 작성한 Junior Code를 장려하는 글은 아마 이거인 것 같다. 가상의 이야기(?) 파트가 웃기다 😂

https://www.parsonsmatt.org/2019/12/26/write_junior_code.html

Boss: You’re going to be allowed to make a new project in whatever language you want. Even Haskell.

Employee: Oh yeah!! Time to write FANCY HASKELL!!

Employee writes a ton of really fancy Haskell, delivers fantastically and in about 1000 lines of code. Everyone is very impressed. The project grows in scope.

Boss: It’s time to hire another Haskeller. What are the job requirements?

Employee: Oh, they’ll need to know type-level programming, lenses, servant, Generics, monad transformers, mtl, and advanced multithreading in order to be productive anytime soon.
4
9

macOS에서는 Xcode에서 git을 함께 주지만 brew install git으로 별도로 설치해서 사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Git 취약점 최신 패치버전은 2.50.1인데 Xcode git 버전은 2.39.5 버전이다 😱 (다른 패치버전들도 있는데 2.43 및 이후 버전들만 관리 중인가 보다[1])

https://github.blog/open-source/git/git-security-vulnerabilities-announced-6/


  1. https://lore.kernel.org/git/xmqq5xg2wrd1.fsf@gitster.g/ ↩︎

2

아마 폰트에 없어서인지 다 네모 박스로 표시되는구나 했는데, 자세히 보니 네모 박스 안에 16진수 값으로 표시해 주고 있었네 👀 이게 어떻게 이렇게 되지 했는데 렌더링 해주는 쪽 재량이라는 듯 하다. Chrome (그리고 Electron) 은 그냥 네모로 보인다.

폰트가 없어 렌더링 되지 않는 글자의 스크린샷입니다. 원본 한자 대신 네모 박스로 표시되고 있으나 안에 16진수 코드가 적혀있습니다. Firefox에서 렌더링된 결과입니다.
2

최신 Unicode Han Database 중 숫자 표현을 보면 아래 라인이 포함되어 있다. 근데 저 유니코드를 검색해보니 가 나오고 이는 두번째 값인 1000000000000 이 맞는 값인 것 같은데

U+5146	kPrimaryNumeric	1000000 1000000000000

kPrimaryNumeric 속성 설명에 의하면 첫 번째 값이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 취급되는 것이 맞다는 것 같아서 의문이 들었다 🤔

If an ideograph has more than one numeric value, the first one is to be considered the most common one, and that first value is used for the Numeric_Value property of the ideograph.

Claude에게 물어보니 지역적이거나 역사적인 이유가 있을 것이라 해서 중국에서 다르게 쓰나 싶었는데, 위키백과 문서들을 참고하니 의 의미가 시대에 따라 달라져 왔기도 했고, 표기법(셈법?)에 따라 또 다른 듯 하다. 지금 사용하는 단위마다 10000배씩 변화하는 방식은 만진법이라고 하는 것 같다.

3
0

"대안: 의도를 선언하기" 부분이 아하 모먼트였습니다. 🤯

1
3
0
1

2개월 전에 애자일 이야기 글을 편하게 읽고 싶었던 것과 검색 기능의 필요를 느껴 삼아 작성했던 프로젝트[1]를 아카이브 했습니다. 글도 다 읽었고 읽으면서 수정하다 보니 내가 쓸만큼의 무언가는 되어서 특별히 더 동기가 남아있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불필요하게 SSR로 돌려서 서버 비용이 나가는 것이 걱정거리로 남아있었는데 그것도 어제 오늘 작업해서 이제는 GitHub Pages로 배포하기 때문에 아카이브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냥 놔둬도 괜찮지만 괜히 신경 쓰여서 아카이브로 돌려놓습니다.

코드 퀄리티는 좋지 않을텐데... 혹여나 수정이 필요하신 분은 AGPL-3.0 라이센스이니 편하게 포크해서 사용하시면 될 듯합니다.

https://github.com/moreal/agilestory.blog/
https://agilestory.blog


  1. https://hackers.pub/@moreal/01961092-58cc-7921-b78d-16bc9eeadef6 ↩︎

3

아카이브된 옛날 글을 보면 플래시를 쓰는 경우가 있어서 Ruffle 같은 걸 써서 지원해야 하나 했었는데, Internet Archive에서는 이미 Ruffle로 플래시 파일들을 지원하는구나

https://blog.archive.org/2020/11/19/flash-animations-live-forever-at-the-internet-archive/

4

React 문서 읽다가 _단어_는 처럼 되어있는 부분이 렌더링이 되지 않아서 CommonMark 스펙을 보니 중간에 들어간 강조는 처리하지 않는 것이 의도된 사항이다.

Many implementations have also restricted intraword emphasis to the * forms, to avoid unwanted emphasis in words containing internal underscores. (It is best practice to put these in code spans, but users often do not.)

때문에 *단어*는 을 쓰는 것이 맞다. 그런데 한글은 기울임꼴로 썼을때 옆 글자를 침범하기도 하여 보기 좋지 않았다. 그래서 관련해서 찾아보니 아래와 같은 논의가 있어서 단문으로 남겨놓는다.

https://github.com/mdn/translated-content/issues/1537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의 관련 연구도 있더라 😮

http://koreantypography.org/wp-content/uploads/thesis/kst_j0_1.pdf

4
4
3
1
1
10
1
1
3
1

HTML 되는데 <b>를 모바일에서 입력하려니 번거로워서 뭔가 에디터(?)스러운게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는데 그냥 마크다운 문법을 쓰면 되는 것이었다 😅

3

https://agilestory.blog/5095853

사람들은 (상대적인) 비용 중심으로 생각하는 데에 매우 익숙해져 있습니다. 우리를 종종 실패하게 만드는 휴리스틱스(heuristics)입니다.

그런데 그런 것을 따지지 않더라도, 이상하게 이제까지 제가 살면서 나의 배움에 대해 "질러서" 후회를 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던 것 같습니다.

1
3
0
0
0
0

한국은행은 여러 지표 및 보고서 등을 구독할 수 있도록 토픽 별 RSS 피드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CDATA[로 감쌌음에도 <, & 같은 글자들을 escape 처리하여 제대로 읽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습니다.

때문에 기대한대로 읽을 수 있도록 간단한 릴레이 서버를 작성했습니다. https://bokrss.moreal.dev에서 지원되는 RSS 피드들을 확인할 수 있고 링크를 복사하여 각자 사용하는 RSS 리더에서 구독할 수 있습니다.

좌측에는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원본 RSS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릴레이 RSS의 내용이 표시되어 있습니다.https://bokrss.moreal.dev 의 스크린샷입니다. 릴레이 서비스에서 지원하는 한국은행 RSS 피드들의 목록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0
1
0
0
0